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 환경 내 소셜 로봇의 도입과 역할 제안

A proposal for the roles of social robots introduc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 투고 : 2017.01.15
  • 심사 : 2017.02.07
  • 발행 : 2017.03.31

초록

본 논문은 R-learning의 연장선에서 교육 환경 내의 소셜 로봇 도입과 함께 소셜 로봇의 역할에 대해 제안한다. 소셜 로봇은 개체 특히, 인간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로봇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육 환경에서 활용되었던 로봇의 역할은 물론, 소셜 로봇의 목적에 걸맞게 교육 환경 구성원과의 상호작용과 소통을 수행하는 역할을 제안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소셜 로봇 jibo의 SDK를 활용하여 간략한 가상 시나리오를 구현하여 예시로 보인다. 시나리오는 교육적 환경에서 이용자와의 가벼운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jibo SDK에서 jibo의 외적 반응을 제어하는 animation 파트와 내적인 반응을 제어하는 behaviors 파트를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교육 환경 내의 투입된 소셜 로봇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및 소통과 접목된 여러 기술들을 기반으로 환경 내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한다.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교육 환경에 대한 데이터와 정보를 제공받아 교육환경 내의 문제점의 도출, 환경 자체의 발전 및 새로운 교육 환경의 설립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oles of social robot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proposal becomes an extension of R-learning. The purpose of social robots is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human. Social robots have two roles. One is similar to the role of educational service robot and the other is communication role with people in education environments. We make an scenario to explain how to operate the roles of social robots using robot jibo SDK. The scenario was designed for mild interaction with the user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t was made using jibo animation part to control the external reaction of jibo and behaviors part to control the internal reaction in jibo SDK. Social robots collect data effectively, based on grafting technologies and interaction with people in educational environments. Concludingly, various data collected by social robots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developing and establish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