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 Meditation : Focused on Depression and Anxiety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성 메타분석 : 우울과 불안 중심으로

  • 조희현 (마음챙김&몸챙김 심리클리닉) ;
  • 유성훈 (광주트라우마센터 물리치료실)
  • Received : 2016.12.09
  • Accepted : 2017.01.31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indful meditation programs conducted in ACT(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d 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were effective in changing in depression and anxiety. Methods : In order to achieve this, we have performed meta-analysis of the studies on ACT and MBCT among studies published in the national academic journals, master thesis, and doctoral thesis. Dependent variables were limited to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By using meta analysis method, we retriev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9 and 2015 using keyword searches of electronic databases. Result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ACT and MB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Hedges' g = -0.71, p < 0.01). Both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anxiety symptoms (Hedges' g = -1.134, p < 0.01). These results imply that both ACT and MBCT interventions can be useful interventions for both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the case of interventions for depressive symptoms, the college student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adult group. In addition, the ACT program had a stronger effect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than the MBCT program. In the case of interventions for anxiety symptoms, the mixed gender group showed better results than the female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actors: participant gender, target participants, mindfulness technique availability, session number, and session dur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지, 김미리혜, 김정호(2015). 수용전념치료가 유방암 환자의 부정정서, 수용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17-34.
  2. 강초롱(2017).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 자기은폐와 자기-타인 표상 차이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석만(2013). 현대 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pp.685.
  4. 권영주(2008). 마음챙김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전문계 여고생의 정서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미옥, 손정락(2013). 수용전념 치료가 대학생의 대인 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9(2), 301-324.
  6. 김미하, 손정락(2011).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0(1), 207-233.
  7. 김수인, 배지숙(2013).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효과-인지적 탈융합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5(1), 19-40.
  8. 김잔디, 김정호(2010).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16, 143-174.
  9. 김정모, 전미애(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1), 741-759.
  10. 김진미, 손정락(2013). 수용 전념 치료가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회피와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8(2), 267-283.
  11. 김혜은, 김도연(2012). 수용전념 치료가 불안사고 및 불안 민감성, 수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발표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2), 299-310.
  12. 문현미(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 3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13. 박세란, 이훈진(2012). ACT 기반 가치탐색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인지행동치료, 12(1), 1-20.
  14. 이선영, 안창일(2012). 불안에 대한 수용-전념 치료의 치료 과정 변인과 치료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23-254.
  15. 이희영, 김정호, 김미리혜(2012).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가 여자대학생의 우울과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1), 43-63.
  16. 임명철, 손정락(20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4), 823-840.
  17. 신정연, 손정락(201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 (MBCT) 프로그램이 문제음주 대학생의 우울, 충동성 및 문제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6(2), 279-295.
  18. 장철, 신현석(2016). 음악청취가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3), 31-37. https://doi.org/10.15268/KSIM.2016.4.3.031
  19. 전미애, 김정모(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대학생의 사고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4(4), 795-813.
  20. 전미애(2010). 정서조절을 위한 MBCT의 치료적 과정 : 근거이론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전미애, 김정모(2011).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0(1), 113-135.
  22. 전소라, 손정락(20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가 폭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 곤란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4), 841-859.
  23. 정하나, 김정민(2015). 주요우울장애 경도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인지행동치료, 15(1), 29-55.
  24. 정은실, 손정락(2011).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프로그램 이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0(4), 825-843.
  25. 조용래, 노상선, 조기현, 등(2014).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지 : 일반, 33(4), 903-931.
  26. 조중현, 손정락(2013).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마약류 중독자의 우울, 충동성 및 단약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2(1), 13-31.
  27. 한미영(2008). MBCT 프로그램이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Hayes SC, Masuda A, Bissett R, et al(2004). DBT, FAP, and ACT: How empirically oriented are the new behavior therapy technologies?. Behavior Ther, 35(1), 35-54. https://doi.org/10.1016/S0005-7894(04)80003-0
  29. Kenny MA, Williams JM(2007). Treatment-resistant depressed patients show a good response to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Behav Res Ther, 45(3), 617-625. https://doi.org/10.1016/j.brat.2006.04.008
  30. Teasdale JD, Segal ZV, Williams JG, et al(2000). Prevention of relaps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 Cousult Clin Psychol, 68(4), 615-623. https://doi.org/10.1037/0022-006X.68.4.615

Cited by

  1.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mindfulness program of female college students vol.23, pp.4, 2017,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