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s of Elderly with Dementia Residing in Nursing Homes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활동 참여, 정서,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 고인순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Received : 2017.01.13
  • Accepted : 2017.02.27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s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nursing homes. In this observational study targeting 81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each patient'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emotion, and problem behaviors were observed for 4 hours per day with 20 minutes interval, which leads to 6,804 data based on 12 times a day for 7 days. According to this study, 90.1% of the participants were suffering from severe cognitive impairment. Their emotions were scored 4 out of 7. They main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such as sitting or lying down, which had no specific purpose, but they showed the most positive emotion when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The most frequent types of problem behaviors were repetitive behaviors and making noises, and the frequency of their behavi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s, emotions, and problematic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effective way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induce participation in positive emotional activities, and reduce problem behaviors manifested most prominently each hour of the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residing in nursing homes.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활동 참여, 정서, 문제행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관찰조사연구이며, 치매노인 81명을 대상으로 활동참여 여부와 정서, 문제행동을 각 대상자 당 20분 간격으로 1일 12회 4시간 관찰 측정하여 총 7일간 6,804회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은 중증이 90.1%이었다. 정서는 7점 만점 중 4.0점이었다. 활동 참여는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등의 목적 없는 활동을 대부분 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활동을 할 때 대상자의 정서는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은 반복적인 행동과 소음발생 행동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시간대별 문제행동 유형의 발생빈도는 다소 달랐다.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정서, 문제행동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따라서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활동참여를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보이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시간대별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을 낮추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치매유병률 조사, http://www.mohw.go.kr, 2012.
  2. J. R. Simpson, "DSM-5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and the Law, Vol.42, No.2, pp.159-164, 2014.
  3. 치매노인실태조사,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2011.
  4. 이영미,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인지장애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973-3982,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2.13.9.3973
  5. R. Johnson, L. L. Popejoy, and M. E. Radina, "Older adults' participation in nursing home placement decisions,"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9, No.4, pp.358-375, 2010. https://doi.org/10.1177/1054773810372990
  6. K. H. Lee, D. L. Algase, and E. S. McConnell, "Daytime observed emotional expressions of people with dementia," Nursing research, Vol.62, No.4, pp.218-225, 2013. https://doi.org/10.1097/NNR.0b013e31829999d7
  7.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생명의과학센터 뇌질환과, "노인우울증 관련인자 분석-지역사회 노인코호트 자료분석(2006-2007)," 주간건강과질병, 제2권, 제44호, pp.737-740, 2009.
  8. H. C. Beerens, S. M. Zwakhalen, H. Verbeek, F. E. S. Tan, S. Jolani, M. Downs, B. de Boer, D. Ruwaard, and J. P. Hamers, "The relation between mood, activity, and interaction in long-term dementia care," Aging Ment Health, Vol.13, No.9, pp.1-7, 2016.
  9. 정경화, 조현숙, "노인 장기 요양시설 적응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215-22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215
  10. 김호영, "일반노년기 사회적 삶과 인지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제34권, 제1호, pp.225-251, 2015.
  11. 이현주, "중.고령자의 사회활동참여와 인지기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1호, pp.138-167, 2015.
  12. R. S. Wilson, D. A. Evans, J. L. Bienias, C. F. Mendes de Leon, J. A. Schneider, and D. A. Bennet, "Proneness to psychological distress is associated with risk of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Vol.61, No.11, pp.1479-1485, 2003. https://doi.org/10.1212/01.WNL.0000096167.56734.59
  13. S. H. Tak, S. Kedia, T. M. Tongumpun, and S. H. Hong, "Activity engagement: Perspectives from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Educational gerontology, Vol.41, No.3, pp.182-192, 2015. https://doi.org/10.1080/03601277.2014.937217
  14. 양금석, "농촌지역 노인전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생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0권, 제1호, pp.93-101, 2008.
  15. A. Kolanowski and M. Litaker, "Social interaction, premorbid personality, and agi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20, No.1, pp.12-20, 2006. https://doi.org/10.1016/j.apnu.2005.08.006
  16. 변영순, 남정자, "시설치매노인의 문제행동과 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pp.246-256, 2002.
  17. 박세정, 고수현,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제18권, 제2호, pp.115-141, 2008.
  18. 이성욱, 치매노인의 병전성격적 특성, 환경적 특성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9. 김종임,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9권, 제5호, pp.584-594, 2012.
  20. 김경숙, 최은숙, 박성애,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7권, 제1호, pp.131-152, 2007.
  21. J. Cohen-Mansfield, M. Dakheel-Ali, B. Jensen, M. S. Marx, and K. Thei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engagement, agitated behavior, and affect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4, No.5, pp.742-752, 2012. https://doi.org/10.1017/S1041610211002535
  22. K. H. Lee, D. L. Algase, and E. S. McConnell, "Relationship between observable emotional expression and wandering behavior of people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9, No.1, pp.85-92, 2014. https://doi.org/10.1002/gps.3977
  23. 김경애, 시설 치매노인의 문제 행동 사정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4. 오진주, "간호제공자들의 치매노인 공격행동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제30권, 제2호, pp.293-306, 2000.
  25.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6. 박종한,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제28권, 제3호, pp.508-513, 1989.
  27. B. De Boer, H. C. Beerens, S. M. G. Zwakhalen, F. E. S. Tan, J. P. H. Hamers, and H. Verbeek, "Daily lives of residen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Development of the Maastricht Electronic Daily Life Observation Tool. Adding life to years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mentia receiving long-term care," Aging Ment Health, Vol.13, No.9, pp.83-101, 2016.
  28. 김진하, 이동영, 이송자, 김보영, 김남초, "서울시 치매 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일상생활 수행능력간의 예측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9, 2015.
  29. 강민숙, 박희옥, 박효진, "요양시설 치매 환자의 초조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41-52, 2016.
  30. 한은경, 강임옥, 권진희,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 서비스 이용자의 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제31권, 제2호, pp.259-276, 2011
  31. 류은석, 전영숙,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3권, 제5호, pp.1371-1393, 2016.
  32. A. N. Casey, L. F. Low, B. Goodenough, J. Fletcher, and H. Brodaty, "Computer-assisted direct observation of behavioral agitation, engagement, and affect in long-term care residents," J Am Med Dir Assoc., Vol.15, No.7, pp.514-520, 2014. https://doi.org/10.1016/j.jamda.2014.03.006
  33. 김현순, 노인의 종교적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4. 김재남, 이창대, 박지혁, "운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신경재활치료과학, 제4권, 제2호, pp.7-15, 2015.
  35. S. Ikemata and Y. Momose, "Effects of a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intervention on dementia symptom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mmune function in group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in Japan,"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6.
  36. 조아람, 김영신,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57-79, 2015.
  37. 임동영, "치매노인 문제행동과 간호제공자의 대처행동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805-4815,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805
  38. 남미숙, 치매노인의 문제행동 양상과 보호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충북지역 노인전문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9. 김은영, 황성동, 김은주,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을 위한 자극 지향적 중재의 효과 연구: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6권, 제4호, pp.475-489, 2016. https://doi.org/10.4040/jkan.2016.46.4.475
  40. L. L. Tan, H. B. Wong, and H. Allen, "The impact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dementia on distress in family and professional caregivers in Singapor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17, No.2, pp.253-263, 2005. https://doi.org/10.1017/S104161020500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