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on Strategy of Coping Stress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임안나 (광운대학교 광운한림원) ;
  • 박영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10.31
  • Accepted : 2016.11.26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is study has used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5th Additional Data of National Pension Research Center and adopted 7,763 people aged 50 or older as research subjects. Research int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ways of coping stress among these subjects have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is, the more frequently they use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social support coping and that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is, the more frequently they use evasive coping.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의 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부가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전국의 50세 이상의 중고령자 7763명이다. 먼저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주된 생활비를 본인과 부부가 마련하는 경우에 다양한 유형의 대처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회피적 대처방식을 사용하였다. 위의 결과에 따라 중고령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고령자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가족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진, "중고령자의 성공적인 직무적응에 관한 연구: Baltes의 성공적인 노화이론의 적용," 한국노년학, 제17권, 제2호, pp139-156, 1997.
  2.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6권, 제3호, pp573-596, 2007.
  3. Y. Yunhong, H. Jie, T. E. Jimmy, and P. M. Thomas,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rimary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in Chin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2, pp.2160-2171, 2013. https://doi.org/10.1111/jocn.12251
  4. 하경분, 송선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78-28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78
  5. 이주희, 김정규,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99-315, 2015.
  6. 송현주, 박주란, 임란, 이은영, 중고령자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전략-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부가조사 기초분석보고서,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2015.
  7. 이지영,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공주대, 석사학위논문, 2001.
  8. 윤현희, 김명자, "남녀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적응감 연구," 한국노년학, 제14권, 제1호, pp.17-32, 1994.
  9. 홍민주,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26-39, 2003.
  10. 신은영, 한국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모델에 관한 시도적 구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11. B. R. Sarason, G. R. Pierce, E. N. Shearin, I. G. Sarason, J. A. Waltz, and L. Popp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No.2, pp.273-287,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0.2.273
  12.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13. 박지순, 공마리아, 최은영, "사회적 지지가 산재 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제24권, 제3호, pp.49-64, 2014.
  14. 김현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사회관계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5. 전서희, 박경옥, "대도시 일부 중년 남녀의 우울증상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3호, pp.42-55, 2015.
  16. 국민연금연구원,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부가조사 기초분석보고서, 2015.
  17. 서희채, 부모애착, 사회적 지지,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이경림, 박재국,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289-308, 2007.
  19. 김연수,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0. 전진순, 시각장애인의 사회적관계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1. 장창영, 고영철, "태권도 심판과 지도자들의 스포츠활동 참가기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행동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제5권, 제1호, pp.27-43, 2003.
  22. 박성옥, 이진숙, "영재와 일반아동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0권, 제3호, pp.225-245, 2003.
  23. 여영진, 아동의 성격특성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29-148, 2015.
  25. 정은주, 안창일,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여성연구, 제82호, pp.137-162, 2012
  26. R.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27. K. T. Goode, W. Haley, O. Roth, and G. Ford, "Predicting longitudina1 changes in care-giver physical and menta; health: A stress process model," Health Psychlogy, Vol.17, pp.190-198, 1998. https://doi.org/10.1037/0278-6133.17.2.190
  28. 원호택,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정신건강연구, 제10권, pp.37-50, 1991.
  29. 김정희, 기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30. 민하영, 유안진,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 제36권, 제7호, pp.83-96, 1998.
  31. 신혜진, 스트레스 대처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2. F. Yazdani, A. Kazemi, M. M. Foolada, and H. R. O. Samani,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quality, social support, social acceptance and coping strategies among the infertile Iranian couple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Vol.200, pp.58-62, 2016. https://doi.org/10.1016/j.ejogrb.2016.02.034
  33. 민그래, 이희선,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4호, pp.7-16, 2013.
  34. 박숙경,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5. 남지경, 박진희, "대학무용수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5권, 제6호, pp.373-382, 2004.
  36. 장창영, 고영철, "태권도 심판과 지도자들의 스포츠활동참가기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행동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제5권, 제1호, pp.27-43, 2003.
  37.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38. 신회덕,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9. 백경숙, 권용신,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한국노인복지학, 제28권, 제2호, pp.379-402, 2005.
  40. 양심영, 이지영, 이주연,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810-82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810
  41. 유은영, "보건계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225-236,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