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과 진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Adaptation and Career of College Students Chosen by Admissions Officers System

  • 김헌주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
  • 김경미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 투고 : 2017.01.11
  • 심사 : 2017.03.02
  • 발행 : 2017.04.28

초록

이 논문에서 우리는 입학사정관제가 잘 정착되어지고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제도와 기존의 입학제도로 입학한 학생들 사이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졸업 후 진로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으로 졸업한 09학번과 10학번들 중에서 세가지 영역에 대한 자료를 모두 가지고 있는 404명을 대상으로 평균차이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학생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졸업 후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취도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입학사정관제 선발 유무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부터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지속적으로 시행한 H대학이 그동안 입학사정관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i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settled down successively. We compare two groups, one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 other admitted by the usual system in term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status after graduation. In this paper, 404 students, who had graduated in 2016 and had data on three indices were analyzed by mean difference test and Chi-squared tes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statistically. The main factor on the career status after graduation is the academic performance rather than the admission system. This means the H university, which has been chosen as the leading university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ince 2008, has settled dow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uccessful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안나, 이병식, "한국 고등교육의 보편화에 따른 대학 재구조화의 현황과 정책 방향," 한국교육, 제31권, 제2호, pp.415-440, 2004.
  2. 김헌주, 김경미,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상관관계 분석 사례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6권, 제6호, pp.1283-1293, 2015.
  3. 김성남, "국내 입학사정관제 관련 연구동향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pp.163-183, 2013.
  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 전형 대학별 시행 현황," 보도자료, 2015.
  5. 김준엽, 박소영, 신혜숙, 민병철, "대학에서의 학습 및 활동을 중심으로 본 입학사정관제 성과,"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9-50, 2013.
  6. 백승희, 정혜원, "대학 입학생의 대학생활 성과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 여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251-280, 2016.
  7. 김지하, 이병식,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교육과학연구, 제41권, 제2호, pp.209-230, 2010.
  8. 이광현, 권용재,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들과 일반전형 학생들의 대학생활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 제51권, pp.23-47, 2014.
  9. 임진택, 조민경, 김효희, "입학전형별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입학전형연구, 제3권, pp.91-110, 2014.
  10. 최석준, 김병수,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자와 수능중심 전형 입학자간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4220-4227,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1.4220
  11. 조명희, 이현우,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전 공계열별 신입생의 학습역량 차이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163-179, 2014.
  12. 윤성이, 민희, 김은혜, 김명옥,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 성과연구," 입학전형연구, 제2권, pp.165-191, 2013.
  13. 전경애,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 호, pp.508-51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508
  14. 한미현, 배상목, "대학입학유형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6-53,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46
  15. 박효미, 이혜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 권, 제8호, pp.304-31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304
  16. 김현순, 김지효, "대학생의 진로인식에 따른 진로 교육 요구도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651-65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651
  17. 김지효,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1호, pp.123-139, 2016.
  18. 임다희, 조일형, 권기헌, "대졸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제16권, 제3호, pp.529-55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