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we surveyed 63 workers from October 10, 2016 to October 28, 2016, and analyzed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stress.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factor analysis 32 items were used to derive 4 factors and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as p = .000. First, The effects of workplace's OJT education on job training and job str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relief.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tress showed that OJT education (p <.01, ${\beta}=.526$) and Off-JT education (p <.01, ${\beta}=.508$) were highly correlated with work stress.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work stresses according to career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less than 3 to 6 years were more sensitive to work stress.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job stress.
본 연구는 직장에서 교육훈련을 1회 이상 참여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총 63부를 설문 조사 분석하였으며, 교육훈련이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32개 문항을 사용하여 4개 요인을 도출하였고 유의확률 p=.000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의 교육훈련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직장의 OJT 교육이 직무 스트레스 해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이 업무스트레스 간의 상관성은 OJT 교육(p<.01, ${\beta}=.526$)과 Off-JT 교육(p<.01, ${\beta}=.508$)이 업무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업무 스트레스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10년 이상보다 3~6년 미만이 업무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육훈련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