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동기록 평가·선별에 관한 연구 지방고용노동청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Appraisal and Selection of Labor Records: Focusing on the Agency of Employment and Labor

  • 곽건홍 (한남대학교 역사.철학상담학과)
  • 투고 : 2017.12.30
  • 심사 : 2017.01.17
  • 발행 : 2017.01.31

초록

지방고용노동청은 근로감독 등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노동사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생산한다. 그러나 노동사 관점에서 연구에 활용될 가치가 충분한 기록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거시사와 미시사를 고려한 노동사 관점에서 주요 주제와 행위주체를 분류하고, 각각의 주제별로 장기간 보존이 필요한 기록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기록관리기준표의 획기적 개선을 통한 기록 보존기간의 과학화, 연구가치 관점의 '주제 기반 평가 가이드라인' 등 주제 기반 평가 기준 구축, 기능과 주제를 결합한 기록 평가 선별 전략으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였다.

The Agency of Employment and Labor produces various records that are related to labor history subject while performing its functions such as labor supervision. Some valuable records were discarded even if they are worthy enough to be research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u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classifying the main subjects and the main agents of an action in view of macrohistory and microhistory. Some examples of the records that require prolonged preservation were also presented by each issue. Furthermore, this article proposes a dramatic improvement of the records schedule. It also presents other issues as the foundation of the valuation standard based on the subject including the conversion of the strategy of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that combines the function and the sub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승복. 2012. 체불임금의 실태와 시사점. 노동리뷰, 85, 68-81.
  2.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1975. 한국노동관계문헌목록. 서울: 고려대학교.
  3. 고용노동부. 2013. 고용노동부 기록관리기준표.
  4. 곽건홍. 2001. 일제의 노동정책과 조선노동자: 1938-1945. 서울: 신서원.
  5. 곽건홍. 2009. 노동 아카이브 설립 환경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0, 77-114.
  6. 구해근. 2008.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서울: 창작과비평사.
  7. 권순식. 2016. 비정규직 고용과 산업재해의 연관성. 산업경제연구, 29(1), 169-194.
  8. 김광성. 2011. 이주노동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관련법제 개선방안. 노동법논총, 23, 183-217.
  9. 김성희. 2009. 비정규 문제의 쟁점과 비정규운동의 과제. 한국노동운동연구소.
  10. 김승태. 2013. 공공기관의 기록물 평가심의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왕배. 2001.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서울: 한울.
  12. 김 원. 2007. 한국에서 '노동사 연구'란 무엇인가?-제1세대 노동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단상. 경제와사회, 73, 393-400.
  13. 김 원. 2011.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기억, 사건 그리고 정치. 서울: 현실문화연구.
  14. 김장환. 2014. 국회 기록화 전략의 수집과 적용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 준. 2010. 다시 못 올 것에 대하여-노동자 구술증언 속의 '향수' 또는 '과거의 낭만화'. 사회와역사 85.
  16. 김중희 편저. 1995. 노동조합 실무-이론과 실제. 서울: 노문사.
  17. 김진구. 2002. 비정규직근로자와 사회보장-적용을 둘러싼 쟁점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12, 79-108.
  18. 김진희. 1999. 미국 노동사의 위기와 해결의 모색. 미국사연구 10. 29-54.
  19. 김태기. 1993. 단체교섭의 절차와 기법.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 김효정. 2010.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노동의 의미에 관한 연구: 소규모 식당노동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6(1), 1-33.
  21. 노동조합사전 간행위원회 편. 1988. 노동조합사전. 서울: 형성사.
  22. 大河內一男, 吾妻光俊. 1970. 勞動事典. 東京 : 靑林書院新社.
  23. 문은미. 2014. 여성노동자 50년, 여공에서 워킹맘까지. 여/성이론, 31, 188-205.
  2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3. 한국노동운동관련문헌해제. 서울: 내일기획.
  25. 박경순. 2002. 남녀고용평등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성보호 및 직장과 가정생활의 양립지원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12(1), 91-107.
  26. 박옥주. 2016. 청소용역 여성노동자의 노동조건과 일 경험. 한국여성학, 32(2), 217-251.
  27. 박지애.임진희. 2015. 디지털기록유산 평가.수집 모형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44, 51-99.
  28. 백석현. 1997.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과 노동력 부족대책. 노동연구, 13, 29-68.
  29. 백진아. 2002. 90년대 여성노동정책의 형성과 담론: 남녀고용평등법과 모성보호관련법을 중심으로. 젠더와 사회, 1, 41-68.
  30. 석원정. 2002.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현실. 교육비평, 10, 170-182.
  31. 설동훈. 2003. 한국의 외국인 노동운동, 1993-2003: 이주노동자의 저항의 기록. 진보평론, 17, 246-269.
  32.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 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33. 손정순. 2009. 금속산업 비정규 노동의 역사적 구조 변화: 산업화 이후 금속산업 사내하청 노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
  34. 송호근. 1991. 한국의 노동정치와 시장, 서울: 나남.
  35. 신경아. 2013. 여성노동자의 생애이야기에 나타난 '개인'의 의식. 젠더와 문화, 6(2), 215-252.
  36. 신권철. 2013. 노사협의회의 법적 지위와 역할. 노동법연구, 35, 267-304.
  37. 안병직. 1997. 유럽의 산업화와 노동계급. 서울: 까치글방.
  38. 엄한진. 2014. 강원지역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과 일상생활. 아세아연구, 57(4), 174-214.
  39. 오상봉. 2016. 최저임금 미준수: 현황, 제도, 개선방안. 노동리뷰, 130, 51-56.
  40. 오성진. 2004. 공공기록물 분류체제의 변화연구 : 경제기획원.재정경제부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유정숙 외. 2011. 나, 여성노동자 1. 서울: 그린비출판사.
  42. 이경옥 외. 2011. 나, 여성노동자 2. 서울: 그린비출판사.
  43. 이광일, 강병익, 최선화. 2003. 한국노동운동관련문헌해제. 서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연구소 학술연구부.
  44. 이광택. 2004. 외국인 노동자의 법적보호. 법학논총, 16, 113-149.
  45. 이수연. 2012. 남녀고용평등법상 차별규정의 한계와 개선과제. 이화젠더법학, 4(2), 59-85.
  46. 이옥지, 강인순. 2001. 한국여성노동자 운동사. 서울: 한울.
  47. 이은진. 1999. 노동자가 빠진 수렁: 국가와 시장. 마산: 경남대학교출판부.
  48. 이혜경. 1994. 외국인 노동자 고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28(가을), 89-113.
  49. 이화령. 2016. 기록관리기준표 연구: 국가보훈처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장신철. 2012. 비정규직 범위와 규모에 대한 새로운 고찰. 산업관계연구, 22(1), 55-77.
  51. 전국노동조합협의회. 1990. 단체협약 모범안 해설. 서울: 돌베개.
  52. 전순옥. 2004. 끝나지 않은 시다의 노래: 1970년대 한국 여성노동운동에 대한 새로운 자리매김. 서울: 한겨레신문사.
  53. 전형배. 2010. 외국인근로자의 노동인권. 노동법논총, 18, 125-157.
  54. 정영섭. 2012. 한국사회의 이주노동자 현황과 운동 과제, 인문과학연구, 39, 23-44.
  55. 정은봉. 2013.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정현백. 1991. 노동운동과 노동자문화. 서울: 한길사.
  57. 제갈현숙. 2014. 생활임금과 저임금 여성노동자: 대안 임금정책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7(2), 109-145.
  58. 조돈문. 2011. 비정규직 노동자 실태와 비정규직 투쟁. 현상과 인식, 35, 43-74.
  59. 조상균. 2010. 비정규직 관련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산업관계연구, 20(1), 111-134.
  60. 조용만. 2012. 비정규직 차별금지의 쟁점과 과제. 노동법학, 42, 1-33.
  61. 조정하. 2008. 연소근로자와 여성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법적 규율. 서강법학, 10(1), 219-253.
  62. 조효래. 2008. 사내하청 노동운동의 발생과 성장에 관한 연구. 산업노동연구, 14(1), 125-165.
  63. 최은계. 2009. 노동운동사에서 노동사로. 노동사회, 143, 77-90.
  64. 최장집. 1997.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서울: 나남.
  65. 최재희. 2011.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회고와 전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7-22.
  66. 최재희. 2014.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53-175.
  67. 한국산업사회연구회. 1993. 산업사회학 강의. 서울: 한울아카데미.
  68. 현재열, 김호연, 양상현. 2007. 지역 노동사 및 노동운동사 연구를 위한 구술사의 가능성. 역사와경계, 62, 191-235.
  69. 황용연. 2011. 복수노조시대의 노사협의회 운영 개선방안. 산업관계연구, 21(3), 33-57.
  70. Tilly, Louise and Scott, Joan. 1987. Women, Work and Family. New York: Routledge (김영, 박기남, 장경선 역. 2008. 여성, 노동, 가족. 서울: 후마니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