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통계청, 2016년도 청소년통계, p.32, 2016.
-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pp.14-15, 2013.
- 미래창조과학부, 2015년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pp.1-25, 2015.
-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 최정은, 서은지, 이은희, 유문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가정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4-51, 2014.
-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227-23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27
- 김승희, 배상윤, "보건계열학과 일부 여대생들의 우울과 관련된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0호, pp.367-375,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367
- 배상윤, 김승희, "보건계열 여대생의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269-278,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69
- 김동일, 안현희, "NEO 청소년 성격 검사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pp.77-91, 2006.
- 임영숙, 이영주, 한숙정, "GIA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56-6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56
- 전원희,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739-74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739
- 정구철,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55
- 김정현, 정인경,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1-126, 2015.
- 이후연, 조영채,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711-4722,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11
- 양경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1호, pp.113-123,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1.113
-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 조규영, 김윤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632-164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632
- 박혜선, 김형모,"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98-51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498
- F. Faul and E. Erdfelder, A.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 M. R.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 김현숙,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남현미,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51-64, 1996.
-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권, 제2호, pp.1-19, 1997.
-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pp.46-68, 1965.
- 전병제, "Self-esteem: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29, 1974.
- 김동일, 홍성두, 인효연, "Big Five성격 요인에 기초한 청소년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89-305, 2006.
- 단현주, 배노영, 구종모, 오향화, 김미영,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77-286,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3.277
- 이숙정,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12-2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012
- 강혜자,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간의 관계-스마트폰 사용장의 태도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483-488,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3.483
-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63-172,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