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uthentic' Pleasures of Engineering Students

공대생의 '진정'한 즐거움: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학생들의 서사적 정체성과 가치 체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7.10.27
  • Accepted : 2017.11.21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so-called engineering students, account for nearly half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isting research on younger generations poses a question of young generat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as a 'genuine' survivalist who carries out 'passionate labor' to pursue 'ordinary life' and 'banal stability'. They are diagnosed as failing to "locate the course of their lives in relation to a larger being that transcends self". But is there a value that can replace the survival value in front of us today, which is possible to be practiced and narrated by the young generation of Korea, especially the engineering students? What value (if any) is not captured by survival value, and what mechanisms and processes can and can easily be used by engineering students? Our research uses interviews conducted at one research-centered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in a local metropolitan city, Korea. In conclusion, we emphasize that a transformed version of developmental nationalism, in which individual scientists/engineers pursue their 'authentic' passion and unintentiona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through byproducts of their research, exerts strong influence upon the formation of young engineering students' narratives linking their selfhood and the good.

이공계 대학생, 이른바 공대생은 한국 대학생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청년 세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청년 세대를 '평범한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 '열정노동'을 수행하는 '진정'한 생존주의자로서 문제화하였다. 이들은 '자신을 초월한 더 큰 존재와 관련 속에서 자신의 삶의 행로를 위치지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의 청년 세대, 특히 공대생들이 수행하고 서사화하는 것이 가능한, 당장 눈앞의 생존 가치를 대체할 만한 가치란 있는 것인가? 생존 가치에 붙잡히지 않는 가치는 (만약 있다면), 어떤 기제와 과정을 통해 공대생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없는 것이 되는가? 우리는 한 지방광역시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인터뷰들을 소개하겠다. 이들은 아직 본격적인 과학기술 연구자로서의 삶을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 연구자로서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대, 두려움, 혼란, 욕구, 선(the good)에 대한 지향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2017년 한국이라는 특정한 시공간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가용한 재고 지식'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우리는 인터뷰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세 가지 주제-그다지 나쁘지 않은 삶, '진정'한 즐거움, 개발민족주의에 대한 반감-에 관해 분석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어 하는 연구를 행하고 그러한 연구의 비의도적 부산물을 통해 국가의 발전에 기여하는 변형된 개발민족주의가, 공대생의 자기답게 되기와 선(selfhood and the good)을 연결 짓는 서사 형성에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수신문(2015. 3. 16), 재정지원 제한대학 평가 도입뒤 ʻ공학계열' 정원 비중만 늘었다.
  2. 김상현 (2017),박정희 정권 시기 저항 세력의 사회기술적 상상, 역사비평 제120호, 316-346쪽.
  3. 김홍중 (2007), 삶의 동물/속물화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귀여움: 87년 에토스 체제의 붕괴와 그 이후, 사회비평 제36호, 76-96쪽.
  4. 김홍중 (2009),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한국사회학 제43권 제5호, 1-29쪽.
  5. 김홍중 (2015),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 마음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 제49권 제1호, 179-212쪽.
  6. 김학준 (2016), 질식의 예감, 문화과학 제3호, 309-319쪽.
  7. 김효민.김성은 (2015), SW(소프트웨어) 중심사회의 윤리적 체제와 기술 시티즌십, 과학기술학연구 제12호, 263-301쪽.
  8. 대학교육연구소 (2016) 대교연 통계(기본). 대학교육연구소.
  9. 서동진 (2010),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해부학 혹은 그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문화과학 제3호, 37-54쪽.
  10. 오찬호 (2013),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개마고원.
  11. 우석훈.박권일 (2007), 88만원세대: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레디앙.
  12. 이우창 (2016), 헬조선 담론의 기원: 발전론적 서사와 역사의 주체 연구, 1987-2016, 사회와 철학 제10호, 107-158쪽.
  13. 전상진 (2008), 자기계발의 사회학: 대체 우리는 자기계발 이외에 어떤 대안을 권유할 수 있는가?, 문화와 사회 제5호, 103-140쪽.
  14. 최종렬 (2017), ʻ복학왕'의 사회학- 지방대생의 이야기에 대한 서사분석, 한국사회학 제51권 제1호, 244-293쪽.
  15. Abelmann, N., Park, S. and Kim, H. (2009), "College Rank and Neoliberal Subjectivity in South Korea: The Burden of Self-Development."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10, pp. 229-47. https://doi.org/10.1080/14649370902823371
  16. Berman, M. (1972), The politics of authenticity: Radical individualism and the emergence of modern society. London: Verso.
  17. Cech, E. and Blair-Loy, M. (2010), "Perceiving glass ceilings? Meritocratic versus structural explanations of gender inequality among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Problems, Vol. 57, pp. 371-397. https://doi.org/10.1525/sp.2010.57.3.371
  18. Cech, E. (2013), "The (Mis)Framing of Social Justice: Why Meritocracy and Depoliticazation Hinder Engineers. Ability to Think About Social Injustice", in Lucena B. ed., Engineering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Critical Explorations and Opportunities, pp. 67-84, New York: Springer.
  19. Comaroff, J. and Comaroff, J. (2000), "Millennial capitalism: first thoughts on a second coming." Public Culture, Vol. 12, pp. 291-343. https://doi.org/10.1215/08992363-12-2-291
  20. Geertz, C.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New York: Basic Books.
  21. Hacker, Sally. (1990), "The Culture of Engineering: Woman, Workplace, and Machine", in Smith D. and Turner S. eds., "Doing It the Hard Way": Investigations of Gender and Technology, pp. 111-26. Boston, MA: Unwin Hyman.
  22. Han, K. (2010), "A crisis of identity: the Kwa-hak-ki-sul-ja (scientist-engineer) in contemporary Korea." Engineering Studies, Vol. 2, pp. 125-147. https://doi.org/10.1080/19378629.2010.490557
  23. Han, K. and Downey, G. (2014), Engineers for Korea: Synthesis Lectures on Global Engineering. San Rafael, CA: Morgan and Claypool.
  24. Hughes, T. (2005), American Genesis: A Century of Invention and Technological Enthusiasm, 1870-1970.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Kendall, L. (1999) "ʻThe Nerd Within.: Mass Media and the Negotiation of Identity among Computer-Using Men." Journal of Men.s Studies, Vol. 99, pp. 353-67.
  26. Kim, H., Cho, Y., Kim, S. and Kim, H. (2017), "Women and Men in Computer Science: Geeky Proclivities, College Rank, and Gender in Korea."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12, pp. 1-23.
  27. Lerner, M. (1980),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fundamental delusion. New York: Plenum Press.
  28. Margolis, J. and Fisher, A. (2002), Unlocking the Clubhouse: Women in Computing. Cambridge, MA: MIT Press.
  29. Nye, D. (1994), American Technological Sublime. Cambridge, MA: The MIT Press.
  30. Schutz, A. (1970), On Phenomenology and Social Relations, translated by George Walsh and Frederick Lehnert.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Spicer, A. (2011), "Guilty Lives". Ephemera, Vol. 11, pp. 6-62.
  32. Taylor, C. (1989), Sources of the Self: The Making of the Modern Identi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3. Turkle, S. (1984), The Second Self: Computers and the Human Spirit. New York: Simon and Schu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