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레코드 컨티뉴엄 기반 기록콘텐츠의 의미 모색 종교기관 기록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Record Contents Based on Record Continuum: Focusing on the Record Contents of Religious Institutions

  • 김명훈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투고 : 2017.03.28
  • 심사 : 2017.04.21
  • 발행 : 2017.04.30

초록

본고에서는 전자기록 환경을 맞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록의 활용성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해, 교회기록콘텐츠를 사례로 레코드 컨티뉴엄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학계 논의 및 실제 구축사례들에서는 기록콘텐츠를 특정 세부 주제와 관련된 일부 기록을 토대로 고도의 컴퓨터 기술력 및 예산을 투입해 제작한 디지털 매체로 인식되고 있어, 기록콘텐츠의 보편화 내지 범사회적 확대에 저해가 되고 있다. '콘텐츠'는 '내용물'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인류가 의사소통 수단을 발명한 이래 지속적으로 존재해 왔다고 볼 때, 기록의 활용성 강화 및 이를 통한 의미 확산을 위해서는 기록콘텐츠 역시 고도의 기술력 및 예산이 투입되는 특정 주제 기반의 디지털 매체란 인식을 탈피하여, 우리 일상생활 주변에도 온오프라인 상에 다수 존재하고 있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교회기록이 지닌 의미와 함께 활용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록이 생성되는 모태인 조직 및 기능에 대한 분석이 사전적으로 전제될 필요가 있다는 전제 하에, 교회기록콘텐츠가 지닌 의미의 사전적 모색을 위해 교회의 조직 기능분석과 함께 교회기록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교회의 조직 기능분석을 통해 파악된 교회의 본원적 사명과 연관지어 레코드 컨티뉴엄의 각 차원별 교회기록콘텐츠의 의미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1절은 레코드 컨티뉴엄의 차원1과 차원2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교회의 활동 중에 생성되는 수많은 흔적이 증거로서의 기록으로 획득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안과 함께, 조직 업무차원의 기록콘텐츠화 사례를 제시하였다. 레코드 컨티뉴엄의 차원 3에 해당하는 2절에서는 교회의 본원적 사명과 관련하여 아카이브를 활용해 시도한 기록콘텐츠의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차원4에 해당하는 3절에서는 교회기록콘텐츠의 의미가 범사회적으로 다원화되는 사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결국 이를 통해 우리의 일상 생활 속에서 기록의 의미 및 활용 가치를 발견하고 나아가 범사회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record cont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cord continuum to find way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records that are emphasized by the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s. In general, in academic discussions and practical examples, record contents are recognized as digital media produced by putting a high level of computer technologies and a big budget based on some records related to specific subject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and spread the meaning through, records,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awareness in record contents.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to grasp the meanings of the church records as well as the utilization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the church was examined. In Chapter 3,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meaning of the contents of church records in each dimension of the record continuum in relation to the mission of the church, which was identified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analysis of the church. In Section 3, which corresponds to Dimension 4, the meaning of church record contents is diversified in society.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aning and use value of records can be found in everyday life and can then be spread to society as wel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덕. 2003.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1, 5-27.
  2. 김명훈. 2010. 레코드 컨티뉴엄과 평가, 그리고 기록콘텐츠: 기록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정보관리연구, 41(3), 131-153.
  3. 김익한, 설문원. 2006. 이승만시기 국무회의록과 정부부처 기록의 연관구조 분석에 기반한 역사 컨텐츠 설계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15-136.
  4.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 201-256.
  5. 원종관. 2007. 레코드 컨티뉴엄의 속성을 통해 본 증거와 기억의 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6. 이영학 외. 2012. 현대기록학 산책. 한국외대 기록학연구센터총서 2. 서울: 다해출판사.
  7. 전수진. 2008.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127-152.
  8.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교회 기록물관리 방법론 연구.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9. Bearman, David. 1994. Diplomatics, Weberian Bureaucracy, and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in Europe and America. Electronic Evidence: Strategies for Managing Records in Contemporary Organizations. Pittsburgh: Archives & Museum Informatics, 254-277.
  10. Delmas, Bruno. 2001. Archival Science Facing the Information Society. Archival Science, 1(1), 25-37. https://doi.org/10.1007/BF02435637
  11. Flynn, Sarah J. A. 2001. The Records Continuum Model in Context and Its Implications for Archival Practice.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2(1), 79-93. https://doi.org/10.1080/00379810120037522
  12. McKemmish, Sue. 1994. Are Records Ever Actual?. The Records Continuum: Ian Maclean and Australian Archives first fifty years. McKemmish, Sue & Piggott , Michael eds. Clayton: Ancora Press in association with Australian Archives.
  13. McKemmish, Sue. Placing Records Continuum Theory and Practice. Archival Science, 1(4), 333-359.
  14. Reed, Babara. 2005. Beyond Perceived Boundaries: Imagining the Potential of Pluralised Recordkeeping. Archives and Manuscripts, 33(1), 176-198.
  15. Reed, Babara. 2005. Records. Archives: Recordkeeping in Society(Australasia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24). Sue McKemmish, Michael Piggott, Barbara Reed, Frank Upward eds. Wagga Wagga: Centre for Information Studies, Charles Sturt Univ., 101-130.
  16. Ribeiro, Fernada. 2001. Archival Science and Changes in the Paradigm. Archival Science, 1(3), 295-310. https://doi.org/10.1007/BF02437693
  17. Trace, Ciaran. 2002. What Is Recordde Is Never Simply 'What Happened': Record Keeping in Modern Organizational Culture. Archival Science, 2(1), 137-159. https://doi.org/10.1007/BF02435634
  18. Upward, Frank & McKemmish, Sue. 2006. Teaching Recordkeeping and Archiving Continuum Style. Archival Science, 6(2), 219-230.
  19. Upward, Frank. 1996.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Part 1: Postcustodial Principles and Properties. Records Continuum Research Group Publications.
  20. 미국 노스코스트(North Coast) 교회 홈페이지 http://www.northcoastchurch.com
  21. 새문안교회 사료관 홈페이지 https://archive.saemoonan.org:557/index.asp
  22. 캐나다 기숙학교 아카이브 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thechildrenremembered.ca
  23. 한경직 목사 기념사이트 홈페이지 http://hankyungchik.org

피인용 문헌

  1.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의 기원에 관한 연구 라이프사이클 모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vol.67,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1.68.005
  2. 전자기록 환경에서 레코드 컨티뉴엄의 의의와 한계: 기록의 의미 및 속성을 중심으로 vol.21, pp.3, 2017,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