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of Developing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Korean Defense Informatization

국방정보화 수준평가 모델 개발 사례

  • 임규건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 이대철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주)씨앤엘컨설팅) ;
  • 권혁진 (한국국방연구원) ;
  • 조성림 (한국국방연구원)
  • Received : 2017.01.09
  • Accepted : 2017.09.0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ROK military is making a great effort and investment in establishing network-centric warfare, a future battlefield concept, as a major step in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plan for military innovation.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level, an advanced process is introduced to shorten the command control time of the military and the business process is improved to shorten the decision time. In the information system dimension, an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is achieved by establishing an automated command control system and a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y using the battl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we must evaluate the present level of informatization in an objective manner and assess the current progress toward the future goal of the military by using objective indicators. In promoting informatization, we must systematically identify the correct areas of improvement and identify policy directions to supplement in the future. Therefore, by analyzing preliminary research, workshops, and expert discussions on the major informatization level evaluation models at home and abroad, this study develops an evaluation model and several indicators that systematica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organizations. The developed informatization level evaluation model is verified by conducting a feasibility test for the troops of the operation class or higher. We expect that this model will be able to objectively diagnose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the ROK military by putting budget and resources into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and to rapidly improve the vulnerability of the information sector.

우리 군은 미래 전장개념인 네트워크 중심전(NCW) 환경 구축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국방개혁 기본계획의 완성시점을 축으로 삼아 많은 노력과 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군 조직차원에서는 선진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군의 지휘통제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와 더불어 업무 프로세스를 향상시켜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한다. 또한, 정보체계 차원에서는 전장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자동화된 지휘통제 체계 구축 및 자원관리정보체계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혁신적인 IT환경에 맞추어 군에서도 객관적인 정보화 수준에 대한 지표를 통해 군이 지향하는 미래 목표대비 현재 어느 수준에 도달해 있는지에 대한 수준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정확한 개선 분야의 식별이 가능하고, 환류를 통해 보완될 사항들이 점검되며 향후 정책방향 도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수준평가 모델 분석과 정보화 수준평가 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워크숍 및 전문가 토의를 거쳐 군 조직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수준평가 프레임워크 및 지표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보화 수준평가 프레임 워크는 작전사급 이상의 부대를 대상으로 한 파일럿 테스트로 측정 가능성 및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수준평가 프레임워크를 통해 우리 군의 정보화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함으로써 한정된 예산과 자원을 적시 적소에 투입하고 정보화 분야별 취약점을 보다 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양대학교 교내 연구지원 사업으로 연구되었음(HY-2015년도).

References

  1. 국방정보화정책서, 국방정보화정책서-nDefense Vision 2020, 국방부, 2008.
  2. 권혁진 외, 사례로 풀어쓴 국방정보화 평가, 한국국방연구원, 2012.
  3. 권혁진, "국방 정보화 특성과 발전방향", 한국국정관리학회 2011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1, pp. 65-79.
  4. 김문선, 황순환,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평가 및 기업성과지표와의 관계 분석", 경영학연구, 제34권, 제2호, 2005, pp. 549-568
  5. 박병호, "국방 정보화 최신 동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4호, 2013, pp. 14-17. https://doi.org/10.20924/CCTHBL.2013.11.4.014
  6. 박일규, 하병국, 차인환, 최종섭, "공공부문 정보기술아키텍처의 합리적 성과평가를 위한 제언", 한국IT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7.
  7. 서민우, 권경용, "국방정보화 전망과 미래 유망 국방정보기술 발굴", 기술혁신연구, 제19권, 제2호, 2011, pp. 77-97.
  8. 엄정호, "국방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 및 협력체계 구축 방안",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3권, 제5호, 2016, pp. 341-352.
  9. 유천수, 정은주, "국방정보화 추진 접근방법에 대한 경영효율화 관점에서의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92권, 2011, pp. 67-99.
  10. 이미영, 정보화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7.
  11. 이병화, 임성렬, "Mission Critical 공공 정보화 구축 시험평가 개선 지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2015, pp. 97-107. https://doi.org/10.7472/JKSII.2015.16.6.97
  12. 이재영, "국방정보화사업 효과의 계량적 분석 평가",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4권, 제2호, 2004, pp. 269-289.
  13. 임규건, 배순한, 이대철, 백승익, 지성호, "국가정보보호수준 평가지표 개선 및 지수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3, pp. 187-203. https://doi.org/10.9716/KITS.2013.12.4.187
  14. 임규건, 이재규, 이대철, "전자정부 G2B 시스템의 성과평가 분석을 위한 새로운 평가 모델 및 방법론 개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0권, 제2호, 2008a, pp. 269-289.
  15. 임규건, 조남재, 이대철, "정보화사업 투자에 대한 시차효과 분석: 산업인력정보화 중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0권, 제3호, 2008b, pp. 133-153.
  16. 임춘성, 기업정보화 수준평가 및 상세지표 조사분석, 기업정보화지원센터, 2000.
  17. 임춘성, 유은정, 김병완, 신선도, 이병율, 차정훈, "차세대 기업 정보화 수준 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3권, 제4호, 2008, pp. 125-144.
  18. 조성림, 최인수, 박지훈, 신우창, "국방조직의 정보보호 평가 방법론 개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3, pp. 77-90. https://doi.org/10.9716/KITS.2013.12.4.077
  19.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07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07.
  20. 한국국방연구원, 국방 정보화 수준 평가 방법론, 한국국방연구원, 2004.
  21. 한창희, 김명섭, 이기광, "e-Pioneer중소기업 정보화 수준진단 시스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2권, 제1호, 2009, pp. 147-156.
  22. 홍진기, "미래 전장관리정보체계 구축 방향", 국방정책연구, 제64호, 2004, pp. 127-146.
  23. Ahrari, M. E., "US Military strategic perspectives on the PRC-new frontiers of information-based war", Asian Survey, Vol.37, No.12, 1997, pp. 1163-1180. https://doi.org/10.2307/2645764
  24. Benbasat, I., S. A. Dexter, and W. R. Mantha, "Impact of organizational maturity on information system skill needs", MIS Quarterly, Vol.4, No.1, 1980, pp. 21-34. https://doi.org/10.2307/248865
  25. Clay, W., Network Centric Warfare: Background and Oversight Issues for Congress, CRS Report for Congress, 2005, pp. 1-43.
  26. D'Ambra, J. and R. E. Rice, "Emerging factors in user evaluation of the world wide web", Information & Management, Vol.38, No.6, 2001, pp. 373-384. https://doi.org/10.1016/S0378-7206(00)00077-X
  27. Dale, L. G. and R. L. Thompson, "Task-technology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MIS Quarterly, Vol.19, No.2, 1995, pp. 213-236. https://doi.org/10.2307/249689
  28. Davern, J. M. and J. R. Kauffman, "Discovering potential and realizing value from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6, No.4, 2000, pp. 121-14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0.11518268
  29. DeLone, W. H. and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1992, pp. 60-95. https://doi.org/10.1287/isre.3.1.60
  30. Goldstein, C. R. and B. I. McCririck, "The stage hypothesis and data administration: Some contradictory eviden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1981, pp. 309-324.
  31. Grant, T. J. and B. M. Kooter, "Comparing OODA and other models as operational view architecture",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mmand & Control Research & Technology Symposium, US DoD Command & Control Research Program, Washington DC, USA, 2005, p. 196.
  32. Lim, G. G., D. C. Lee, and R. E. Co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time lag effect of investments in innovative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y, Vol.77. No.3, 2015, pp. 328-341.
  33. Mahmood, M. A., L. Hall, and L. D. Swanberg,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meta-analysi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Journal of Organizational Computing and Electronic Commerce, Vol.11, No.2, 2001, pp. 107-130. https://doi.org/10.1207/S15327744JOCE1102_02
  34. Nolan, R. L., "Managing the crisis in data processing", Havard Business Review, Vol.57, No.2, 1979, pp. 115-126.
  35. Seddon, P. B. and M. Y. Kiew, "A partial test and development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Vancouver, Canada(ICIS 94), 1994, pp. 99-110.
  36. Soh, C. and M. L. Markus, "How IT creates business value: A process theory synthesis",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1995, pp. 29-41.
  37. Taylor, S. and P. A.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1995, pp. 144-176. https://doi.org/10.1287/isre.6.2.144
  38. William, H. M., "The emerging joint system of system: A systems engineering challenge and opportunity for APL", John Hopkins APL Technical Digest, Vol.17, No.3, 1996, pp. 30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