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tistic Achievements of Locomotive Overlap -Focusing on (1968) by Norman McLaren-

동체중첩의 예술적 성취 -노먼 맥라렌(Norman McLaren)의 <빠 드 되(Pas de deux)>(1968)를 중심으로-

  • 문재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김시헌 (한양대학교 아크테크놀로지대학원)
  • Received : 2017.10.30
  • Accepted : 2017.11.26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Overlap what images are laid on top of each other performs various purposes of artistic expressions. Especially, overlap to describe motion has been placed on lots of art fields analysing and connecting each part of motion. This kind of overlap is called as 'Locomotive overlap' and it is defined as 'Technique for multiplication to arrange simultaneously motions of single object on one screen'. Locomotive overlap was started from fine art and photography, so this static kind of it is classified as 'Static locomotive overlap'. Afterwards, film and animation succeeded static locomotion overlap and realized real dynamic locomotive overlap with moving images, so this dynamic kind of it is classified as 'Dynamic locomotive overlap'. Most of all, by Norman McLaren accomplished its own artistic value and aesthetics in locomotive overlap has bee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history of locomotive overlap, so to analyze this work and to research before and after it will confirm context and artistic achievements of locomotive overlap. Nowdays locomotive overlap is extending its technology and dimension more and more on the strength of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ome of works using digital technology show new possibilities of locomotive overlap by reinterpreting original media and concept of . Ultimately, this research for locomotive overlap focusing on the analysis of confirms artistic achievements of locomotive overlap and suggests to contemplate the meaning and new possibilities of it.

중첩은 복수의 이미지들을 겹쳐 놓는 것으로 여러 가지 표현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중첩 가운데, 특히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중첩은 운동의 과정을 분석, 종합하면서 예술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움직임을 표현하는 중첩을 '동체중첩'이라고 명명하고, '하나의 화면에 단일 동체의 운동을 동시에 나열해 움직임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정의한다. 동체중첩은 회화와 사진과 같은 평면 예술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를 '정적인 동체중첩'으로 분류하고, 이를 이어서 영화와 애니메이션과 같은 영상예술로 발전한 동체중첩은 '동적인 동체중첩'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동체중첩의 중심에는 무엇보다도 동체중첩의 독자적인 예술성과 미학을 구현한 노먼 맥라렌의 작품 <빠 드 되>가 위치하며, 이 작품을 중심으로 동체중첩의 핵심 개념을 분석하고 그 선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체중첩의 맥락과 예술적 성취를 확인한다. 그리고 오늘날 동체중첩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힘입어 기술과 차원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동체중첩의 작업들은 <빠 드 되>를 매체적으로, 그리고 개념적으로 재해석해 동체중첩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는데 이러한 동체중첩의 경향과 전망에 관해 살펴본다. 이와 같이 <빠 드 되>를 중심으로 한 동체중첩에 관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동체중첩이 이룬 예술적 성취를 확인하고 그 의미와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모린 퍼니스, 한창완 외 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아카데미, 1998.
  2.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3. 앙드레 바쟁. 박상규 역,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8.
  4.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5.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2004.
  6. 아담스 시트니, 박동현 외 역, 시각영화-20세기 미국 아방가르드, 평사리, 2005.
  7. 김일태, 윤기헌, 김병수, 설종훈, 양세혁, 만화애니메이션사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8.
  8. 마이클 오프레이, 양민수, 장민용 역, 아방가르드 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9. 김선진 외 7인 공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최신 문화컨텐츠의 이해, 2011.
  10.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역 이영기, 최광열, 한나래, 2012.
  11. 할 포스터, 로잘린드 크라우스, 이브 알랭 부아, 벤자민 H.D.부클로, 데이비드 조슬릿, 배수희, 신정훈, 오유경 역, Art Since 1900, 세미콜론, 2012.
  12. 정동암, 미디어 아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3. A. L. 리스, 성준기 역, 실험영화와 비디오의 역사: 정통 아방가르드부터 현대 영국 예술의 실천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4. Robert Russett and Cecile Starr, Experimental Animation: Origins of A New Art, Da Capo, 1988.
  15. 한운대, "공연예술에서 영상사용에 대한 연구-<4D아트>의 'A tribute to Norman McLaren'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영상학 석사학위논문(2011. 10), pp.46-47, pp.59.
  16. 김우중, "노먼 맥라렌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연출과 기법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만화영상학 석사학위논문(2012. 2). pp. 60-62.
  17. 오진희, 김재웅, "실험적 단편 애니메이션에서 운동 이미지의 특성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14호, 2008년, 2008.10, 101-114
  18. 김영철, "포즈 투 포즈 방식 애니메이션에서 포즈 선별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41호, 2015년, 2015.12, 57-73
  19. 국립현대미술관 웹 사이트, 소장품 설명, 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00000000&wrkMngNo=PH-07562, 2017. 03. 13.
  20. Lemieux.Pilon 4D Art 공식 웹 사이트, http://www.4dart.com, 2017. 0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