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several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 양혜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Received : 2017.02.03
  • Accepted : 2017.03.17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Information ethic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that occur in information technology, had been comprised of one unit ever since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from whence 'informatics'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course, and has remained so even after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content knowledge required of informatics teachers who will teach information ethics by distinguishing the subject from general ethics, and to grasp the statu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information ethics questions of the informatics teacher appointment exam from years 2002 to 2015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curriculums of 32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first, questions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were included in 10 exams, since the 2004 exam. Second, questions related to dysfunction were mainly addressed from the beginning of administering the exam but since 2010 many items related to copyrights, information security, and various addictions were added. Third, 11(33%) of the 32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informatics teacher training provide information ethics cour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changes needed to update the information ethics related questions of the informatics teacher appointment exam,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정보기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윤리는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윤리와 다르게 정보윤리 교육을 해야 하는 정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내용 지식의 정도를 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2002학년도 부터 2016학년도까지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의 정보윤리 내용을 분석하고, 32개 교육대학원의 교육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4학년도 임용시험부터 10회의 시험에서 정보윤리 관련 문항이 출제되었다. 둘째, 임용시험 초기에는 역기능에 관한 문항들이 주로 출제되었으나, 2010학년도 이후로 저작권, 정보보안, 다양한 중독 관련 문항이 많았다. 셋째, 정보교사 양성기능이 있는 32개의 교육대학원 중 11개(33%)에만 정보윤리가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윤리 관련 문항의 변화 흐름을 분석하고, 정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주, 하은용(2015). 컴퓨터화에 따른 대학 정보화 교육의 방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33-40.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33
  2. 김자미, 이원규(2010).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보교육학회, 14(2), 219-228.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0. 교육인적자원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0.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0. 교육부.
  6. 추병완(2003). 정보윤리학에 대한 서양철학적 접근. 범학철학회논문집, 29(-), 35-55.
  7. Philip Brey(2000). Method in computer ethics: Toward a multi-level interdiciplinary approach.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2), 125-129.
  8. Luciano Floridi(2002). Information ehtic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mputer ethics.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1), 37-56.
  9. OECD(2010). Education at a glance, Education Indicators. Paris : OECD Publishing.
  10. 조성환, 김성식(2008). 학습자 입장에서 살펴본 교원양성 대학에서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모델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3), 33-41.
  11. 박수정(2016).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성찰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829-846.
  12. Moor, J. H(1995). What is Computer Ethics? Computer, Ethics and Social Values. Englewood Cliffs.
  13. 류지민, 김길모, 조성환, 김성식(2010).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수업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14(3), 329-339.
  14. 강오한(2014). 2009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2), 1-9.
  15. 곽정은, 전현석, 김길모, 김성식(2012).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 도출 및 검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5), 1-10.
  16. 김민선, 김한성, 이원규(2012).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 중심의 딜레마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4), 13-24.
  17. 김길모, 김성식(2012). 청소년의 정보윤리행동 예측 모형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1), 23-31.
  18. 유상미, 김미량(2010). 실천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사이버 일탈행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5), 51-70.
  19. 조성환, 김성식(2008). Delphi와 AHP를 활용한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측정 요인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6), 1-9.
  20. 박찬정(2007).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초.중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 수업 설계 요소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1), 9-19.
  21. 신미진, 이재운, 김성식(2006). 사이버 공간상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보통신윤리 의식 합양 교수-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3), 97-107.
  22. 한건우, 이재운, 이영준(2006). 인터넷 유해정보 실태 및 중등학생에 대한 교육적 보호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3), 1-11.
  23. 윤미선, 김명주, 박정호(2015). 사이버불링 경향성 진단도구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2), 59-70.
  24. 김택헌(2013). 교원양성기관에서 인터넷윤리 교육의 필요성 및 강화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2), 1-8.
  25. 박찬정, 김형철, 고영민, 현정석, 김철민(2010). 청소년 인터넷 중독 검사 방법의 통계적 고찰 및 개선-Young의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4), 41-50.
  26. 김경호, 차은진(2012). 중학생의 인터넷중독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윤리의 매개 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2(2), 364-401.
  27. 교육인적자원부(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 기술교육 운영지침. 교육인적자원부.
  28. OECD(2013).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 Using Evaluation to Improve Teaching, Paris: OECD Publishing.
  29. 박준기(2011).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사자격기준 개발 및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4), 417-437.
  30. 구원회(2016).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467-504.
  31. 한명희(1997).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과정 구조의 논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35(5), 171-194.
  32. Shulman, L. S(1986a).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New York Macmillan.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www.kice.re.kr.
  34. 교육부(2016). 2016 교원양성기관현황.
  35. 교육부(2016). 2016 교원자격검정 실무 편람.
  36. 김자미(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3), 35-53.
  37.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개정, 제761호, 2000.1.28.]
  38.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2-27호(2012.11.21.) [별표 3]
  39. 김자미, 윤일규, 이원규(2011). 정보 교육과정 내용요소와 교과서의 일치성 분석. 중등교육연구, 59(2), 381-414.
  40. 김대윤, 이민형, 최문성(2016). 한국안광학회지 게재 논문의 주제어와 MeSH 용어의 비교.분석. 한국안광학회지, 21(2), 83-90. https://doi.org/10.14479/jkoos.2016.21.2.83
  41.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IEEE Computer Socie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2001), Computing curricula 2001 computer science.
  42.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IEEE Computer Society (2008), Computer science curriculum 2008: An interim revision of CS 2001.
  43.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44. Thomas Lickona(1998). 인격교육론. 백의.
  45. 김자미, 이원규(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5), 27-40.
  46. 이홍우, 유한구, 장성모(2006). 교육과정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