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훈식, 김명순(2008).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64-470.
- 강훈식, 이지영(2010).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519-531.
- 곽영순(2015).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9(1), 93-111.
-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 김명랑, 정종원(2010). 미래학습환경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방법연구, 22(3), 97-121.
- 김선희(2012). 미래 수학 교실에 대한 전망과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6(1), 285-324.
- 김현진, 박인우, 고범석, 서수민, 김현영, 김영애(2009). 테크놀로지 기반 첨단 미래학교 예측 연구 (연구보고 RR2009-12).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박재윤, 이정미, 김택형, 노석준, 박남기, 박찬주, 신현석, 염지숙, 이연승, 이진희, 채재은(2010). 미래교육비전연구 (연구보고 RR2010-0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유영성, 김현중, 이상대, 정진명, 지우석, 천영석, 최민석 (2014). 초연결 사회의 도래와 우리의 미래. 파주: 한울.
- 유지연, 강훈식, 노태희(2010).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94-106.
- 이혜영, 강영혜, 박재윤, 나병현, 김민조(2008). 미래 학교 모형 탐색 연구 (연구보고 RR2008-0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하인호(2008). 미래를 읽는 9가지 방법. 서울: 일송북
- Linn, M. (2003). Technology and science education: starting points, research programs, and tren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727-758. https://doi.org/10.1080/09500690305017
-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New York: Sage Publications.
- Minogue, J. (2010). What is the teacher doing? What are the students doing? An application of the draw-a-scienceteacher- tes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7), 767-781. https://doi.org/10.1007/s10972-009-9170-7
- Mumtaz, S. (2000). Factors affecting teacher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Teacher Education, 9, 319-341. https://doi.org/10.1080/14759390000200096
- Nature (2015). Building the 21st century scientist. Retrieved January 20, 2017, from http://www.nature.com/ news/stem-1.17959
- OECD (2001). Scenario for the future of schooling. Retrieved January 20, 2017, from https://www.oecd.org/site/schoolingfortomorrowknowledgebase/futuresthinking/scenarios/scenariosforthefutureofschooling.htm
-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10).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Retrieved January 10, 2017, from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
- Qiu, F. (2014). Study on the interactions in classroom of the future.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brid lear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LNCS 8595 (pp. 36-48),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Crown Business.
-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 Trilling, B. & Fadel, C. (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한국교육개발원 역(2012). 21세기 핵심역량: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스킬. 서울: 학지사.
- USB (2016).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SB White Paper for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Retrieved January 20, 2017, from https://www.ubs.com
- Veen W. (1993) The role of beliefs i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or teaching the right thing at the right tim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Teacher Education, 2, 139-153. https://doi.org/10.1080/0962029930020203
피인용 문헌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vol.36, pp.3, 2017,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3.286
- R 매핑을 이용한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탐색 -국외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vol.24, pp.4,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4.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