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Transformation of Exports in A Product Space Model: The Case of Daegu-Gyeongbuk Province, Korea

생산물공간 분석에 의한 대구경북 수출산업의 구조전환에 대한 연구

  • 이병완 (영남대학교 경제금융학부) ;
  • 박진호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경제조사팀)
  • Received : 2017.01.22
  • Accepted : 2017.02.16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industries of the Daegu-Gyeongbuk province of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product space model that was developed mid 2000s on the basis of a network analysis framework. The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the product space for the 421 export items at HS 4-digit level after grouping them into 4 categories; classics, emerging champions, marginals and the disappearing products. Th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t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the product space for the local industries and the scope and magnitude of such transformation was rather large. We were also able to confirm that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roduct space differs from industry to industry and from group to group. While the approach used is not without shortcomings,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world merchandise trade by way of product space indicators can be quite useful in identifying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industries.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기법에 기반을 둔 생산물공간모형(product space model)의 분석도구들을 이용해 대구경북지역 산업을 분석한다. 분석대상기간을 2000~2001년과 2013~2015년의 두 기간으로 설정하고, 지역산업에 대한 현시비교우위의 동태적 변동을 추적해 HS 4단위의 421개 품목을 대상으로 전통(즉, 경쟁력 유지)품목, 신흥품목, 사양품목, 한계품목의 네 그룹으로 구분한 후 생산물공간 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2000~2001년 이후 최근에 이르는 동안 지역산업은 상당한 구조전환을 겪었으며, 그 구조전환의 범위와 폭이 넓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그러한 구조전환이 산업별 품목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정책대응이 필요한 대상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어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은행의 재정지원을 받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와 공동으로 작성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