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of both recording reflective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in technical writing

이공계 글쓰기 교과목에서 학습 성찰일지 작성과 피드백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김혜경 (한밭대학교 서울어코드활성화사업단) ;
  • 최원영 (한밭대학교 기초과학부)
  • Received : 2017.04.27
  • Accepted : 2017.05.31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recording reflective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from professors on academic achievements in technical writing.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group who had recorded reflective journals and getting 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who had gotten feedback without reflective journals. And we compared academic achievements by conducting both professor 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in technical writing. The results showed better learning effect,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test group than the other.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애2016), 플립러닝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방법 모색, 공학교육연구, 19(1), 21-30.
  2. 김양희.주미진(2010),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이 영어작문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 비교 연구, 영어어문교육, 16(4), 133-152.
  3. 김연희(2015),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학생들의 작문수정과 향상에 미치는 영향 비고, 영어영문학연구, 57(3), 59-79.
  4. 김차종.김혜경(2017), Linux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적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1(3), 475-481. https://doi.org/10.6109/JKIICE.2017.21.3.475
  5. 김혜경(2016), 공과대학 학생들의 연구계획서 쓰기 교육사례 연구, 열린정신인문학연구, 17, 183-208.
  6. 김혜경.김차종(2016), 성찰일지 적용이 이공계 자기주도학습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9(5), 65-71.
  7. 김혜경.김차종.김영찬(2014), Coaching학습법을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교육 사례 분석, 인문학연구, 92, 47-72.
  8. 박인숙.김미정(2012), 팀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치위생학회지, 12(5), 849-859.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5.849
  9. 서영진(2012), 작문활동에서 동료 피드백의견 유형별 수용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5, 242-271.
  10. 성은미(2003), 고쳐쓰기 활동의 사례분석을 통한 작문 교육 연구, 국어교육연구, 35, 115-148.
  11. 송수지(2012), 성찰일지 적용 학습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교육정보, 35, 199-229.
  12. 신희선(2014),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사례연구-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교양교육연구, 8(1), 11-52.
  13. 엄미리(2010),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 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4. 오윤정.최경희(2014), 이공계 대학생의 글쓰기 경험과 인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17(4), 74-86.
  15. 유무언.김영식(2010), 성찰일지가 프로그래밍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논문지, 14(1), 101-106.
  16. 유병민.전종철.박혜진(2013),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837-859.
  17. 이은자(2009), 교사 첨삭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 작문연구, 9, 123-152.
  18. 조성태(2007), '고쳐 쓰게 하기'를 통한 글쓰기 수업 모형, 겨레어문학, 38, 353-372.
  19. 장영란(2003),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유형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결과 및 성찰적 실천 과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 장은호(2007), 블렌디드 러닝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와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21. 진화봉.이순아.김회수(2003), 메타인지적 지식과 작동기억이 메타인지적 규제 요구 과제의 성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3), 119-148.
  22. Arndt, V.,(1993), Response to writing; Using feedback to inform the writing process. In Broc, M. L. & Walters, L. (Eds.), Teaching composition around the pacific and pedagogy. 90-116,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23. Brice, C.(1995), ESL writers' reaction to teacher commentary: A case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30th Annual TESOL convention, Long Beach, CA..
  24. Brown, A.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s. In Weinert, F. E., & Kluwe, R. H.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pp.65-115). Hillsdale, NJ: LEA.
  25. Dewey, J. (1997), How we Think, Dover Publications, Inc.
  26. Hgen, D. R., Fisher, C. D. & Taylor, M. S.(1979), Consequences of individual feedback on behavior in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4 (4.), 349-371. https://doi.org/10.1037/0021-9010.64.4.349
  27. Keller, J, M.(1983),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Kentridge, R. W. & Heywood, C. A. (2000) Metacognition and awarenes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9, 308-312. https://doi.org/10.1006/ccog.2000.0448
  29. Straub, R. (1997). Students' reaction to teacher comments; An exploratory study.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31, 91-119.
  30. Zimmerman, B. J. (2002).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 (2), 64-70.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2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