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iciency Analysis of Public Services Regarding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DEA : Focusing on Chungnam Province's Case

DEA를 활용한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분석 : 충남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안경애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 강봉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 이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16.12.19
  • Accepted : 2016.12.27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ublic services, we analyzed 27 projects conduc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2014 using DEA. Also we compared the efficiency of 2014 projects with 2013 projects, and verified 3 representative DMU's inefficiency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efficiency. The DEA examined the efficiency using CCR model, BCC model and SE(CCR / BCC).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total project costs and the number of projects were increased in 2014 from 2013, but it turned out that the number of inefficient projects were increased and the overall efficiency is de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we proposed to allocate labor costs and direct project costs appropriately. In the case of large-scale projects, it was confirmed that reducing the scale of the projec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overall efficiency. Based on this research, we are presenting a research model that analyzes the efficienc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expanding the research area of performance management into the area of various public services.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지역단위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인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충청남도에서 2014년에 수행된 27개 사업을 대상으로 DEA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고, 2013년에 수행된 18개 사업의 효율성과 비교분석했으며, 비효율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3개의 DMU에 대해서 비효율정도를 살펴봤다. DEA 모형은 CCR모형, BCC모형 및 SE(CCR/BCC)에 의한 규모효율성에 대해서 살펴봤다. 분석결과 2014년은 2013년보다 총사업비와 사업개수가 증가하였지만, 비효율적인 사업이 증가하여 전체 효율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사업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와 직접경비를 사업별로 적절히 배분함으로써 전체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사업비가 큰 대형사업의 경우에는 사업규모를 줄이는 것이 전체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효율성 제고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했으며, 이에 기반하여 성과관리 연구의 영역을 다양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분야로 확대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고용률 70% 로드맵, 2013.
  2.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현황, 2016.
  3. 고용노동부, 2016년판 고용노동백서, 2016.
  4. 전용석, 주무현, 이상호, 우상범,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 사업 컨설팅과 개선방안, 한국고용정보원, 2015.
  5. 주무현, "지역혁신프로젝트와 지역고용거버넌스의 현안과 과제," 한국지역고용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16.
  6. 전인, 오선희, 김승호, 김기근, "대구.경북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맞춤형 일자리사업의 개선방안," 노동정책연구, 제15권, 제4호, pp.83-110, 2015.
  7. 강순희, 이병희, 김미란,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0.
  8. 김주섭, 이병희, 박성재, 직업능력개발사업 효율성 평가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4.
  9. 이영민, 임정연, "정부 보조금 지원방식별 실업자 직업훈련의 성과 분석," HRD연구, Vol.14, No.2, pp.1-20, 2012.
  10. 유완식, 신인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효과분석 및 발전방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4.
  11. 김수원, 오성욱, "실업자 훈련기관의 운영성과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4권, 제1호, pp.23-47, 2011.
  12. 고용노동부, 2015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시행지침, 2014.
  13. 이정동, 오동현, 효율성 분석이론-DEA 자료포락분석법, 지필미디어, 2012.
  14. A. Charnes, W. W. Cooper, and E.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 No.6, pp.429-444, 1978.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5. R. D. Banker, A. Charnes, and W. 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nece, Vol.30, pp.1078-1092, 1984.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6. 임병학, 홍한국, 임광혁, "DEA/Window 분석을 통한 지방 자치단체의 시대별 효율성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7, pp.276-28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276
  17. 박성환, 이도희, "DEA를 활용한 국립대학 효율성 분석," 회계정보연구, 제31권, 제4호, pp.161-182, 2013.
  18. 정대범,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효율성 평가 연구-Delphi/AHP/DEA 혼합모형을 이용한 상대적 효율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1.
  19. 김성훈, 이호섭,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대학의 효율성과 대학평가결과 비교,"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1호, pp.1-26, 2008.
  20. 모수원, "DEA모형을 이용한 전문대학의 효율성 평가," 산업경제연구, Vol.19, No.4, pp.1581-1595, 2006.
  21. 신현대, "자료포락분석을 통한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연구," 교육평가연구, 제19권, 제3호, pp.45-63, 2006.
  22. 정재명, "DEA와 Tobit회귀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남도 53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2호, pp.141-171, 2015.
  23. 주희선, 이경민, 정창무, "DEA를 활용한 도시공공서비스 효율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Vol.15, No.2, pp.131-149, 2014.
  24. 조성한, 박동진, 이길호, 윤동원, "DEA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1, pp.253-274, 2009.
  25. 김금환, 김윤재, "DEA 모형을 이용한 노인복지관의 지역별 효율성 분석," 노인복지연구, 통권60호, pp.55-76, 2013.
  26. 이혜경, 나운환, "자료포락분석을 통한 직업재활 시설의 효율성분석," 장애와 고용, 제9권, 제2호, pp.71-98, 2009.
  27. 양숙미, 전동일,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지원 사업 수행시설의 효율성 비교," 장애와 고용, Vol.21, No.3, pp.97-118, 2011.
  28. 양동현, "DEA-AR/AHP 결합모형을 이용한 지방의료원의 효율성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제20권, 제4호, pp.74-96, 2010.
  29. 박병상, 이용균, 김윤신, "DEA를 이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4, pp.299-31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4.299
  30. 고광홍, 이동규, 이도희, "상수도사업의 효율적 운영관리 방안을 위한 DEA 성과분석," 회계연구, Vol.13, No.1, pp.123-150, 2008.
  31. 충청남도청, 2014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결산서, 2015.
  32. 충청남도청, 2013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결산서,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