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et Naming Types Using Celebrity Endorser

유명인을 이용한 제품 애칭화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 김혜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
  • 조창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Received : 2016.09.28
  • Accepted : 2016.11.14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pet-name using the celebrity's endorser and the pet-naming effect by the subject of creating brand identity. For this study, pet-naming types are made up of 3 types(non pet-named/pet-naming by company intention/pet-naming by customer's word of mouth).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pet-naming types affects the perceived value. The perceived value h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between pet-naming types and consumer response. Also, the level of inf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 h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t-naming types and perceived value. The research, therefore, reaches several important conclusions. First, when the pet-naming types were consisted, customer's brand identity creating phenomenon was included. Second, pet-naming types affects the confirmed perceived value which is the customer's view. Third,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was differently identified with n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s and inf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s.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s behavior trends, and in extend the progression of pet-name marketing.

본 연구는 유명인을 이용한 제품의 애칭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동시에, 제품 애칭화 현상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창출 주체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비애칭화/기업 의도에 의한 애칭화/구전에 의한 애칭화)x2(쾌락적 제품/실용적 제품)의 요인 설계를 하였다. 연구결과 애칭화 유형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가치는 애칭화 유형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나아가 소비자의 심리적 기제인 정보적 대인 민감성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스스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창출하는 현상을 포함하였고, 가치 지각의 차원에서 유명인 보증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제에 따른 마케팅 효과까지도 검증해 냄으로 인해 향후 애칭마케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난도, 이준영, 이향은, 전미영, 김서영, 최지혜, 트렌트 코리아 2015, 미래의창, 2014.
  2. 박재진, 김은진, 김유미, 이상엽, "유명 연예인과 제품과의 관련 형태에 따른 구매의도 효과 차이,"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2호, pp.177-206, 2008.
  3. http://luxury.designhouse.co.kr/in_magazine/sub.html?at=view&info_id=63457
  4. 이유재, 유재미, "고객의 애칭명명 행동이 제품선호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18권, 제1호, pp.21-48, 2007.
  5. 김상조, 최원일, "유명인 모델에 대한 부정적 정보가 모델의 광고적 가치 및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인쇄광고에 사용된 매력적 여성모델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9권, 제3호, pp.1-22, 2004.
  6. W. J. McGuire,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G. Lindzey, E. Aronson,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2, 1985.
  7. G. McCracken,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310-321, 1989.
  8. 이계명, 김희진, "광고모델로 이전되는 브랜드특성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493-50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493
  9. 조재현, "옥외광고의 유명인 모델에 대한 모방과 사회적 비교가 수용자의 물질주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옥외광고학연구, 제7권, 제4호, pp.49-70, 2010.
  10. C. Hoffner and J. J. Cantor,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mass media characters.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In J. Bryant & D. Zillman(Eds.), Responding to the scree: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pp.63-101, Erlbraum, 1991.
  11. N. E. Miller and J. Dollard, Social learning and imit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1941.
  12. 정용해, "전시컨벤션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도와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145-15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145
  13. J. C. Sweeney and G. N. Soutar,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Vol.77, No.2, pp.203-220, 2001. https://doi.org/10.1016/S0022-4359(01)00041-0
  14. B. T. Gale, Managing customer value, the Free Press, Vol.29, 1994.
  15. J. B. E. Steenkamp and I. Geyskens, "How country characteristics affect the perceived value of web sites," Journal of marketing, Vol.70, No.3, pp.136-150, 2006. https://doi.org/10.1509/jmkg.70.3.136
  16. V. Braithwaite, "Communal and exchange trust norms: Their value base and relevance to institutional trust," Trust and governance, Vol.1, pp.46-74, 1998.
  17. M. B. Holbrook, "Special Session Summary. Customer Value-A Framework for Analysis and Resear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3, No.2, pp.138-142, 1996.
  18. M. B. Holbrook, "Introduction to consumer value", Consumer valu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research," pp.1-28, 1999.
  19. J. N. Sheth, B. I. Newman, and B. L. Gross,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2, No.2, pp.159-170, 1991.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20. 박현희, 전중옥, "소셜커머스의 다차원적 소비가치가 태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회 희소성 지각의 조절효과," 마케팅관리연구, 제17권, 제4호, pp.173-196, 2012.
  21. 주선희, 구동모,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제22권, 제2호, pp.101-123, 2014.
  22. 박재진, "제품이 정말 좋아서일까? 모델료 때문일까? 광고모델이 제품에 대해 가지는 실제태도를 유추하는데 있어 소비자들이 가지는 기본적귀인오류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현상 검증," 광고학연구, 제22권, 제4호, pp.115-136, 2011.
  23. http://www.nielsen.com/kr/ko/insights/2014/2015-trust-in-ad-report.html
  24. E. C. Hirschman and M. B. Holbrook,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The Journal of Marketing, pp.92-101, 1982.
  25. M. A. Strahilevitz and J. Myers, "Donations to charity as purchase incentives: How well they work may depend on what you are trying to sel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4, No.4, pp.434-446, 1998. https://doi.org/10.1086/209519
  26. R. Batra, and O. T. Ahtola, "Measuring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ources of consumer attitudes," Marketing letters, Vol.2, No.2, pp.159-170, 1991. https://doi.org/10.1007/BF00436035
  27. 김경희,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pp.173-18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3.173
  28. 류강석, 박종철, "광고모델의 인종구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제품원산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5권, 제4호, pp.277-296, 2004.
  29. L. Festinger,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Vol.7, No.2, pp.117-140, 1954.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202
  30. 지원배, 한상필, "광고인의 광고댓글 평가가 일반인의 광고태도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1권, 제6호, pp.57-80, 2010.
  31. 김충현, "대인영향력에 대한 소비자의 민감성이 광고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7권, 제2호, pp.7-41, 1996.
  32. 유재미, "브랜드 타겟 메시지에 대한 비타겟 효과: 비타겟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75-200, 2010.
  33. W. O. Bearden, R. G. Netemeyer, and J. E. Teel, "Measurement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473-481, 1989.
  34. J. R. French, B. Raven, and D. Cartwright, "The bases of social power," Classics of organization theory, pp.311-320, 1959.
  35. 김하림, 조창환,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범적 대인민감성, 정보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5권, 제5호, pp.7-42, 2014.
  36. A. O. Hoffmann and T. L. Broekhuizen, "Susceptibility to and impact of interpersonal influence in an investment contex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7, No.4, pp.488-503, 2009. https://doi.org/10.1007/s11747-008-0128-7
  37. R. Dhar and K. Wertenbroch,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7, No.1, pp.60-71, 2000. https://doi.org/10.1509/jmkr.37.1.60.18718
  38. B. D. Till and M. Busler, "The match-up hypothesis: Physical attractiveness, expertise, and the role of fit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 and brand beliefs," Journal of advertising, Vol.29, No.3, pp.1-13, 2000.
  39.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MCR연례보고서, 한국 방송광고공사, 2015.
  40. W. O. Bearden, R. G. Netemeyer, and J. E. Teel, "Measurement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473-481, 1989.
  41. N. Donthu and J. Cherian, "Hispanic coupon usage: The impact of strong and weak ethnic identification," Psychology & Marketing, Vol.9, No.6, pp.501-510, 1992. https://doi.org/10.1002/mar.4220090607
  42. M. Sicilia, S. Ruiz, and N. Reynolds, "Attitude formation online: How the consumer's need for cogni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s the website and attitude towards the brand," Faculty of Business-Papers, pp.139-154, 2006.
  43. 심성욱, "강남역 미디어폴에 관한 연구," 옥외광고학연구, 제7권, 제4호, pp.187-211, 2010.
  44. 이경렬, "TV 광고와 인터넷 배너광고 간의 크로스미디어광고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고 인게이지먼트, 브랜드인게이지먼트,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0권, 제3호, pp.67-90, 2012.
  45. M. S. Kamins and L. J. Marks, "Advertising puffery: The impact of using two-sided claims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Advertising, Vol.16, No.4, pp.6-15, 1987. https://doi.org/10.1080/00913367.1987.10673090
  4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7. M. E. Sobel,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pp.290-312,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