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on the Republic of Korea Army: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Culture

육군 기록관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기록경영프로세스와 조직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택윤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7.12.30
  • Accepted : 2017.01.17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termine how the Republic of Korea Army (ROKA) records management system affects practitioner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The levels of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which is based on ISO 15489,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whereas the ROKA's records management system factors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standardized elements of ISO 30301 (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s then statistically examined using a sample (N = 251) surveyed with record management practitioners in the ROKA. The results show that operation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the purposes and benefits of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n expertise-based and value-oriented policy and edu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practitioners' understanding of record management.

본 연구는 기록관리 인식을 조직의 문화로 보고, 육군의 기록관리 체계가 기록관리 문화 정착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ISO 15489에서 정의하는 기록관리의 목적과 편익, 그리고 프로세스에 대한 육군 실무자들의 인식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였고,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을 바탕으로 육군의 기록관리 체계를 분석하여 리더십, 기획/지원, 운영, 개선/평가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조직문화와 기록경영시스템의 개념과 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고, 육군 내 다양한 부대, 계급, 병과를 고려하여 실무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251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기록관리의 목적과 편익 등 기본 가치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운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 연구 분야에서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조직문화 개념을 토대로 기록관리 문화의 정착에 관한 개선방향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영. 2014. 국방기록물관리기관의 전략적 운영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2. 고규철. 2011. 육군 보존기관의 기록물 보존 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물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3. 국가기록원. 2012. 기록관리 국제표준 해설: ISO 30301 문헌정보 - 기록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대전: 국가기록원.
  4. 김용찬. 2013. 육군 기록물분류체계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5. 김익한. 2007. 기록학의 도입과 기록관리혁신(1999년 이후). 기록학연구, 15, 67-93.
  6. 김초롱. 2014. 대학기록관에서의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도입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7. 김현정. 2012. 군 기록물관리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기록물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8. 김효민. 2010. 국방기록물의 선별과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9. 남기웅. 2012. 육군 기록관리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10. 박민선. 2011.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의 경영성과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1. 박용기. 2016. 공기업 기록경영 구성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12. 산업통상자원부. 2013. KS X ISO 30301 문헌정보-기록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세종: 산업통상자원부.
  13. 안율종. 1997. 조직문화에 관한 이론적 연구. 경영연구, 12(4), 27-56.
  14. 육군본부. 2014. 기록물관리 및 인쇄규정. 계룡: 육군본부.
  15. 육군본부. 2016. 검색일자: 2016.10.10. http://www.army.mil.kr/
  16. 이상민. 2013. 미국 정보자유제도와 정부기록관리혁신. 기록학연구, 35, 3-40.
  17. 이원규. 2014. 리더십, 사회적 인식, 기록관리제도, 대통령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학술발표논문집, 195-200.
  18. 이홍석. 2013. 육군 사단급 부대 기록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19. 전계청. 2016.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박사학위논문.
  20. 조송암. 2009.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표준소개 및 인증제도에 대한 국내 대응. 국제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컨퍼런스, 2009. 10. 8. 서울: 63빌딩.
  21. 한봉주. 2010. 조직문화, 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공공정책전공 박사학위논문.
  22. 행정안전부. 2016. 정부 3.0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6.10.21. http://www.gov30.go.kr/Intro/Intro.jsp
  23. Curry, A., and Moore, C. 2003. Assessing information culture-An exploratory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3(2), 91-110. https://doi.org/10.1016/S0268-4012(02)00102-0
  24. Hammer, M., and Champy, J. 2003. Reengineering the Corporation: Manifesto for Business Revolution, New York, NY: HaperCollins.
  25. ICA. 2016. Retrieved 2016.10.10. http://www.ica.org/
  26. ISO. 200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Records management - Part1 : General. Geneva, CH: ISO. ISO-15489
  27. ISO. 201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Management Systems for Records - Requirements. Geneva, CH: ISO. ISO-30301.
  28. Pascale, R. T., and Athos, A. G. 1981.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Business Horizons, 24(6), 83-85.
  29. Piggott, M. 2015. Records management and information culture: tackling the people problem.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6(2), 141-143. https://doi.org/10.1080/00048623.2015.1031626
  30. Robbins, S. P., & Judge, T. 2012. Essentials of organizational behavior. Boston, MAJ: Pearson Education. (김광점, 박노윤, 설현도 옮김. 2016. 핵심 조직행동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31. Schein, E. H. 1990. Organizational culture, American Psychologist, 45(2), 109-119. https://doi.org/10.1037/0003-066X.45.2.109
  32. Schein, E. H. 2010.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3. Sundqvist, A., and Svard, P. 2016. Information culture and records management: a suitable match? Conceptualizations of information culture and their application on records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