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 Received : 2017.01.10
  • Accepted : 2017.02.14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for the emphasis on the revision, major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2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y highly agreed to the increase in class hours and the application of subject classroom, but they had a lower recognition for setting the subject groups. Second, the degree of necessity in discussion and ST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science writing, discussion and STEAM was low. Thir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 high performance for mutual cooperation, student-led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open inquiry and instruction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Fourth,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learning, they showed a high implementation for evaluation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basic concepts,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evaluation tools. Fifth, it seemed that their recognition for amount, level and interest of scienc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as appropriate and positive.

Keywords

References

  1. 계현아 (2005).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주체자로서의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 2].
  3. 교육부 (2015).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 권낙원, 추광재, 박승렬 (2006).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87-106.
  5.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6. 김두정 (1992). 교육과정 개혁: 연구 결과 및 한국의 과제. 교육학연구, 30(1), 167-181.
  7. 김은진, 박현주, 강호감, 노석구 (2003). 과학 수행평가 문항의 선정 및 제작을 위한 평가 준거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75-85.
  8. 박순경, 이광우, 이미숙,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김평국, 이경진, 홍후조, 성열관, 강익수, 백경선, 김재춘, 소경희, 서경혜, 한혜정, 박창언, 최호성, 박상철, 박소영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009-위탁-11.
  9. 박순경, 허경철, 이화진, 소경희 (2001).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1-5-1.
  10. 박재근 (2014).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와 타교과의 성취기준 중복성에 대한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2), 231-243.
  11. 심재호, 신명경 (2009).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과학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4-2.
  12.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13. 윤찬경, 박종원 (2006). 과학학습에서 개념적 이해의 평가를 위한 문항 유형의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0(2), 387-405.
  14. 이경진, 김경자 (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연구, 23(3), 57-80.
  15. 이대용, 김석우 (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25(4), 581-604.
  16. 이명제 (2004). 과학 교육과정 개혁 연구의 쟁점들.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16-929.
  17.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2006).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775-789.
  18.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19. 이윤미, 정광순 (2015).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교육과정연구, 33(4), 65-89.
  20. 이효녕 (2011).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37(2), 798-808.
  21. 장지영, 오윤정, 최경희 (2010).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389-406.
  22. 전세경, 이윤정, 정경아 (2010).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도입 및 설정의 준거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399-428.
  23. 최홍재, 한인섭 (2001). 제7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실행여건 조사.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65-77.
  24. 홍후조, 박순경, 김성숙, 소경희, 김진숙 (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9-7-1.
  25. Danielson, C. (1996).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6. Fullan, M. (1982). The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Y: Teachers College Press.
  27. Fullan, M. & Pomfret, A. (1977). Research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implement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1), 335-397. https://doi.org/10.3102/00346543047002335
  28. Marsh, C. J. & Willis, G. (2003).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29. Ornstein, A. C. & Hunkins, F. P. (2004). Curriculum: foundation, principles and issues. Boston, MA: Pearson Education.
  30. Saylor, J. G. & Alexandre, W. M. (1974). Planning curriculum for schools.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31. Saylor, J. G., Alexander, W. M. & Lewis, A. J. (1981). Curriculum planning for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4th Ed.). NY: Holt Rinehart & Winston.
  32. Short, E. C. (1993). Three levels of questions addre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Curriculum Supervision, 9(1), 77-87.
  33. Stigler, J.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Y: The Free Press.
  34. Synder, J., Bolin. F. & Zumwalt, K. (1992).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Jackson, P. W.(ed.). Handbook of research curriculum, 402-435. NY: Macmillan.
  35.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36. Wiles, J., & Bondi. J. (1989) Curriculum development. Columbus, Ohio: Mer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