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창조계층의 이동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Movement of the Creative Class

  • 주미진 (중앙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 투고 : 2017.03.15
  • 심사 : 2017.04.18
  • 발행 : 2017.05.28

초록

창조계층은 전문 지식 및 기술을 가지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직업군을 뜻하며, 지역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이에 지역정부에는 도시의 경제 성장을 위해 창조계층을 유입하기 위한 각종 정책 및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창조계층이 이동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차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창조계층의 이동특성과 이주동기를 분석하여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조계층은 비창조계층에 비하여 이동성이 높았다. 둘째, 창조계층 이동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20대와 30대의 젊은층이, 미혼보다는 기혼자, 전세 등 자가가 아니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동자가 많았다. 셋째, 창조계층과 비창조계층이 이주 동기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창조계층의 이주 동기는 주거 요인과 직장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비창조계층에 비하여 직장 요인이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인간관계, 편의시설 등의 변수는 창조계층의 이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e creative class is the class of workers whose job is to create meaningful new forms.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role of the creative class in regional development. Many policy makers have invested to amenities to attract more creative class into their cities or regions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the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nalysis of the movement of the creative class by using the 17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the creative class are more likely to move than the non-creative class. The characteristic of creative class who moved is related to married man aged 20s and 30s without own house. Also,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determinants of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nd the non-creative class. It was founded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are housing related reasons such as home ownership and job reasons. Relationship, convenient facilities are not important factors when the creative class make a decision to move.

키워드

참고문헌

  1.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New York: Basic Books, 2002,
  2. 김준홍, "Richard Florida의 창조 도시 이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창조 계층의 장소선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제26권, 제1호, pp.31-51, 2012.
  3. 박세훈, 김원배, 박은실, 남기범, 김윤환, 차재근, 류태희, 민운기, 조명래, 이영범, 창조도시를 넘어서-문화개발주의에서 창조적 공동체로, 나남, 2014.
  4. 박은실, "국내 창조도시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국토, 제322호, pp.45-55, 2008.
  5. 김범식, 김묵한, 서울시 창조계층 특성과 정책방향, 서울연구원, 2015.
  6. B. Ehrenreich and J. Ehrenreich, "The Professional-Managerial Class," Boston: South End Press, 1979.
  7. R. Reich, The Work of Nations: Preparing Ourselves for 21st Century Capitalism, Vintage, 1992.
  8. T. Clark, T. Lloyd, R. Wong, and P. Jain, Amenities Drive Urban Growth: A New Paradigm and Policy Linkages, In The City as an Entertainment Machine, pp.291-322.
  9. C. Mellander and R. Florida, "The Creative Class or Human Capital. Explaining Regional Development in Sweden," CESIS Electronic Working Paper Series, 2006.
  10. P. Lawton, E. Murphy, and D. Redmond, "Residential Preferences of the 'Creative Class'?," Cities, Vol.31, pp.47-56, 2013. https://doi.org/10.1016/j.cities.2012.04.002
  11. J. Borggren, "In Search of Creative milieu: Creative Peoples Workplaces and Residences in Goteborg," In RESER 2010 Conference, Gothenburg, 2010.
  12. H. K Hansen and T. Niedomysl, "Migration of the Creative Class: Evidence from Swede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Vol.9, No.2, pp.191-206, 2009, https://doi.org/10.1093/jeg/lbn046
  13. A. J. Scott, "Jobs or Amenities? Destination Choices of Migrant Engineers in the USA," Papers in Regional Science, Vol.89, No.1, pp.43-63, 2010. https://doi.org/10.1111/j.1435-5957.2009.00263.x
  14. S. Darchen and D. G. Tremblay, "What Attracts and Retains Knowledge Workers Students: The Quality of Place or Career Opportunities? The Cases of Montreal and Ottawa," Cities, Vol.27, No.4, pp.225-233, 2010. https://doi.org/10.1016/j.cities.2009.12.009
  15. 김홍주, 박기풍, "도시의 창조적 계급.기술.관용의 공간적 집중과 클러스터," 국토연구, 제45권, 제1호, pp.251-264, 2010.
  16. 곽수정, "서울시 창조계층의 입지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6권, 제2호, pp.49-62, 2013.
  17. 배현혜, 이희연, "외국인 창조계층의 커뮤니티 형성과정과 정주만족도 분석 -대전을 사례로 하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6호, 제2호, pp.1-15, 2013.
  18. 김은란 , 박세훈, 강호제, 박경현, 정소양, 박재현, 김보미, 창조산업 창조계층 입지특성을 활용한 도시재생 방안, 국토연구원 보고서, 2014.
  19. 오은주, "지식기반산업 창조인재의 지리적 이동성에 관한 연구- 예술인력, IT인력,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제50권, 제6호, pp.225-240, 2015.
  20. 최일용, 황성원, "한국에서의 창조계급 적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3호, pp.467-489, 2014,
  21. 김은란, 정소양, 창조계층 입지패턴 분석 연구, 국토연구원, 2011.
  22. 류근관, 통계학, 법문사, 2008.
  23. 최막중, 김준형, "재개발 과정에서의 소유자간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논총, 제43권, 2005.
  24. 홍성효, 유수영,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제13권, 제1호, pp.1-19, 2012.
  25. 최진호,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선별성과 이동 이유," 한국인구학, 제31권, 제3호, pp.159-17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