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반도 수재해 관측을 위한 수자원 위성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Water Resource Specialized Satellites for Observing Disasters on the Korean Peninsula

  • 투고 : 2017.02.09
  • 심사 : 2017.02.24
  • 발행 : 2017.03.31

초록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등으로 태풍, 지진해일, 폭염 및 폭설 등과 같은 수재해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대되었다. 특히 태풍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및 도시화로 인한 인구과밀지역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차바를 비롯하여 태풍 루사('02), 태풍 매미('03) 및 태풍 볼라벤('12)에 대하여 한반도 내습 전 후 촬영된 위성 현황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위성을 활용함에 있어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국내 위성은 주로 기상, 해양, 지형 및 통신 등의 목적으로 개발 운영됨으로 물 관리 및 수재해 대응에 필요한 시 공간적 데이터 관측 정보가 많이 부족하였다. 때문에 국외 위성으로 범위를 넓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GMS, TRMM, COMS 및 GPM 등의 위성 자료를 수집하였다. 향후 한반도에 빠르고 정확한 수재해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시 공간적 데이터 분석단위를 만족시키는 수자원 위성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the damage scales of water disasters such as typhoons, tsunamis, and heavy snow have been increasing globally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In particular, the economic loss caused by typhoons has been increasing for overpopulated areas that have undergone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since the 1960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satellite images captured before and after typhoons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yphoon Chaba (2016), Typhoon Rusa ('02), and Typhoon Maemi ('03). There was a limitation in utilizing existing satellites. Domestic satellites have mostly been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observation of the weather, ocean, and topography, as well as for use in communication. There are therefore insufficient temporal and spatial observations for water management and disaster response. In this work, we expanded the scope to overseas satellites and collected data from GMS, TRMM, COMS, and GPM.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launch water resources satellites that can provide sufficient temporal and spatial data analysis units to obtain rapid and accurate water hazard inform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키워드

참고문헌

  1. Doopedia. http://www.doopedia.co.kr. (Accessed December 13, 2016)
  2. Han, J.G., S.P. Kim, D.H. Chang, and T.S. Chang. 2009. Estimation of inundation damages of urban area around Haeundae Beach induced by super storm surge using airborne LiDAR data.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7(3):341-350 (한종규, 김성필, 장동호, 장태수. 2009.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 피해 규모 추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17(3):341-350).
  3. Hong, S.S., D.S. Jung, E.H. Hwang, and H.S. Chae. 2016. A study on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106-119 (홍성수, 정다솜, 황의호, 채효석. 2016.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1):106-119).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1.106
  4. Kim, G.S. and S.Y. Cho. 2012. Summer precipitation forecast using satellite data and numerical weather forecast model dat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7):631-641 (김광섭, 조소현. 2012. 광역위성 영상과 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한 여름철 강수량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45(7):631-641). https://doi.org/10.3741/JKWRA.2012.45.7.631
  5. Kim, J.H., C.H. Heo, and J.J. Baik. 2002. A study on typhoons pass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51-2001. Atmosphere 12(3):436-439 (김주홍, 허창회, 백종진. 2002. 1951-2001동안 한반도 주변을 통과하는 태풍에 대한 연구. 대기 12(3):436-439).
  6. Kim, J.H., Y.S. Choi, and K.T. Kim. 2015. Flow estimation using rainfalls derived from multiple satellite images in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 31-42 (김주훈, 최윤석, 김경탁. 2015.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31-42).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4.031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kma.go.kr (Accessed Nov. 29, 2016).
  8.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6. Pre-planning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satellite payload technology for water resources. pp.44-83 (한국수자원공사. 2016. 수자원 전용 위성 탑재체 기술 개발 추진을 위한 사전기획 보고서. 44-83쪽).
  9. Lee, E.G. and H.Y. Lee. 1998.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ative factors of typhoon disasters in Korea.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3(2):179-190 (이은걸, 이현영. 1998.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대한지리학회지 33(2):179-190).
  10. Lee, S.S. and G.Y. Kim. 2012. Development of empirical typhoon tracking model around Korean Peninsula.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6(2):65-72 (이승수, 김가영. 2012. 한반도 근역의 태풍시뮬레이션을 위한 경험적 태풍진로모형 개발. 한국풍공학회지 16(2):65-72).
  11. Lee, S.W. and G.Y. Choi. 2013. Spatiotemporal patterns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by typhoons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3):384-400 (이승욱, 최광용. 2013. 태풍 내습 시남한의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패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384-400).
  12.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aria.jplk.nasa.gov/case_studies (Accessed November 17, 2016).
  13. NASA Precipition Measurement Missons. http://pmm.nasa.gov (Accessed November 17, 2016).
  14. Park, J.K., B.S. Kim, W.S. Jung, E.B. Kim, and D.G. Lee. 2006. Chan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tmosphere 16(1):1-17 (박종길, 김병수, 정우식, 김은별, 이대근. 2006.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통계적 특성 변화. 대기 16(1):1-17).
  15. Yun, H.C., K.S. Min, and M.G. Kim. 2010.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91-101 (윤희천, 민관식, 김민규. 2010.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91-101).

피인용 문헌

  1. Landsat-8 위성영상 기반 수분지수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대구광역시의 지표수 탐지 vol.24, pp.1, 2021, https://doi.org/10.11108/kagis.2021.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