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Rehabilitat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from Idle Facilities - Focus on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Idle Non-Industrial Facilities -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유휴 산업시설과 유휴 비산업시설을 중심으로 -

  • 김현정 (한양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 황연숙 (한양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7.10.31
  • Accepted : 2017.12.12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ndustrial paradigm change and awareness change based on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any idle facilities had been occurred. These idle facilities become the factor which hinder image and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s. In recent year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value of idle facilities has been acknowledged and is regarded as an object of rehabilitation as part of urban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ycling design in the exhibition space used as a domestic idle facility and to utilize it as a basic data for creating an exhibition space using idle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lected from 8 cases which were reproduced as exhibition space within the last 10 years mainly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It is analyzed by five characteristics of historicity, symbolism, preservability, connectivity, and placeness that are analy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ion desig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dle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idle non - industrial faciliti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ion design of idle facilities showed that the symbolism was much higher than other rehabilitaion design characteristics. Thir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dle industrial facility exhibition space and idle non - industrial facility exhibition space, historicity, preservability, and connectivity were high in the idle industrial facility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space of idle non-industrial facilities, symbolism and placeness were high.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1권, 1호, 2010
  2. 김동준, 재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근대건축물 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 석사논문, 2016
  3. 김미림, 산업유산건축물의 재생활용을 위한 디자인 특성 연구, 한세대 석사논문, 2009
  4. 김인호, 윤재은,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전시관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39권, 2016
  5. 김현정,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7
  6. 김현정, 노이경, 황연숙, 전시공간으로 활용된 유휴시설의 재생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9권, 1호, 통권 42호, 2017
  7. 김현주,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13
  8. 민연옥, 장소성 구축에 의한 유휴산업시설 재생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9. 정민주, 이찬,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4호, 2014
  10. 조연주,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1
  11. 조연주, 신경주, 재생 유휴산업시설의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4권, 1호, 2015
  12. 오동훈, 문화공간 조성을 활용한 선진 도시재생 성공사례 비교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3권, 1호, 2010
  13. 유희정, 김주연, 신혜원,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커버전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8권, 1호, 2013
  14. 이다운,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15. 최진욱, 도시재생적 관점의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2016
  16. 네이버 어학사전 http://dic.naver.com
  17. 위키백과 한국어 https://ko.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