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애니메이션 <플랫 라이프>의 모자이크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Mosaic Image of Animation

  • 이지현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 투고 : 2017.08.15
  • 심사 : 2017.11.26
  • 발행 : 2017.12.31

초록

본고는 카툰의 외양적 모습을 충실하게 따르는 애니메이션 <플랫 라이프>를 분석하고, 그 외양의 뒤편에 숨겨진 주제와 서사의 방식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목표로 삼은 연구논문이다. 이 과정에서 모자이크 영상의 내용 전달 방식을 이용해서 <플랫 라이프>가 말하고 있는 주제를 분석한다. 카툰의 서사는 일반적으로 양태적인 부분에서 그 차이점을 논하는 것이 대다수이지만, 이 작품은 나아가 일반 내러티브 영화의 선형적 서사에 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자넷 머레이가 설명하듯, 모자이크적 사고방식(mosaic approach)을 통해 모자이크적 접근방식으로 주제에 다가가는 영상 이미지를 '모자이크 영상'이라 칭한다면, 그들 중 영화(film)의 포맷으로 소개되는 작품을 '모자이크 영화'라고 한정시킬 수 있다. 우선 <플랫 라이프>는 개념적으로 '모자이크 영상'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나아가 '모자이크 영화'의 서사 특징을 활용하는 작품이다. 작품을 분기별로 분석하면, 전반부가 개방된 모자이크 영상 플랫폼의 성향을 한껏 드러내고, 후반부는 영화서사의 선형적 내러티브 방식을 도입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고는 '멀티 플롯 필름'의 서사 방식을 모자이크 내러티브(mosaic narrative) 영화와, 네트워크 내러티브(network narrative) 영화, 그리고 멀티 드래프트 필름(multi-draft film)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병렬되거나 병치되는 이야기가 함께 엮이는 '네트워크 내러티브 필름'의 서사가 <플랫 라이프>의 결말부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한다. 다시 말해, 초반부가 '앙상블 필름의 확장판'으로서 '모자이크 내러티브' 를 따른다면, 후반부는 충실하게 '네트워크 내러티브'를 따르는 것이다. 주제를 말하는 방식에서도 이 애니메이션 영화는 모자이크 영상의 말하기 방식을 활용한다. 그러므로 카툰의 양태적 성향을 따라서 개방적인 방식으로 '유머' 나 '풍자'의 의미를 도출해낸다고 말할 수 있다. 전반부의 모자이크 내러티브 방식에서 다소 모호한 일상성이 드러난다면, 후반부에서는 선형 서사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인간 이기심의 실체'라는 다소 심도 있는 주제로 나아간다. 이렇듯 풍자화의 외향을 지닌 <플랫라이프>는 실제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어른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사회비판적인 목표를 바라보는 애니메이션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hort animation film which faithfully follows the external dimension of cartoons, and studies the hidden subject and the way of narrative in the back of the figure. In this process, we analyze the theme of using the analysis method of mosaic image. The narrative of cartoons is usually the majority in discussing the differences in the aspectual part. However, this animation uses cartoons to reach the linear narrative of ordinary narrative movies. As Janet Murray explains, if a 'mosaic image' approaches a theme through a mosaic approach, we can limit the 'mosaic film' that are introduced in the film format among them. First of all, conceptually uses the characteristics of 'mosaic image', at the same time, it utilizes a work utilizing the narrative features of 'mosaic film'. By analyzing this animation film by bifurcation, the first half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open-minded mosaic video platform, and the second half introduces the linear narrative method of film narrative. This paper divides the narrative method of 'multi plot Film' into three types: mosaic narrative film, network narrative film, and multi-draft film. Thus, we can analyze the ending of as a narrative method of 'network narrative film' which is composed of parallel or juxtaposed stories. In other words, if the early part of the animation follows the 'mosaic narrative' as an 'extension of ensemble film', the latter part faithfully follows 'network narrative'. Even in the way of talking about the subject, this animated film uses the way of speaking the mosaic image. Considering the aspectual tendency of cartoons, it can be said that this film derives the meaning of 'humor' or 'satire' in an open way. If the first half refers to 'the ambiguous routine of modern man', the latter half draws a profound theme called 'the reality of human selfishness in modern society'. is a film for a wide range of social criticism designed for adults who can interpret mea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동, 우리 영화 다섯 마당, 글 누림, 2007.
  2. 마샬 맥루한, 임상원 역, 구텐베르크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3. 자넷머레이, 한용환 역,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4. 정현욱,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시간의물레, 2012.
  5. 박경철, 카툰과 만평의 유머와 풍자 비교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1호(2013, 6), pp.91-116.
  6. 안소라, 카툰의 서사 연구 (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 이론의 서사의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33호(2013, 12), pp.223-246.
  7. 김금동, 다중 스토리 영화 연구, 문학과영상, 제9권 1호(2008, 4), pp.7-29.
  8. 이준의, "디지털 미디어 아트를 위한 실시간 모자이크 영상 작품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12).
  9. Ansen Dibell, Elements of Fiction Writing - Plot, Writer's Digest Books, 1998.
  10. Francoise Parfait, Video : un art contemporain, Editions du Regard, 2007.
  11. Gilles Deleuze, Felix Guattari,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 Tome 2, Mille plateaux, Editions de Minuit, 1980. (글자 크기 9로)
  12. Peter F. Parshall, Altman and After: Multiple Narratives in Film, The Scarecrow Press, 2012.
  13. Roland Barthes, Communications Volume 11 ; 'L'effet de reel', Seuil, 1968.
  14. Google, www.google.com, 검색어: Cartoon, 2017년 8월 10일, https://fr.wikipedia.org/wiki/Dessin_humoristique.
  15. Google, www.google.com, 검색어: time based media, 2017년 8월 10일, https://www.guggenheim.org/conservation/time-based-media.
  16. Le Parisien, http://www.leparisien.fr, 편집부, 2017년 8월 1일, "Attentat a <> : Tignous, discret mais feroce", http://www.leparisien.fr/charlie-hebdo/attentat-a-charlie-hebdo-tignous-discret-mais-feroce-08-01-2015-4428299.php.
  17. NAVER, www.naver.com, 검색어: 영화 그랜드 호텔, 2017년 8월 14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840&cid=40942&categoryId=33098.
  18. NAVER, www.naver.com, 검색어: 영화 세가지 시대, 2017년 8월 14일,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8879.
  19. <플랫 라이프> (Flat Life, 2004).
  20. <트라마주> (Tramagem,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