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래 학교시설의 건축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rchitectural Planning Direction to the Future School Facilities

  • 김재영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이종국 (계명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투고 : 2017.10.07
  • 심사 : 2017.12.22
  • 발행 : 2017.12.31

초록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 등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비하기 위한 미래 학교건축계획의 체계화를 최종목표로 하는 선행연구로써 계획 요소 및 원칙 설정을 통한 계획방향 제시를 주요 목적으로 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계획모형 제안을 통해 학교시설이 과학, 기술, 환경 등 각 분야의 선도적 개념을 수용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미래 학교시설 관련 선행연구 및 연구자료 등을 통한 이론적인 개념을 통한 도출과 교육부의 우수시설학교 평가기준과 조달청의 설계공모 평가기준을 통한 건축계획요소 도출, 국내외 미래학교 사례를 통한 계획사례 도출을 근거로 미래 학교시설 건축계획 요소와 원칙을 유추하고, 건축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is a precursor to the final goal of organizing a future school building plan to prepare for the new paradigm. Planning direction presentation through planning elements and principles is key purpo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school facilities will be able to fulfil the educational role of the school facilities, including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s of prospective school facilities and research data, the school plans to construct architectural plan elements and construct the architectural plan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school plan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chool building and the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chool building and the calculation of the plan through the procurement criteria of the school and the Future School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대한민국 우수시설학교 작품공모 지침, 2017.
  2. 송병준.주범,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건축 계획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1.
  3. 오명선, 미래학교 교실평면 특성 비교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윤석훈,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형 학교건축, 한국교육시설학회, 2017.
  5. 이호진, 한국 학교 건축의 과거와 미래,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4.
  6. 조달청, 설계공모 운영기준, 2017.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디자인 가이드라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