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5(2), 37-66.
- 경향신문 (2016, 9, 4-2014, 9, 25). 우리 마을이 답이다. (6회 연재기사물).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serial_list.html?s_code=ak275
- 김대천 (2012). 마을공동체 첫 포럼, '마을포럼: 마을운동, 시대정신과 방향을 묻는다' 열리다. URL: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165136
- 김원 (2006). <여공 1970: 그녀들의 반역사>. 이매진 컨텍스트.
- 김예란 (2016). Community as social invention. Communication and the city: The role of community conference 발표문. Seoul.
- 김지윤 (2015). '봉제마을' 창신동: 도시재생과 산업재생의 엇박자. <도시연구>, 14호, 125-157.
- 김희영 (2014). '마을미디어 현황과 과제: 지역과 마을, 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는 미디어생태계를 꿈꾸며!'. 미디액트 개관 12주년 기념 라운드테이블 자료집. <전국 마을미디어 팔도유람>. 7-23.
- 박주형 (2013).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간과 사회>, 23권 1호, 7-43.
-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78호, 79-114.
- 백영민.김용찬.채영길.김유정.김예란 (2016). 시민들의 가치지향, 정치적 이념성향, 그리고 마을공동체 활동 참여의 관계: 서울시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7권 1호, 239-263.
- 신현준.이기웅 (2016).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 푸른숲.
- 유창복 (2014). <도시에서 행복한 마을은 가능한가: 마을과 행정 사이를 오가며 짱가가 들려주는 마을살이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 유창복 (2015). 남경필.원희룡도 배우는 이 남자의 노하우. UR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92190
- 채영길.김용찬.백영민.김예란.김유정 (2016).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 이론>, 12권 2호, 4-46.
- Agamben, G. (1990). La comunita che viene. 이경진 (역) (2014). <도래하는 공동체>. 꾸리에.
- Anderson, B. (1983).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 Benjamin, W. (1978). The author as producer. Reflections (pp. 220-238). Schocken Books.
- Couldry, N. (2010). Why voice matters: Culture and politics after neoliberalism. Sage Publications.
- Deleuze, G., & Guattari, F. (1975). Kafka: Pour une litterature mineure. Les editions de Minuit. 이진경 (역) (2001).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동문선.
- Esposito, R. (2010). Communitas. Stanford University Press.
- Foucault, M. (1980).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 other writings 1972-1977. Pantheon.
- Hackett, R. (2000). 'Taking back the media: Notes on the potential for a communicative democracy movement',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63. 61-86. https://doi.org/10.1080/19187033.2000.11675233
- Hall, S. (1996). 'Who needs 'identity'?'. In S. Hall & P. 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Sage Publications. 1-17.
- Heidegger, M. (1962). Being and time. Blackwell Publishing.
- Howley, K. (2005). Community media: people, pla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Jensen, K. & Jankowsky, N. (1991). A handbook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for mass communication research. 김승현 외 (역) (2004). <미디어 연구의 질적 방법론>. 일신사.
- Kim, Y. C. & Ball-Rokeach, S. J. (2006). Community storytelling network, neighborhood context, and neighborhood engagement: A multilevel approach.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2(3), 411-439. https://doi.org/10.1111/j.1468-2958.2006.00282.x
- Nancy, J.L. (1986). La communaute desoeuvree. 박준상 (역) (2010).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 Rose, N. (1996). The death of the social? Re-figuring the territory of government. Economy and society, 25(3), 327-356. https://doi.org/10.1080/03085149600000018
- Shaw, M. (2008).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politics of community.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3(1), 24-36. https://doi.org/10.1093/cdj/bsl035
- Shaw, M., & Martin, I. (2000). Community work, citizenship and democracy.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30(4), 401-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