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f policy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for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cused on the Seattle Public Schools and Chuncheon Office of Education

우리나라와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정책 및 지도 프로그램 비교 분석: 춘천시 교육청과 시애틀 교육청을 중심으로

  • Ko, Junghwa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7.02.20
  • Accepted : 2017.03.2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Since the 1990s, Korea has been developing various policies and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basic learning abilities. In this study, the cases of policies for underachievers i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grams for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 with Chuncheon office of education and Seattle public schools. All of them started from the point of relief of underachievers, but they differ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m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active utilization of vacation programs to solve problems such as low-income meal service, prevention of stigma effects, securing teacher's instruction time, teacher-instructor cooperation. Second, the necessity of detailed activity-centered textbooks that underachievers can explore with interest in mathematics learning and easy to use by teachers. Third, specific cooperation for inducing interest of their own children's learning and forming close ti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ourth, program analysis by a professional evaluation group to improve the quality of underachiever program.

우리나라는 1990년대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자료 개발을 수행해왔지만 여전히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구제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학습부진아 정책 및 수학학습부진아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춘천시 교육청과 시애틀 교육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들 모두 수학학습부진아를 구제한다는 점에서 출발하지만, 구체적으로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를 기초로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저소득층 급식, 낙인 효과 방지, 교사의 지도 시간 확보, 효과적인 재정 운영, 교사-강사 협조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학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활용, 둘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이 흥미를 갖고 탐구할 수 있고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상세한 교재의 필요성, 셋째, 자녀의 학습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학부모와 교사 간 긴밀한 유대 관계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 넷째, 학습부진아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평가 집단의 프로그램 분석.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교육청 (2016). 2016 기초학력 책임교육 계획(안)
  2. 강원도춘천교육지원청 (2016). 2016학년도 기초학력 책임교육 종합지원 계획.
  3. 고정화 (2008).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특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8(3).
  4. 고재천 (2015).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5(1).
  5. 교육과학기술부 (2012). 기초학력향상 프로그램 및 활용 초등 우수사례 워크숍. 연구자료 ORM 2012-11-1.
  6. 김경희, 김희경, 노원경, 상경아, 신진아, 이봉주, 권점례, 우석진, 류성창, 송경오 (2011). 한국과 미국의 기초학력보장 정책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10.
  7. 김지혜, 오영열 (2010).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 원리를 적용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 김태은, 노원경, 김영빈, 이은정, 최상근, 정진, 김호영 (2012a).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한 기초학력미달 학생 지원 종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12-5-1.
  9. 김태은, 노원경, 김영빈 (2012b). 기초학력미달 학생 지원을 위한 매뉴얼-교수학습, 상담, 복지영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12-5-2.
  10. 김홍찬, 이정은 (2010).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으로써의 수학일지 쓰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11. 박주형 (2011). 학력부진학교 개선을 위한 미국 연방정부의 지원정책과 책무성 확보방안:NCLB하의 Title I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1(2).
  12. 박현숙, 조윤정 (2004). 학습장애 학생 지원체계에 관한 질적 분석-관련 교사들과의 면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9(1).
  13. 오상철 (2011).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 꾸꾸 자료 활용 가이드: 이럴 땐 이런 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2-47-1.
  14.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2012).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학교-지역사회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2-7-1.
  15. 윤보람 (2009).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 급식을 위한 도시락 제공기관의 운영관리 및 식단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대식, 남미란, 문주연, 류경우 (2012).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맞춤형 학업향상 관리 프로그램' 적용 효과. 교육과학연구, 43(2).
  17. 이명학, 이대식 (2005).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18. 이화진, 김민정, 이대식, 손승현 (2009).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 종합 계획(안)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009-13.
  19. 이화진, 김태은, 박소영, 고현석, 주혜미, 손지현 (2012).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실태 파악 및 컨설팅 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12-6.
  20. 임지연, 김도현 (2012). 게임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학습부진아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14(1).
  21. 장인실, 이성규 (2009).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4).
  22. 주영희, 김성준 (2009). 측정 영역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및 지도 방안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3(4).
  23. 진선미, 송영무 (2007).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
  24. 최승현, 남금천, 류현아 (2013). 수학 학습 부진 학생을 위한 오개념 교정 지도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2).
  25. 홍선주, 김도남, 박주현, 변희현, 이미경, 이인호, 김지연, 김영실 (2012). 기초학력향상지원 사이트 보정교육자료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I 2012-8.
  26. Bird, R. (2015). 수학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도구 모음 (고정화 역). 동명사. (원저 2013년 출판)
  27. Finkel, D & Cook, K (2016a). Summer Staircase: Kindergarten Math Curriculum. Unpublished material.
  28. Finkel, D & Cook, K (2016b). Summer Staircase: 3st & 4nd Grade Math Curriculum. Unpublished material.
  29. Seattl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Early Learning (SDEEL, 2016a). About the Families and Education Levy. http://www.seattle.gov/education/about-us/about-the-levy
  30. Seattl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Early Learning (SDEEL, 2016b). Families and Educ ation Levy 2014-15 Mid-Year Report. http://www.seattle.gov/Documents/Departments/OFE/Results/Reports/Mid-year/2014-15_Mid-Year-Report.pdf
  31. National Summer Learning Association (NSLA, 2016a). http://www.summerlearning.org
  32. National Summer Learning Association (NSLA, 2016b). Summer Learning Days. http://www.summerlearning.org/summer-learning-day
  33. National Summer Learning Association (NSLA, 2016c). Summer Opportunity Project. http://www.summerlearning.org/summer-opportunity-project
  34. National Summer Learning Association (NSLA, 2016d). The Need: Why Summers Matter. http://www.summerlearning.org
  35. Seattle Public Schools (SPS, 2016). Summer Learning Opportunities. http://www.seattleschools.org/students/summer_learning
  36. Seattle News and Information (SNI, 2015). Seattle Schools Stay Open to Prevent 'Summer Slide'. http://kuow.org/post/seattle-schools-stay-open-prevent-summer-slide
  37. The White House (WH, 2016). Reforming No Child Left Behind, https://www.whitehouse.gov/issues/education/k-12/reforming-no-child-left-beh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