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Intra-Industry Trade in Korean Export Industry in Respect to Korea-U.S. FTA

한·미 FTA 발효 전후 수출산업의 대미국 비교우위 및 산업내무역 분석

  • Shim, Jae-he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Chosun University)
  • Received : 2017.11.14
  • Accepted : 2017.12.12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As a revision negotiation on the KORUS FTA has become a national pending iss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the trade structure of Korean export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KORUS FTA.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MCA) and Intra-industry Trade(IIT) indexe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competi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of export products using the MCA index, it was discovered that Korea has formed an export-orient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ng IIT showed that Korea has made a low-quality vertical IIT with the U.S. in some items while it has usually made a weak IIT with the U.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proposes a few policy suggestions in the following areas: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in trade-deficit service sector, achievement of the balance of profit and loss in goods and service sectors through the revision negotiation of the KORUS FTA,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in competitive and comparative disadvantage items, reinforcement of ability to respond to consumption patterns in U.S. market, etc. in export-dominant items, and pursuit of horizontal-vertical division of labor in comparative advantage items and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in comparative disadvantage items.

한 미 FTA 개정 협상이 국가적 현안이 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시장비교우위지수에 의한 경쟁력 분석과 산업내무역 분석을 통해 한 미 FTA 발효를 전후하여 수출산업의 무역구조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FTA 발효 전후로 대미 상품 및 서비스무역이 각기 흑자와 적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대미 투자는 미국의 대한국 투자를 훨씬 상회하였다. 시장비교우위지수를 활용한 수출상품의 경합보완관계 분석에서 미국과 수출우위의 보완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산업내무역은 전반적으로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품목에서는 저품질 수직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서비스 무역의 경쟁력을 높여가면서 FTA 개정 협상에서 서비스와 상품부문에 대한 손실과 이익의 균형을 추구한다. 둘째, 경합 품목과 비교열위 품목의 경쟁력을 강화해 가면서 수출우위 품목에 대해서는 미국시장의 소비패턴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고, 생산기술 기반 확충과 원가절감을 통한 기술 및 가격경쟁력을 계속 높여 간다. 셋째, 대미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품목에서는 수평적 수직적 분업을 진행하고, 비교열위 품목에서는 수평적 분업을 추진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구․김선진, "동북아 국가의 수출경쟁력 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한국사회과학학회, 2017.
  2. 권영민, "한.미 FTA 이후 대일 수입전환", 무역학회지, 제33권 제2호, 한국무역학회, 2008.
  3. 김지용, "일본 소재산업의 대 한국시장 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4. 김태기․주경훈, "한국과 동아시아 국가 간 수평적․수직적 산업내 무역과 FDI에 관한 연구", 대외경제연구, 제11권 제1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5. 김태영․안경애, "공간중력모형을 이용한 국가 간 관세효과 분석: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제17권 제4호, 한국유통경영학회, 2014.
  6. 박승록,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 무역거래, 수출경쟁력, 경합보완관계 측면에서, 한국경제연구원, 2003.
  7. 변동헌․윤석곤․김선구,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 농산업 부문의 교역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0권 제3호, 글로벌경영학회, 2013.
  8. 양준석․김홍률, "1990년대 이후 한․미 간 무역구조의 변화", 정책연구, 02-1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
  9. 어명근․리경호, "한․중 농산물 교역구조 변화와 산업내 무역 가능성 분석", 농촌경제, 제31권 제3호, 해양농촌경제연구원, 2008.
  10. 이민기․모수원, "가공식품의 대중․대일 경쟁력", 무역연구, 제7권 제3호, 한국무역연구원, 2011.
  11. 이민지․이재득, "한국과 EU 간 FTA 발효 전후의 무역결합도와 비교우위 변동 분석", 유럽연구, 제33권 제2호, 한국유럽학회, 2015.
  12. 이성민․김창범, "한국과 중국 간 교역관계 증진을 위한 산업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1권 제3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9.
  13. 이철․정재휘․안세영, "한․미 및 한․ EU FTA의 국내 기술이전 효과", 국제경영연구, 제25권 제3호, 한국국제경영학회, 2014.
  14. 임병진, "한․미 FTA 발효 전후 대미 수출입 변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 무역보험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무역보험학회, 2016.
  15. 임병진.이서영, "한․미 FTA 발효 전후 한국의 유통업, 제조업, 음식료업의 상호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2권 제3호, 한국무역연구원, 2016.
  16. 장민수, "한국과 독일의 산업별 비교우위분석", 경상논총, 제26권 3호, 한독경상학회, 2008.
  17. 정혜선․박지은․김은영, "한․미 FTA 5주년 평가와 시사점", TRADE FOCUS, 한국무역협회, 2017.
  18. 최남석, "한미 FTA 재협상론과 한국 산업에 대한 경제적 영향분석", 정책연구, 16-25, 한국경제연구원, 2016.
  19. 최성근, "한.EU, 한.미 FTA의 성과 비교 분석", 현안과 과제, 15-17호, 현대경제연구원, 2015.
  20. 최혁준, "한국 정밀기기부품의 중국시장 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14.
  21. 한기조․이홍배, "한국 소재부품산업의 경쟁력 및 산업내무역 분석", 한일경상논집, 제71권, 한일경상학회, 2016.
  22. 함선미, "수출시장에서 반도체, 조선부문의 경합보완관계 분석", 비교경제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비교경제학회, 2003.
  23. Bojnec, S., "Trade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Measures Regional and Central and East European Agricultural Trade", Eastern European economics, Vol. 39, No. 2, 2001.
  24. Greenaway, D., R. Hine, and C. Milner, "Country-Specific Factors and the Pattern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tra-Industry Trade in the UK", Weltwirtschaftliches Archiv, Vol. 130, No. 1, 1994.
  25. Grubel, H. G. and P. J. Lloyd, Intra-industry Trade: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ternational Trade in Differentiated Products, John Wiley and Sons, 1975.
  26. Kathuria, L. M., "Analyzing competitiveness of clothing export sector of India and Bangladesh: Dynamic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pproach", Competitiveness review, Vol. 23, No. 2, 2013.
  27. Krugman, Paul R., "Increasing Returns, Monopolistic Competition, and International Trade",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9, 1979.
  28. Lafay, G., "The Measurement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s", in M. G. Dagenais and P. A. Muet eds. International Trade Modelling, Chapman & Hall, London, 1992.
  29. Yu, R., J. Cai and P. Leung, "The Normalize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s Index",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 43, No. 1, 2009.
  30.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1109004007&wlog_tag3=naver
  31. 국제연합(http://www.comtrade.un.org)
  32. 산업통상자원부(http://www.motie.go.kr)
  33.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34. 한국수출입은행(http://www.koreaexi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