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ymmetrical Thinking' Revealed in

<괴물의 아이>에 나타난 '대칭적 사유' 연구

  • 정경운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1.2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Mamoru Hosoda's (2015) depicts the adventure with which a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isolated boy is growing through a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beings.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e essence of 'Relationships' and 'True Growth' that the director presents to us. In the film, a boy's adventure is centered on two worlds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Here, the human world refers to a civilized society, and the beast world 'Naturalness' as the inner nature of a human being.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in the mirror-relationship with the human world were originally a world,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lace for all existing things were connected in one. Human beings were never superior to the surrounding beings, but all beings were equal in relationship. The way of thinking in that age is called 'Symmetrical Thinking.' But as human beings opened the road to self-centered civilization, they eliminated 'Nature' inside themselves. As a result, the two worlds (human beings and nature, or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were eventually separated. This destroyed not only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but also the human-to-human relationship,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ized society where we currently live. Through the boy's question, "Who am I?", the director suggests to us that the inner nature of a human being as a natural being should be reinstated. This means that a human being restores the "relationship" with all beings (other beings) surrounding himself or herself, which is the only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violences of the civilized society that we have created. The full growth of a human being is achieved at this point. In this way, offers a reflection on the human civilization and society, and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with other beings, through cosmic thinking (symmetrical thinking) that we have lost. In this respect, it is a text presented as a 'Model of Maturity' for an immature human society.

호소다 마모루의 <괴물의 아이>는 물리적 심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던 한 소년이 주변 존재들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하는 모험담을 그려내고 있다. 이글은 감독이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는 '관계'의 본질과 '진정한 성장'의 의미를 밝혀내고자 한 것이다. 작품에서 소년의 모험담은 두 개의 세계(인간계와 짐승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간계는 문명사회를, 짐승계는 인간의 내적 본질로서의 '자연성'을 가리킨다. 인간계와 거울관계에 있는 짐승계는 애초에 하나의 세계였으며,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장소는 안과 밖이 하나로 이어져 있었다. 인간은 주위의 존재들보다 결코 우월한 위치에 있지 않았으며, 모든 존재들은 서로 대등한 관계에 있었다. 이러한 시대의 사유방식은 '대칭적 사유'라 불린다. 그러나 인간이 자기중심적 문명화의 길을 전개시키면서, 자신의 내부에 있는 '자연'을 스스로 제거시킨 결과, 결국 두 세계(인간과 자연 혹은 인간계와 짐승계)는 분리되고 만다. 이로 인해 인간과 자연은 물론,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까지도 단절되어 버린 것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문명사회이다. 감독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한 소년의 질문을 통해, 자연적 존재로서 인간의 내적 본질을 복권시킬 것을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다. 이는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모든 존재들(타자적 존재)들과의 '관계'를 회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만이 우리가 만들어낸 문명사회의 다양한 폭력성들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인간의 완전한 성장은 바로 이 지점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렇듯 <괴물의 아이>는 우리가 상실해버린 우주적 사고(대칭적 사유)를 통해 인간 문명사회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타자적 존재들과의 공존 가능성을 묻고 있다는 점에서, 미성숙한 인류사회에 '성숙의 모델'로서 제시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카자와 신이치, 김옥희 역, 곰에서 왕으로 , 동아시아, 2005.
  2. 나카자와 신이치, 김옥희 역, 대칭성의 인류학, 동아시아, 2005.
  3. 나카자와 신이치, 김옥희 역,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동아시아, 2005.
  4. 조셉 캠벨.빌 모이어스, 이윤기 역, 신화의 힘 , 이끌리오, 2009.
  5. 프리드리히 니체, 김정현 역,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2003.
  6. 손영림, 멜빌과 근대적 주체성의 문제, 미국소설, 14-2(2007), pp.101-129.
  7. 유희석, 모비딕론(2):이쉬미얼과 퀴퀙의 살림서사, 영미문학연구, 28(2015), pp.29-70.
  8. 유희석, 모비딕론:19세기 미국의 '국민문학'과 셰익스피어, 안과밖, 21(2006), pp.401-436.
  9. 이동수, 자연과의 미메시스적 화해-아도르노의 신화와 계몽의 변증법, 철학과 현상학 연구, 19(2002), pp.105-134.
  10. 정미라, 주체의 형성과 타자, 그리고 자기보존-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65(2012), pp.123-146.
  11. 이현남, 애니메이션 <늑대아이>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연구,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4, 8).
  12. 권재현, 어른들을 위한 리뷰, 고래의 전설, 신동아, 통권 695호(2017. 7), pp.466-471.
  13. 윤혜지, 세계의 균형을 만들다, 씨네21, 1031호(2015, 12), pp.80-83.
  14. 이유진, <괴물의 아이> 호소다 마모루 감독 인터뷰, 맥스무비, 26호(2015, 12), pp.58-67.
  15. 김경미, "호소다 마모루 감독이 말하는 '괴물의 아이", 서울경제, 2015년 11월 27일, http://www.sedaily.com/NewsView/1IPRG7KUDV.
  16. 전형화, "호소다 마모루 감독이 전하는 길고 따뜻한 이야기", 스타뉴스, 2015년 11월 17일,http://star.mt.co.kr/stview.php?no=2015111709435593667&outlink=1&ref=http%3A%2F%2Fsearc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