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Coping Strategies and Vocational Self-Efficacy on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의 대처전략과 직무효능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김석훈 (충남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 양정빈 (남서울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6.12.05
  • Accepted : 2017.01.09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oping strategies and vocational self-efficacy on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a convenience sample, researchers collected responses from 138 participants in those long-term care hospitals that have at least 100 sick beds among 528 hospitals(as of September 2015) registered as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 Hospital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orking hours, externalizing strategies, vocational self-efficacy and group 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other words, longer working hours led to higher degrees of burnout and higher levels of externalizing strategies, job efficacy, and group efficacy led to lower degrees of burnout in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discussed to relieve the extent of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uch as reinforcement of systematic supervision, development of burnout prevention program and on-the job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병원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소진 정도를 살펴보고, 대처전략과 직무효능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요양병원협회 회원으로 등록된 전국 528개(2015년 9월 기준) 노인요양병원 중 병상의 규모가 100병상 이상인 병원의 사회복지사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시간, 외재화 전략, 자기 효능감, 집단효능감이 직무소진과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즉, 근무시간이 길수록 소진의 정도가 심각해지는 반면, 외재화 전략,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경감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의 직무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해 슈퍼비전 체계의 구축. 소진 경감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보수 교육 제공 등과 같은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www.kostat.go.kr.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년 진료비 심사실적 통계, 2015.
  3. 이수연, 이동헌, 조정완,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 지출 중장기 추계연구 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6.
  4. 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질환 현황, 2013.
  5. 안수진, 노인요양병원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6. 박복식, 노인장기요양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 M. P. Leiter and C. Maslach,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9, pp.297-308, 1988. https://doi.org/10.1002/job.4030090402
  8. H. Freudenberger, "Staff Burn-out Syndrome,"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0, pp.159-165, 1974.
  9. 양요안, 장애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0.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Role of Sex and Family Variables in Burnout," Sex Roles, Vol.12, pp.837-851, 1985. https://doi.org/10.1007/BF00287876
  11. 남기룡,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박선주,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C. Speier and M. Frese, "Generalized Self-efficacy as a Mediator and Moderator between Control and Complexity at Work and Personal Initiative: a Longitudinal Field Study in East Germany," Human Performance, Vol.10, No.2, pp.171-192, 1997.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002_7
  14. 김봄메, 직무효능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5. R. T. Lapan, K. R. Boggs, and W. H. Morrill, "Self-efficacy as a Mediator of Investigative and Realistic General Occupational Themes on the Strong-Campbell Interest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6, No.2, pp.176-182, 1999. https://doi.org/10.1037//0022-0167.36.2.176
  16. S. H. Osipow and R. A. Rooney, "Task-specific Occupational Self-efficacy Scal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ototyp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0, No.1, pp.14-32, 1989.
  17. 이선규, 업무스트레스 유발요인, 대처전략과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8. 강현숙, 서울지역 전담공무원의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이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김경린,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서울, 경기지역 복지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