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이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Self Factor and Emotional Factor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 이현숙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배상윤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투고 : 2017.01.23
  • 심사 : 2017.03.06
  • 발행 : 2017.05.28

초록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과 스마트폰중독정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J시 2개 대학에서 선정된 26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12월 16일부터 12월 2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스마트폰중독정도에 52%의 설명력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활동변화, 수면장애, 자아요인의 자기통제력, 정서요인의 충동으로 나타났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과 스마트폰중독정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볼 때,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중독정도를 낮추는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모형 조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vance of stress, self factor and emotional factor, and the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1 college students in J city from December 16th to 23rd, 2016. The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aries were use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with explanatory powers of 52%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included physical activity changes, sleep disorders, the self control about self factors, the impulsion of emotional factors. With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we could confirm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factors such as stress, self factor, emotional factor and Smartphone Addiction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efforts to manage stress, self factors and emotional factors, are required to reduce the Smartphone Addiction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licy to decrease the Smartphone Addiction Level. In the following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addi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s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will b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16년도 청소년통계, p.32, 2016.
  2.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pp.14-15, 2013.
  3. 미래창조과학부, 2015년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pp.1-25, 2015.
  4.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5. 최정은, 서은지, 이은희, 유문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가정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4-51, 2014.
  6.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227-23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27
  7. 김승희, 배상윤, "보건계열학과 일부 여대생들의 우울과 관련된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0호, pp.367-375,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367
  8. 배상윤, 김승희, "보건계열 여대생의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269-278,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69
  9. 김동일, 안현희, "NEO 청소년 성격 검사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pp.77-91, 2006.
  10. 임영숙, 이영주, 한숙정, "GIA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56-6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56
  11. 전원희,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739-74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739
  12. 정구철,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55
  13. 김정현, 정인경,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1-126, 2015.
  14. 이후연, 조영채,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711-4722,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11
  15. 양경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1호, pp.113-123,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1.113
  16.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17. 조규영, 김윤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632-164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632
  18. 박혜선, 김형모,"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98-51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498
  19. F. Faul and E. Erdfelder, A.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0. M. R.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1. 김현숙,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2. 남현미,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23.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51-64, 1996.
  24.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권, 제2호, pp.1-19, 1997.
  25.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pp.46-68, 1965.
  26. 전병제, "Self-esteem: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29, 1974.
  27. 김동일, 홍성두, 인효연, "Big Five성격 요인에 기초한 청소년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89-305, 2006.
  28. 단현주, 배노영, 구종모, 오향화, 김미영,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77-286,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3.277
  29. 이숙정,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12-2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012
  30. 강혜자,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간의 관계-스마트폰 사용장의 태도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483-488,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3.483
  31.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63-172,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