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계현아 (2005).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주체자로서의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별책 2].
- 교육부 (2015).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권낙원, 추광재, 박승렬 (2006).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87-106.
-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 김두정 (1992). 교육과정 개혁: 연구 결과 및 한국의 과제. 교육학연구, 30(1), 167-181.
- 김은진, 박현주, 강호감, 노석구 (2003). 과학 수행평가 문항의 선정 및 제작을 위한 평가 준거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75-85.
- 박순경, 이광우, 이미숙,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김평국, 이경진, 홍후조, 성열관, 강익수, 백경선, 김재춘, 소경희, 서경혜, 한혜정, 박창언, 최호성, 박상철, 박소영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009-위탁-11.
- 박순경, 허경철, 이화진, 소경희 (2001).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1-5-1.
- 박재근 (2014).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와 타교과의 성취기준 중복성에 대한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2), 231-243.
- 심재호, 신명경 (2009).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과학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4-2.
-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 윤찬경, 박종원 (2006). 과학학습에서 개념적 이해의 평가를 위한 문항 유형의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10(2), 387-405.
- 이경진, 김경자 (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연구, 23(3), 57-80.
- 이대용, 김석우 (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25(4), 581-604.
- 이명제 (2004). 과학 교육과정 개혁 연구의 쟁점들.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16-929.
-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2006).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775-789.
-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 이윤미, 정광순 (2015).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으로 본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의미. 교육과정연구, 33(4), 65-89.
- 이효녕 (2011).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37(2), 798-808.
- 장지영, 오윤정, 최경희 (2010).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389-406.
- 전세경, 이윤정, 정경아 (2010).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 교과군 도입 및 설정의 준거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399-428.
- 최홍재, 한인섭 (2001). 제7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실행여건 조사.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65-77.
- 홍후조, 박순경, 김성숙, 소경희, 김진숙 (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9-7-1.
- Danielson, C. (1996).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Fullan, M. (1982). The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Y: Teachers College Press.
- Fullan, M. & Pomfret, A. (1977). Research 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implement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1), 335-397. https://doi.org/10.3102/00346543047002335
- Marsh, C. J. & Willis, G. (2003).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 Ornstein, A. C. & Hunkins, F. P. (2004). Curriculum: foundation, principles and issues. Boston, MA: Pearson Education.
- Saylor, J. G. & Alexandre, W. M. (1974). Planning curriculum for schools.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 Saylor, J. G., Alexander, W. M. & Lewis, A. J. (1981). Curriculum planning for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4th Ed.). NY: Holt Rinehart & Winston.
- Short, E. C. (1993). Three levels of questions addre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Curriculum Supervision, 9(1), 77-87.
- Stigler, J.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Y: The Free Press.
- Synder, J., Bolin. F. & Zumwalt, K. (1992).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Jackson, P. W.(ed.). Handbook of research curriculum, 402-435. NY: Macmillan.
-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8)35:6<673::AID-TEA5>3.0.CO;2-J
- Wiles, J., & Bondi. J. (1989) Curriculum development. Columbus, Ohio: Mer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