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훈식, 이성미, 노태희 (2006). 다중 표상 학습에 적용한 그리기와 쓰기에서 시각적 정보의 형태에 따른 교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67-375.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 (2015a). 5-6학년군 과학 (3) 과학 6-1. 서울: 미래엔.
- 교육부 (2015b).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 김경순, 신은주, 변순화, 노태희 (2006). 비유를 사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학생들의 대응 오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92-600.
- 김현진, 남광우, 한정혜, 윤옥경 (2015). 모바일기기 활용 초등학교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인지 기반 학습과정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361-387.
- 남초이, 박규석, 백성혜 (2009). 중등 과학 교사들의 기본 입자에 대한 사고 조사. 대한화학회지, 53(6), 774-783. https://doi.org/10.5012/jkcs.2009.53.6.774
- 박수경 (2015). 지질구조에 대한 모델링기반 학습에서 나타나는 논증패턴과 정신모형 수준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919-929.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919
- 박재원, 백성혜 (2004).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한 입자 모델의 컴퓨터 애니메이션 교수자료의 학습 효과. 초등과학교육, 23(2), 116-122.
- 변순화 (2008). 물질의 입자성 학습에서 체험 중심 비유를 사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 및 학습 과정 조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변순화, 김경순, 최숙영, 노태희, 차정호 (2007). 화학 개념 학습에서 물리적 비유를 사용한 학생 중심 비유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31-638.
- 신남수, 고은정, 최취임, 정대홍 (2014). Learning progression을 적용한 중.고등학생의 '물질의 입자성'에 관한 지식과 미시적 표상에 대한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37-44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5.0437
- 신상규 (2011). 확장된 마음과 동등성 원리. 철학적 분석, 23, 83-108.
- 신상규 (2012). 확장된 마음과 자아의 경계. 철학논집, 31, 55-89.
- 양정실, 권점례, 신호재, 박재현, 오필석, 이미미 (2015).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실태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양찬호, 김수현, 조민진, 노태희 (2016). 물질의 입자성에 대한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집단 토론과 전체 학급 토론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361-369.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361
- 유연준, 오필석 (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 윤승아, 구인선, 김봉곤, 강대호 (1999). 기체의 성질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오개념 연구. 대한화학회지, 43(5), 564-577.
- 윤회정, 우애자 (2007).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기체의 성질에 관한 오개념 비교. 교과교육학연구, 11(2), 567-582.
- 이영의 (2008). 분산된 인지와 마음. 철학연구, 36, 3-30.
- 이영의 (2102). 확장된 마음 이론의 쟁점들. 철학논집, 31, 29-54.
- 이차은, 김희백 (2016).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질문의 개념적 자원 활성화의 이해: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71-48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71
- 천현득 (2011). 분산된 인지와 비확장적 마음. 과학철학, 14(2), 121-140.
- 한재영, 이지영, 곽진하, 노태희 (2006). 물질의 입자 개념 학습에서 그림 그리기와 그림 분석하기의 효과: 시각적 학습양식에 따른 비교. 한구과학교육학회지, 26(1), 9-15.
- Aurigemma, J., Chandrasekharan, S., Nersessian, N. J. & Newstetter, W. (2013). Turning experiments into objects: The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the design of a lab-on-a-chip devi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2(1), 117-140. https://doi.org/10.1002/jee.20003
- Baird, D. (2004). Thing knowledge: A philosophy of scientific instruments. Berkel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Cash, M. (2013). Cognition without borders: "Third wave" socially distributed cognition and relational autonomy. Cognitive Systems Research, 25/26, 61-71. https://doi.org/10.1016/j.cogsys.2013.03.007
- Chandrasekharan, S. & Nersessian, N. J. (2015). Building cognition: The construction of computational representations for scientific discovery. Cognitive Science, 39, 1727-1763. https://doi.org/10.1111/cogs.12203
- Clark, A. & Chalmers, D. (1998). The extended mind. Analysis, 58(1), 7-19. https://doi.org/10.1093/analys/58.1.7
- Giere, R. N. (2002). Models as parts of distributed cognition systems. In L. Magnani & N. Nersessian (Eds.), Model-based reasoning: Science, technology, values (pp. 227-242). New York: Kluwer/Plenum.
- Giere, R. N. (2006a). Scientific perspectivism.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iere, R. N. (2006b). The role of agency in distributed cognitive systems. Philosophy of Science, 73, 710-719. https://doi.org/10.1086/518772
- Giere, R. N. (2007). Distributed cognition without distributed knowing. Social Epistemology, 21(3), 313-320. https://doi.org/10.1080/02691720701674197
- Giere, R. N. (2012). Scientific cognition: Human centered but not human bound. Philosophical Explorations, 15 (2), 199-206. https://doi.org/10.1080/13869795.2012.677850
- Giere, R. N., Bickle, J. & Mauldin, R. F. (2006).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5th ed.).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 Gilbert, J. K. & Boulter, C. J. (Eds.) (2000).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Glaveanu, V. P. (2014). Distributed creativity: Thinking outside the box of the creative individual. New York: Springer.
- Gobert, J. D. & Pallant, A. (2004). Fostering students' epistemologies of models via authentic model-based task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3(1), 7-22. https://doi.org/10.1023/B:JOST.0000019635.70068.6f
- Hutchins, E. (1995). Cognition in the wild. Cambridge, MA: MIT Press.
- Kirsh, D. & Maglio, P. (1994). On distinguishing epistemic from pragmatic actions. Cognitive Science, 18(14), 513-549.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804_1
- Lehrer, R., Schauble, L. & Lucas, D. (2008). Supporting development of the epistemology of inquiry. Cognitive Development, 23, 512-520. https://doi.org/10.1016/j.cogdev.2008.09.001
- Liu, Z., Nersessian, N. J. & Stasko, J. T. (2008). Distributed cogni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14(6), 1173-1180. https://doi.org/10.1109/TVCG.2008.121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Nersessian, N. J. (2006). Model-based reasoning in distributed cognitive systems. Philosophy of Science, 73, 699-709. https://doi.org/10.1086/518771
- Nersessian, N. J. (2008). Creating scientific concepts. Cambridge, MA: The MIT Press.
- Nersessian, N. J. & Patton, C. (2009). Model-based reasoning in interdisciplinary engineering. In A. W. M. Meijers (Ed.), The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 engineering sciences (pp. 678-718). Berlin: Springer.
-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Novick, S. & Nussbaum, J. (1991). Pupils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 cross-age study. Science Education, 65(2), 508-509.
- Oh, P. S. & Oh, S. J. (2011).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8), 1109-1130. https://doi.org/10.1080/09500693.2010.502191
Cited by
- 볼록렌즈가 상을 만드는 원리에 대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vol.28, pp.5, 2017, https://doi.org/10.3807/kjop.2017.28.5.203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vol.10, pp.3, 20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90
- 고등학생의 학교 과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도구발생의 특징 vol.37, pp.6,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971
- 소리의 전달 모형구성 수업에서 나타난 개인모형 구성 단계 중 정보의 흐름과 모둠모형 구성의 유형 vol.38, pp.3,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393
-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vol.39, pp.2,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2.295
- 학교 실험활동의 역할에 대한 문헌 고찰 vol.38, pp.2, 2017, https://doi.org/10.15267/keses.2019.38.2.203
- 문제의 구성을 강조한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와 과학적 추론의 관련성 탐색 -삼투 현상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vol.40, pp.1,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