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NCS-based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performance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1.17
  • Accepted : 2017.01.31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NCS - based education and training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on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NCS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performance(p<.001, ${\beta}=5.130$) were analyzed. As a result, (p<.01, ${\beta}=3.783$) and on-the-job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p <.05, ${\beta}=-2.448$). (P <.01, ${\beta}=.740$), job skill and collective education (p <.01, ${\beta}=.459$), and job skill (P <.01, ${\beta}=.575$), job attitude and field training (p <.05, ${\beta}=-.320$), collective education and field training (p < .268) were found to be correlated.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a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job attitude showed that the fifties (3.75) had higher attitude than the 20s (3.44), 30s (3.26) and 40s (3.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CS - based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job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industries.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NCS적용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을 높이는 데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체교육이 직무지식(p<.001, ${\beta}=5.130$), 현장훈련이 직무기술(p<.01, ${\beta}=3.783$), 현장훈련이 직무태도(p<.05, ${\beta}=-2.44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기술과 직무지식(p<.01, ${\beta}=.740$), 직무기술과 집체교육(p<.01, ${\beta}=.459$), 직무지식과 집체교육(p<.01, ${\beta}=.575$)과 직무태도와 현장훈련(p<.05, ${\beta}=-.320$), 집체교육과 현장훈련(p<.05, ${\beta}=.268$)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의 연령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0대(3.44), 30대(3.26), 40대(3.63)보다 50대(3.75)가 직무태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NCS 기반 교육훈련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 학습형태에 따른 효과성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함승연,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대한공업교육, Vol.41, No.2, pp.69-88, 2016.
  2. 김태우.정철영,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공무원 노무관리능력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Vol.35, No.3, pp.1-21, 2016)
  3. 유용태,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해군부사관과의 리더십 교육방안 연구", 융합보안, Vol.16, No.6, 2016.
  4. 이세한.이승철.박준석, "민간경비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Vol.19, pp.139-163, 2009.
  5. 김국희, "기업 집체교육훈련의 유효성에 대한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김동연, 김진수, 은태욱, 김종욱.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교원교육, Vol.29, No.3, pp.237-254. 2013.
  7. 구자길,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 매뉴얼", 2015.
  8. 김혜련.이인희, "NCS의 미용사(피부) 교육훈련과정이 전문성 및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Vol.15, No.6, pp.3512-3523, 2014.
  9. 임정연.이영민, "기업근로자의 집체교육훈련 성과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산업교육연구, Vol.30, No.2, pp.61-85, 2015.
  10. 강순희, "경력개발이 기업성과에 미친 영향: 교육훈련에 대한 보안 효과", 노동정책연구, Vol.10, No.2, pp.35-6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