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는 발명되어야 한다 서울시 마을미디어 형성과 활동을 중심으로

Community Should Be Invented Focusing on Maeul Media in Seoul

  • 김예란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 김용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 채영길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 백영민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 김유정 (문화방송 편성국)
  • Kim, Yeran (School of Communication, Kwangwoon University) ;
  • Kim, Yong Chan (College of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
  • Chae, Young Gil (Media Communication Divis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 Baek, Young Min (College of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
  • Kim, Eujong (Programming & Planning Munhwa Broadcasting Corp)
  • 투고 : 2016.11.30
  • 심사 : 2017.01.18
  • 발행 : 2017.02.15

초록

서울시 마을미디어에 관한 분석작업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공동체의 생성 원리는 본질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하나이지도 않으며 각기 고유성과 서로 간의 상이성을 띤다는 점, 둘째, 공동체 생성에 있어 역사적 맥락성, 사회적 조건성, 문화적 정향성, 주체의 의지와 열망의 접합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동한다는 점, 셋째, 공동체의 형성에는 상이한 권력과 욕망이 전략적으로 연동한다는 점, 넷째, 공동체의 생성은 공동체의 활동, 특히 소통적인 활동과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며 공동체는 곧 소통과 동의어라는 점, 다섯째, 공동체는 사회의 순조건 안에서 배양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위태성, 부정성, 한계성을 껴안으며 되어가는 것이라는 점, 마지막으로 공동체는 고유한 감수성과 표현성을 생성하면서 특이한 문화적 언어를 표현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동질적이고 동질적 총체로 단순화하는 대신, 이질적인 타자들 사이의 접속과 해리, 수렴과 발산, 동일성과 차이의 계속되는 역동으로서 공동체를 개념화할 수 있다.

Drawn upon the analysis of Seoul community media, this study make six points. The generation of community is not essentially determined but has singularity and differences. Historical context, social conditionality, cultural orientation, and the subjects' will and anticipation bring out certain forms of community. Various power relations and desires are engaged in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is necessarily and simultaneously mediated with collective acts of communication and sharing. Community is not so much cultivated within society as articulated with precariousness, negativity and limit. Community is able to create its own cultural sensibility and language to express it. Thereby community is a dynamics between articulation and disarticulation, convergency and divergency, similitude and difference living in our actual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5(2), 37-66.
  2. 경향신문 (2016, 9, 4-2014, 9, 25). 우리 마을이 답이다. (6회 연재기사물).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serial_list.html?s_code=ak275
  3. 김대천 (2012). 마을공동체 첫 포럼, '마을포럼: 마을운동, 시대정신과 방향을 묻는다' 열리다. URL: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165136
  4. 김원 (2006). <여공 1970: 그녀들의 반역사>. 이매진 컨텍스트.
  5. 김예란 (2016). Community as social invention. Communication and the city: The role of community conference 발표문. Seoul.
  6. 김지윤 (2015). '봉제마을' 창신동: 도시재생과 산업재생의 엇박자. <도시연구>, 14호, 125-157.
  7. 김희영 (2014). '마을미디어 현황과 과제: 지역과 마을, 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는 미디어생태계를 꿈꾸며!'. 미디액트 개관 12주년 기념 라운드테이블 자료집. <전국 마을미디어 팔도유람>. 7-23.
  8. 박주형 (2013).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간과 사회>, 23권 1호, 7-43.
  9.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78호, 79-114.
  10. 백영민.김용찬.채영길.김유정.김예란 (2016). 시민들의 가치지향, 정치적 이념성향, 그리고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의 관계: 서울시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7권 1호, 239-263.
  11. 신현준.이기웅 (2016).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푸른숲.
  12. 유창복 (2014). <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마을과 행정 사이를 오가며 짱가가 들려주는 마을살이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13. 유창복 (2015). 남경필.원희룡도 배우는 이 남자의 노하우. UR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92190
  14.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 이론>, 12권 2호, 4-46.
  15. Agamben, G. (1990). La comunita che viene. 이경진 (역) (2014). <도래하는 공동체>. 꾸리에.
  16. Anderson, B. (1983).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17. Benjamin, W. (1978). The author as producer. Reflections (pp. 220-238). Schocken Books.
  18. Couldry, N. (2010). Why voice matters: Culture and politics after neoliberalism. Sage Publications.
  19. Deleuze, G., & Guattari, F. (1975). Kafka: Pour une litterature mineure. Les editions de Minuit. 이진경 (역) (2001).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동문선.
  20. Esposito, R. (2010). Communitas. Stanford University Press.
  21. Foucault, M. (1980).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 other writings 1972-1977. Pantheon.
  22. Hackett, R. (2000). 'Taking back the media: Notes on the potential for a communicative democracy movement',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63. 61-86. https://doi.org/10.1080/19187033.2000.11675233
  23. Hall, S. (1996). 'Who needs 'identity'?'. In S. Hall & P. 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s. 1-17.
  24. Heidegger, M. (1962). Being and time. Blackwell Publishing.
  25. Howley, K. (2005). Community media: people, pla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Jensen, K. & Jankowsky, N. (1991). A handbook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for mass communication research. 김승현 외 (역) (2004). <미디어 연구의 질적 방법론>. 일신사.
  27. Kim, Y. C. & Ball-Rokeach, S. J. (2006). Community storytelling network, neighborhood context, and neighborhood engagement: A multilevel approach.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2(3), 411-439. https://doi.org/10.1111/j.1468-2958.2006.00282.x
  28. Nancy, J.L. (1986). La communaute desoeuvree. 박준상 (역) (2010).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29. Rose, N. (1996). The death of the social? Re-figuring the territory of government. Economy and society, 25(3), 327-356. https://doi.org/10.1080/03085149600000018
  30. Shaw, M. (2008).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politics of community.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3(1), 24-36. https://doi.org/10.1093/cdj/bsl035
  31. Shaw, M., & Martin, I. (2000). Community work, citizenship and democracy.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0(4), 401-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