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의 한국인 BC급 전범관련 자료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Korean B and C War Criminal Records in Japan

  • 쿠누기 에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 이영학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투고 : 2017.09.19
  • 심사 : 2017.10.18
  • 발행 : 2017.10.30

초록

이 논문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에 일본군 군속으로 배속된 한국인이 일본군포로수용소에서 연합군 포로에 대한 학대혐의로 전범이 된 한국인 BC급 전범문제에 대한 일본의 공문서관의 자료 현황을 파악하여 한일아카이브의 가능성을 모색한 글이다. 일본정부는 포츠담선언의 수락을 통해서 전쟁범죄에 대한 재판을 수락하였고, 연합군은 극동군사재판(동경재판)과 아시아 각 지역에서 BC급 전범 재판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일본의 전범 재판속에는 일본인 전범만이 아닌 일본의 식민지 출신인 한국인 대만인도 다수가 전범으로 기소되었고, 이들의 명예회복 및 보상 및 배상 문제는 냉전기간 동안 한일양국정부에 의해서 방치된 상태였으며, 관련 자료의 공개도 한정되었다. 한국인 BC급 전범관련 기록은 국립공문서관이 각 성에서 이관되어 받은 자료가 대부분이고, 그 내용은 주로 연합국에 의한 전범 재판의 기록 복사본, 그리고 일본정부의 각 부처가 향후 독립된 이후 일본 전범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준비한 종합정리 형태의 기록 등이 대부분이다. 외교사료관의 경우, 전범과 BC급 전범의 일본 국내 이송과 관련된 외교 현황이 주된 내용이고, 한국 및 대만 등의 경우, BC급 전범의 송환을 위한 협상의 자료들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아시아역사자료센터는 그 설립목적이나 활동내용을 보면, 한일간의 식민지관련 공동의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한일식민지관련 아카이브구축에 있어서 아시아역사자료센터의 현재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공동 활용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sources on Korean Class B and C war criminals attached as civilians to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Asian Pacific War charged with cruelly treating Allied POWs in Japanese POW camps, and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joint Korean-Japanese archive of these sources. The Japanese government agreed to the judgement of war crimes by accepting the terms of the Potsdam Declaration, and the Allied troops carried out the judgement of Class B and C war crimes in each region of Asia and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for the Far East (also known as the Tokyo Trials). However, many non-Japanese such as Koreans and Taiwanese from the Japanese colonies were prosecuted for war crimes. The issues of reparations and restoring their reputations were ignored by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and public access to their records restricted. Most records on Korean Class B and C war criminals were transferred from each ministry to the National Archives of Japan. The majority are copies of the judgements of war crimes by the Allied nations or records prepared for the erasure of Japanese war crimes after each department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Japanese government. In the case of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uch records focused mostly on their war crimes and the transfer of B and C war criminals within Japan and the diplomatic situation. In the case of Korea and Taiwan, these records were related to the negotiations on the repatriation of Class B and C war criminals. In addition, the purpose of founding of the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and its activities demonstrate its tremendous utility as a facility for building a joint Korea-Japan colonial archive. Thus, the current flaws of the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should be improved on in order to build a such a joint archive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國家報勳處. 獨立有功者功勳錄第20券 2011年度褒賞者, 2012.
  2.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 2016. 6. 위원회활동결과보고서.
  3. 민족문제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한국동진회, 동진회, 동진회를응원하는모임. 2013. 제3회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일공동기획 특별전: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
  4. 아리미쓰, 켄. 2013. 한국인 BC급전범의피해보상을촉구하는입법운동. 제3회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일공동기획 특별전: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 민족문제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한국동진회, 동진회, 동진회를 응원하는 모임.
  5. 이종훈. 2006. 세계를 바꾼 연설과 선언. 서울: 서해문집.
  6. 이학래 2013. 특별발언파란만장한인생, 우리가걸어온길. 제3회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일공동기획 특별전: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 민족문제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한국동진회, 동진회, 동진회를 응원하는 모임.
  7. 内海愛子, 村井吉敬 지음. 1986. 赤道下에서 韓國人의 抗日鬪爭. 서울: 大旺社.
  8. 内海愛子. 2002, 戦後補償から考える日本とアジア. 東京: 山川出版社.
  9. 内海愛子. 2008. キムはなぜ裁かれたのか 東京: 朝日新聞出版.
  10. 内海愛子. 2013. 기조발제: 김은 왜 심판을 받았는가-식민지지배.전쟁재판.전후보상을 생각한다. 제3회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일공동기획 특별전: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 민족문제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한국동진회, 동진회, 동진회를 응원하는 모임.
  11. 内海愛子. 2015. 朝鮮人BC級戦犯の記録. 東京: 岩波書店.
  12. 内海愛子, 大沼保明, 田中宏, 加藤陽子. 2014. 戦後責任一アジアのまなざしに応えて. 東京: 岩波書店.
  13. 内海愛子, 小森陽一, 成田龍一. 2007. 東京裁判が作った戦後日本. 現代思想, 35(10), 44-70.
  14. 内海愛子, 村井吉敬. 2012. 적도에 묻히다: 독립영웅 혹은 전범이 된 조선인들 이야기. 서울: 역사비평사.
  15. 大須賀, ウィリアム. 1991. ある日系二世が見たBC級戦犯の裁判. 東京: 草思社.
  16. 李鶴來. 2016. 韓国人元BC級戦犯の訴えー何のために, 誰のために. 梨の木舎.
  17. 林博史. 2005. BC級戦犯裁判 東京: 岩波書店.
  18. 永井均. 2010. フィリピンと対日戦犯裁判. 東京: 岩波書店.
  19. 宇田川幸大. 2016. 戦犯裁判研究所現在. 歴史評論, 799, 59-68.
  20. 有光健. 2013. 韓国人BC級戦犯の被害補償を促す立法運動. 제3회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한일공동기획 특별전: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 민족문제연구소, 서울역사박물관, 한국동진회, 동진회, 동진회를 응원하는 모임.
  21. 田中宏巳. 2002. BC級戦犯. 東京: 筑摩書房.
  22. 田中宏巳. 2011a. BC級戦犯関連資料集第1巻戦争裁判と諸対策並びに海外における戦犯受刑者の引揚げ 東京: 緑蔭書房.
  23. 田中宏巳. 2011b. BC級戦犯関連資料集第2巻陸軍関係戦犯者名簿 東京: 緑蔭書房.
  24. 田中宏巳. 2012a. BC級戦犯関連資料集第3巻 BC級戦犯裁判.釈放関係資料. 東京: 緑蔭書房.
  25. 田中宏巳. 2012b. BC級戦犯関連資料集第4巻 BC級戦犯裁判.釈放関係. 東京: 緑蔭書房.
  26. 田中宏巳. 2012c. BC級戦犯関連資料集第5巻 BC級戦犯裁判.釈放関係. 東京: 緑蔭書房.
  27. 田中宏巳. 2012d. BC級戦犯関連資料集第6巻 BC級戦犯裁判.釈放関係. 東京: 緑蔭書房.
  28. 일본 국립공문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