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Intensive Care Unit Length of Stay of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성인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의 중환자실 체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Received : 2017.08.23
  • Accepted : 2017.09.13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CU (intensive care units) length of stay of adult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Methods: This study was adopted descriptive design. 270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ICU in general hospital, Seoul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270 patients, 116 (43%) patients had stayed more than 5 days. The length of stay of intensive care unit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CI(Functional Comobidity Index) score(r=0.33, p<.001) and APACHE(A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lauaion) II(r=0.19, p=.001).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predictors of ICU length of stay were admission route (p=0.013), FCI score (p<0.001), APACHE II(p=0.012). Conclusions: Heatlh care providers in ICU should be aware that patients who admit to emergency departments and have higher disease severity are more considered to reduce their ICU length of stay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성인 통합 중환자실에 입실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체류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질병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중환자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의 성인 통합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 최종 270명을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분석대상 270명 환자 중 중환자실 체류기간이 5일 이상 그룹이 116명(43%)이었으며,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FCI score (r=0.33, p<.001), APACHE II(r=0.19,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중환자실 체류기간의 영향요인은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대상자의 중환자실 입실경로(p=0.013), FCI score(p<0.001), APACHE II(p=0.012)로 나타났다. 결론: 중환자실 입실시 응급실 경유나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입실 초기 보다 집중적인 환자간호를 통해 환자의 체류기간을 줄이도록 하는 다양한 중재개발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Keywords

Cited by

  1. Factors Influencing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among Older Patients Transferred from Long Term Care Hospital vol.45, pp.4, 2017, https://doi.org/10.21032/jhis.2020.45.4.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