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Analysis on the Appeal Case of Origin Verification for Korean Import Goods Using Bootstrapping Technique

부트스트랩 기법을 활용한 한국 수입 상품의 원산지검증 불복사례 실증분석

  • 김종혁 (가천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
  • 허상현 (관세법인 아미) ;
  • 김석철 (가천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 Received : 2017.07.20
  • Accepted : 2017.08.19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Under the FTA agreement, preferential tariffs between FTA members will result in tariff reductions. In order to ensure the stable use of the FTA tariff system, it is necessary for the customs authorities to determine whether the origin goods are clearly applicable.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dure of appeal according to the origin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decision made by Korea Customs Service and Tax Tribunal. From this, we examined whether the rate of re-claiming a case rejected in the 'Review System of the Legality Before Taxation' differs. In addition, we carried out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bootstrapping technique in order to overcome the scarcity cases of verification of origin among FTA members.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re-claiming rate of Western countries is higher. Second, some issues represented higher re-claiming rat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erification group and the re-claiming rate. Finally, even if an applicant makes a claim again,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rejected again.

FTA 협정에 따른 특혜관세 적용은 FTA 역외국과 비교하여 상대적 관세인하 효과로 나타나고 이는 회원국 간 수출입 규모의 증가로 이어진다. FTA 관세 제도의 안정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세 당국의 교역 대상 상품에 대한 명확한 원산지 적용 및 적격 여부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관세청, 조세심판원 등 관세 당국의 조세행정 집행과정 중에 확인되는 결정문을 바탕으로 원산지검증 제도에 따른 불복청구 절차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과세전적부심사청구 불채택 건에 대한 재심청구 비율이 아시아 국가와 서구 사회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며, 쟁점 사항이나 검증당사자에 따라 재심청구 빈도나 기각률이 또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FTA 국가 간 원산지검증 불복 사례의 희소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기법을 활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시사점을 요약하면, 첫째, 서구와의 국제거래가 더 높은 재심청구율을 보인다는 가설을 검정하였고, 둘째, 원산지기준 충족 여부, 직접운송 여부, 인증수출자 여부, 품목분류 적정 여부가 핵심 쟁점 요인으로써 재심사 요구와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셋째, 재심사 요구와 검증 그룹 간 유의성은 관계가 없음을 밝혔으며, 마지막으로, 품목분류오류는 기각률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쳐 관련 사건의 경우, 재심 청구에도 불구하고 기각이 될 확률이 상당히 높다는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