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visitors' awareness of the cultural asset value of Marsh Plants of Daesong-ri, Haman (Natural Monument 346) as well as the requirement for use and management of the only marsh designated as a National Monument in order to provide the implication for future management.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ublic awareness and the awareness level of the natural monuments were low and that the motivations for visiting were the experience and education of nature, rest and leisure, and experience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at order. The analysis of motivation for visiting according to the awareness level showed that the group with a high awareness level of the Marsh Plants or the group that thought highly of its cultural asset value tended to visit it more for the experience of nature or the experience of the cultural heritage than for simple resting. For usage, the visitors required the basic amenities such as guide board and the more active promotion. They also preferred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resources using the marsh plants and the experience of nature. Both local residents and outside visitors pointed out the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policy and lack of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as the main problems. They recognized that the policy that balanced the preservation and usage through the coop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 including local residents must be established and applied in the field to ensure proper management.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중에서 유일한 늪지식물인 제346호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을 대상으로 방문객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인식현황과 활용 및 관리에 대한 요구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관리방안의 시사점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문객 인식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인지도 및 인식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았고 방문동기는 '자연 체험 및 교육', '휴식 및 여가', '문화자원 체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식수준에 따른 방문동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거나 대상지의 문화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집단의 경우 단순 휴식 보다 '자연 체험' 또는 '문화자원 체험'을 위해 방문하는 경향이 높았다. 활용 측면에서는 안내판 등 관람, 편의를 위한 기본시설 및 적극적인 홍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늪지식물을 이용한 전통자원 발굴과 자연체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행관리의 주요 방해요인으로는 지역주민과 일반 탐방객 모두 체계적인 관리정책 부재와 지역주민과의 소통 부재 등을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통한 보존과 이용의 조화를 이루는 정책 수립 및 현장 적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