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the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Perception Structure about 'Happy Doctor' by Clerkship Experience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 유효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
  • 신세인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 이준기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2.13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 of medical education by analysing medical school student's perception structure about 'happy do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perception structure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before clerkship and after clerkship.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4 academic year students in medical school. Students' text about 'happy doctor' were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using sema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perception structure of each groups were confirmed. The network of each groups have 'Professionalism' group including words such as 'patient', 'treatment', 'worthwhile' in common. Three groups, 'Professionalism',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constituted the before clerkship network. And five groups, 'Professionalism', 'Time with family', 'Balance between work and househol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onstituted the after clerkship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for developing the basic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happy doctor'.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에 대한 개념 인식 구조와 임상실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의 인식 구조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이었고,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교육과정 전과 후에는 학생들이 공유하는 행복한 의사에 대한 개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임상실습 경험 전과 후에는 환자, 치료, 보람과 같은 단어들을 포함하는 '전문성'에 대한 하위그룹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상실습 경험 전에는 '개인적인 삶의 질' 그룹과 '자아실현' 그룹이 나타났다. 반면 임상실습 경험 후에는 '전문성' 그룹과 함께 '가족과의 시간' 그룹,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 그룹, '대인관계' 그룹, '신체적 정신적 건강' 그룹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기본의학교육에서 행복한 의사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찬희, "한국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317-32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317
  2. 권복규, "한국 의과대학과 대학병원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의 의미," 대한의사협회지, 제54권, 제11호, pp.1146-1153, 2011. https://doi.org/10.5124/jkma.2011.54.11.1146
  3. 전우택, 김상현, 오승민, 인문사회의학, 청년의사, 2010.
  4. 노영희, 홍현진, 교육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1.
  5. 유호종, "인문사회의학 교육의 두 목표: 좋은 의사, 행복한 의사," 의학교육논단, 제17권, 제2호, pp.51-56, 2015. https://doi.org/10.17496/kmer.2015.17.2.51
  6. M. O. Baerlocher, "Happy doctors? Balanc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commitments," CMAJ, Vol.174, No.13, p.1831, 2006. https://doi.org/10.1503/cmaj.051407
  7. J. M. Davidson, T. W. Lambert, M. J. Goldacre, and J. Parkhouse, "UK senior doctors' career destinations, job satisfaction, and future intentions: questionnaire survey," BMJ, Vol.325, No.7366, pp.685-686, 2002. https://doi.org/10.1136/bmj.325.7366.685
  8. R. MacDonald, "Commentary: Are contented doctors good doctors?," BMJ, Vol.325, p.686, 2002.
  9. http://www.docdocdoc.co.kr/39069
  10.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301
  11. 류숙희, 이혜범, "국내 의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의예과 학생들의 인지,정서,사회적 특성 고찰," Korean J Med Educ, 제24권, 제2호, pp.103-115, 2012. https://doi.org/10.3946/kjme.2012.24.2.103
  12. 최재원, 손실리, 김서희, 김현수, 홍지영, 이무식, "우리나라 일부 의과대학생의 번아웃 유병률과 관련 요인," Korean J Med Educ, 제27권, 제4호, pp.301-308, 2015. https://doi.org/10.3946/kjme.2015.27.4.301
  13. Y. Jeong, J. Y. Kim, J. S. Ryu, K. E. Lee, E. H. Ha, and H. Park,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related behaviors,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in medical students," Epidemiol Health, Vol.32, p.e2010009, 2010. https://doi.org/10.4178/epih/e2010009
  14. J. P. Lemkau, R. R. Purdy, J. P. Rafferty, and J. R. Rudisill, "Correlates of burnout among family practice residents," J Med Educ, Vol.63, No.9, pp.682-691, 1988.
  15. J. Eckleberry-Hunt, D. Lick, J. Boura, R. Hunt, M. Balasubramaniam, E. Mulhem, and C. Fisher, "An exploratory study of resident burnout and wellness," Acad Med, Vol.84, No.2, pp.269-277, 2009.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938a45
  16. R. C. Tallis, "Doctors in society: medical professionalism in a changing world," Clin Med, Vol.6, No.1, pp.7-12.
  17. 유효현, 이준기, 신세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좋은 의사'에 대한 인식 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631-63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631
  18. 권효진, 이영미, 장형주, 김애리, "전공의 공통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 Korean J Med Educ, 제27권, 제3호, pp.201-212, 2015. https://doi.org/10.3946/kjme.2015.27.3.201
  19. V. K. Sathidevi, "Validation of medical students stressor scale," Kerala Med J, Vol.5, No.2, pp.154-158, 2012.
  20. 김민정, 박귀화, 유효현, 박이병, 임준, "의과대학생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Korean J Med Educ, 제26권, 제3호, pp.197-208, 2014. https://doi.org/10.3946/kjme.2014.26.3.197
  21. S. M. Kurtz, J. Silverman, and J. Draper,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ine, Oxford, UK; Radcliffe Publishing, 2015.
  22. W. Ishak, R. Nikravesh, S. Lederer, R. Perry, D. Ogunyemi, and C. Bernstein, "Burnout in medic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Clin Teach, Vol.10, No.4, pp.242-245, 2013. https://doi.org/10.1111/tct.1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