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fference between Short and Long Intramedullary Nailing as the Treatment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AO/OTA 31-A2) in Elderly Patients

고령환자에서 발생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AO/OTA 31-A2)의 치료 시 골수강내 금속정의 길이에 따른 추시 결과

  • Shin, Won 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Eun S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h, Kuen Ta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신원철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은성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서근택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Received : 2016.04.06
  • Accepted : 2016.08.07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in elderly patients with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intramedullary nail.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09 and December 2014, a total of 139 patients-older than 65 years of age with AO/OTA classification of 31-A2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who has been followed-up for at least 1 year after the treatment with internal fixation by using an intramedullary nail were enrolled for this retrospective control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intramedullary nail: 106 patients in the short group (group I) and 33 patients in the long group (group II). For radiological assessments, the reduction state, time to union, and implant related complications were examine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preoperative hemoglobin, operating time, intraoperative bleeding amount, blood transfusion rate, hospitalization period, and Charnley hip pain scoring system at the final follow-up. Results: The postoperative radiographs showed good or acceptable reduction in all cases. The mean time of radiologic bone union was 4.8 month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surgical time, the group II was found to take longer (57.87 minutes) than the group I (45.65 minutes) (p=0.003). The bleeding amount during surgery of the group II was greater (288.78 ml) than that of the group I (209.90 ml) (p=0.046). The clinical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in both groups. Conclusion: In cases of good reduction of the fracture from the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accompanying the posteromedial fragment in elderly patients, both groups-long and short intramedullary nails-showed satisfactory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목적: 고령 환자에서 발생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골수강내 금속정의 길이에 따른 방사선적, 임상적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방사선 영상상 AO/OTA 분류 31-A2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되어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내고정을 시행한 뒤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5세 이상의 환자 139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을 짧은 골수정(I군)과 긴 골수정(II군)을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106예, 33예로 조사되었다. 방사선적인 평가로 골절의 정복 정도, 골유합까지의 기간, 합병증 발생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 혈색소, 수술 시간, 수술 중 출혈량, 수혈 유무, 입원 기간 및 최종 추시 시 Charnley 고관절 점수를 통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단순 방사선 검사상 전 예에서 good 또는 acceptable한 정복 상태를 얻었다. 골유합까지 평균 4.8개월이 걸렸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II군(57.87분)이 I군(45.65분)보다 수술 시간이 길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3). 수술 중 출혈량의 경우 II군(288.78 ml)이 I군(209.90 ml)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46). 최종 추시 시 임상적 결과는 두 군 모두 만족스러웠다. 결론: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후내측 골편을 동반한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골절 부위의 정복을 잘 시행한 경우 긴 골수정과 짧은 골수정 모두 만족스러운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6년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