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nges of flood inundation depth and area according to channel migration and river improvement using HEC-GeoRAS

HEC-GeoRAS를 이용한 하천이설에 따른 홍수범람지역 변화 분석

  • Ji, Moon Hwan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 Cho, Hong-Je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지문환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조홍제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7.01.16
  • Accepted : 2017.04.11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HEC-GeoRAS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flood inundation depth and area of the Hyeoam-cheon basin after the channel migration and river improvement. The target area was extremely damaged due to the heavy rainfall on 25th August, 2014 after the costru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HEC-GeoRAS model can be us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changes of flood innundation depth and area in agrecultural lands and lowlands of which the topographic changes and elevation differences are small. The inundation depths were increased 0.99 m in heavy rainfall and 0.39 m in 100 year frequency flood. The inundation areas in 100 year frequency flood were reduced in inundation depths under 1.5 m while they were increased in depths above 4.5 m. It was concluded that the loss of natural resevoir capacity of agricultural lands and lowlands due to the channel migration and river improvement caused the damage of flood in 2014 and the decrease of actual effective widths of the channel added the damage.

2014년 8월 25일 집중호우시 효암천 상류지역의 도심과 농경지 등에 큰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지역은 고리원전 부지조성을 위해 하구부의 하천이설과 주변지역에 대한 성토 등 대규모 개발사업이 이루어진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발이 홍수시 침수피해의 원인이 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HEC-GeoRAS 모형을 이용하여 개발사업 전 후에 대한 효암천 유역의 침수심과 침수면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HEC-GeoRAS 모형은 농경지 등 지형변화 및 표고차가 작은 하천유역에 대해서도 홍수시 침수심과 침수면적의 변화를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수심은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2014년 8월 집중호우시 0.99 m가 상승하였고, 100년빈도 홍수시에는 0.39 m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수면적은 100년빈도 훙수시 침수심 1.5 m 이하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침수심 4.5 m 이상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하천이설과 개발사업으로 인해 하구부의 농경지와 저지대의 자연저유기능이 상실된 것이 2014년 8월 집중호우시 홍수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었으며, 하천이설에 따라 신설된 하천단면의 총 하폭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실질적인 유효하폭은 오히려 축소되어 통수단면적이 감소되었던 것이 침수피해를 가중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하천이설이나 주변지역에 대한 성토 등 개발행위시에는 기존의 저유기능이 충분히 고려된 하천개수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ong, S. H., and Sim, M. G. (2009). "Practical application technique of flooding inundation using HEC-GeoRA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4, pp. 31-38.
  2. Kim, K. H., Shin, H. S., Jung, S. H., and Kim, J. S. (2012). "Comparative study on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river terrain modific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roceeding pp. 251-255.
  3. Lee, J. S., Moon, C. G., Kim, S. D., Cho, S. G., and Shin, S. C. (2012). "A study on construction techniques of river topography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KGES, Vol. 13, No. 5, pp. 59-68.
  4. Moon, C. G., Lee, J. S., Cho, S. G., and Shin, S. C. (2014).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Journal of the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KGES, Vol. 15, No. 1, pp. 69-77.
  5. Park, J. D., and Choi, J.M. (2011). "Flood area estimation and evacuation path analys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Vol. 19, No. 1, pp. 1-11.
  6. Ulsan Metropolitan City (2001). Basic plan for the Hyeoam-cheon and Wiyang-cheon Maintenance.
  7. Yang, W. S., and Yang, S. K. (2013). "Stream flood analysis of dry stream on flood runoff in Island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5, pp. 571-580. https://doi.org/10.5322/JESI.2013.22.5.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