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national Identity of Diaspora and Diversity

디아스포라의 초국적 정체성과 다양성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7.07.31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ppearance of the global generation transnational identity and forming process, existence aspect, functional role, and on the actuating mechanism, and etc. The results about the transnational identity of Diaspora and d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transnational identity, the emigrants had been being determined by the relation with the accreditation and how type had been deal with one's decision about the self-identify. Second,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emigrant, interaction, and unstable status political support etc. various factors were combined and the diversity of the Diaspora identity showed. Third, the identity concept had been performing the function in the more expanded meaning called the nation and nation through the continuous meaning expansion than the individual as the national ideology. Fourth, the transnational identity of Korean-Chinese was specialized into the nation identity, double identity, and 'the identity of the third' etc. Fifth, the transnational identity of the Nikkei-Brazilian appeared for Japanese identity, Brazilian identity, and Nikkeijin identity etc. in Japan. In conclusion, the Transnational identity of the Diaspora is reproducing the identity of the emigrant, it suggest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in the settlement and exclusion.

이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시대 디아스포라에 의한 초국적 정체성의 출현과 형성과정, 존재 양상, 기능역할, 작동메커니즘 등을 고찰하는데 있다. 디아스포라의 초국적 정체성 논쟁과 다양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국적 정체성 논쟁은 결국 이주자 개인이 자기인식에 대한 자기결정을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가라는 인정(승인)과 타자와의 관계성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정체성, 집단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국가적 정체성 등 다양한 정체성의 출현은 이주자의 개인적 경험(자기인식)이나, 상호작용(관계성), 불안정한 지위, 정치적 지지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로벌시대 정체성의 개념은 에릭슨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어 의미확대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전폭적으로 전파되었다. 그 이유는 정체성의 개념자체가 개인보다는 민족과 국가라는 보다 확대된 의미에서 국가이데올로기로서 기능을 수행해왔기 때문이다. 넷째, 초국적 정체성이란 개인의 생물학적 특성이든 민족을 대표하는 추상적인 개념이든 자기결정의 주체성과 감정의지에 의해 끊임없이 반복 재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시대 초국적 정체성의 가변성과 유동성은 디아스포라 정체성의 다양성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초국적 정체성은 개인과 집단의 강약, 분리와 통합, 새로운 집단의 형성과 유지 등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례연구결과, 중국조선족의 초국적 정체성은 과계민족으로서 중국국적을 소유한 국민정체성,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이중정체성 이중문화 성격의 적극적 활용을 주장하는 '제3의 정체성'등으로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례연구결과, 일계브라질인의 초국적 정체성은 제1유형(일본인 정체성 지향), 제2유형(브라질인 정체성 지향), 제3유형(일계인 정체성 지향)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의 초국적 정체성이 이주지에서의 차별과 배제를 통해 이주자 자신을 새로운 정체성으로 생산 또는 재생산해 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옥. 2013, "중국조선족의 역사적 형성과 정체성," 디아스포라 연구 7(1).
  2. 김강일. 2010. "조선족의 정체성과 향후 역할에 관한 연구," 동북아 공동체연구회.
  3. 김호웅. 2010. 중국조선족과 디아스포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재외 한인학회포럼 발표논문(2010. 2).
  4. 임영언 외. 2016. "일계인의 모국연계와 민족정체성 지향에 관한 조사 연구," 일본문화연구 58, pp.283-306.
  5. 황유복. 2014. "조선족 정체성에 대한 담론": http://cafe.daum.net/kctown/mVIw/121? (검색일: 2017.07.30.).
  6. アルベルト.メルッチ、山之内靖訳. 1997. 現在に生きる遊牧民(ノマド)ー新しい公共空間の創出に向けてー. 岩波書店.
  7. エリク.H.エリクソン. 1981. 近藤邦夫訳. 現具と理性. みすず書房.
  8. 王昊凡. 2008. 多文化主義をめぐる公共性の問題に関する一考察. 2008年度 名古屋大学学生論文コンテスト優秀賞受賞.
  9. ステュアート.ホール、小笠原博毅訳. 1998. "文化的アイデンティティとディアスポラ," 現代思想 3月号
  10. 高田慎二. 2009. "チャールズ.〒イラーの思想構造 : 解釈学から政治理論へ," 北大法政ジャーナル 16.
  11. 畑野快. 2010. "アイデンティティ形成プロセスについての一考察ー自己決定を指標としてー," 発達人間学論叢 第13号.
  12. 辻康夫. 2013. "多文化主義論の書類型の検討ー複合的アプローチに向けてー," 法政理論 第45巻第3号.
  13. テイラー. 1996. "多文化主義.承認.へーゲル," 思想 No.865.
  14. 西川長夫. 2000. "多文化主義とアイデンティティ概念をめぐる二、三の考察ーアイデンティティ論のためにー," 言語文化研究 12巻3号.
  15. 丸井ふみこ. 2012. "アイデンティティ研究の動向ー異文化接触.言語との関係を中心にー," 言語.地域文化研究 18, pp.193-209.
  16. 村井忠政. 2007. "トランスナショナルな移住とアイデンティティの変容ー日系ブラジル人の <デカセギ> 現象を事例として," 人間文化研究所年報、p.23.
  17. Eri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18.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 Nicholas H. Smith, Charles Taylor. 2002. Meaning, Morals and Identity, Cambridge: Polity Press, pp.51-52.
  20. Schuts, 渡辺光.那須壽.西原和久訳. 1991. "よそ者ー社会心理学的一試論," Brodersen 編 アルフレッド.シュッツ著作集第3巻社会理論の研究. マルジュ社.
  21. Simmel, 居安正訳. 1994. 社会学(下). 白水社.
  22. Stuart Hall and Paoul du Gay. 1996.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 London: SAGE Publication.
  23. Will Kymlicka. 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