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ed at more precisely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using dendrochronological method. Gesan-gun in Chungbuk (CBGS), Gurye-gun in Jeonnam (JNGR) and Uljin-gun in Gyeongbuk (GBUJ) were study areas and Zelkova serrata (ZS) and Pinus densiflora (PD) selected as protected trees therein were used as experimental tree species. The increment cores were extracted from 12, 8, and 6 ZSs and 10, 3, and 9 PDs in CBGS, JNGR, and GBUJ, respectively, using an increment borer (${\phi}5.2mm$).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tree-ring boundary, the surface in the transverse section was cut for ZS using a sliding microtome and sanded for PD using a sand paper. Ring widths were measured in the resolution of 0.01 mm.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203-year long (1813-2015) ZS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175-year long (1841-2015) ZS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y for JNGR was also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case of PD, 154-, 175-, and 250-year long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for CBGS, JNGR, and GBUJ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s between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they showed low t-values and Glks.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of the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with 50-year (1950~2000)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istribution maps, the annual variations of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seem to be determined by not temperature but precipitation. For such cross-dating therefore more local master tree-ring chronologies have to be established at the least based on the distribution map for precipitation.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노거수 수령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청북도 괴산군(CBGS), 전라남도 구례군(JNGR), 경상북도 울진군(GBUJ)이며, 수종은 각 지역의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와 소나무로 하였다. CBGS, JNGR, GBUJ에서 채취한 느티나무는 각각 12, 8, 6본이며, 소나무는 각각 10, 3, 9본이다. 시료(생장편)는 생장추(직경 5.2 mm)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정확한 연륜측정을 위해 느티나무는 활주식 마이크로톰으로 횡단면을 절삭하였으며, 소나무는 사포를 이용하여 횡단면을 연마하였다. 연륜폭은 이용하여 0.01 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느티나무의 경우 CBGS와 GBUJ에서 203 (1813~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작성되었으며, JNGR에서는 175 (1841~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소나무의 경우 CBGS, JNGR, GBUJ에서 각각 154(1862~2015)년, 175 (1841~2015)년, 250 (1776~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를 상호 비교한 결과 대부분 낮은 t 값과 Glk 값을 보여 대표연륜연대기 상호간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0년 평균 기온과 강수량 분포도를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와 비교한 결과, 지역별 대표 연륜연대기 패턴은 온도보다 강수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한 정확한 수령추정을 위해선 강수량이 고려된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