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Use on the Relation of Strengths Knowledge and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Goal Orientation Type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 매개효과 검증: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 Received : 2017.11.02
  • Accepted : 2017.11.20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ngths use on the relation of strengths knowledge and career decision level among 393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inally, the mediating model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goal orientation(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growth-seeking orientation) of Dykman by carrying out of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trengths us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mediating model showed variation in different goal orientation type group. In other words, strengths knowledge occurs more severely and distinctively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in growth-seeking group than validation-seeking group.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점활용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다음으로는 검증된 매개모형이 Dykman의 목표지향성 유형(인정추구지향성, 성장추구지향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강점 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점활용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최종모형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최종모형의 경로 중 강점인식이 강점활용에 미치는 경로에서 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강점인식이 강점활용에 미치는 영향이 인정추구집단 보다 성장추구집단에서 통계적으로 더 유의하고 강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진로상담에서의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정승, "지난 10년간 4년제 대학생의 대학생활 변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KRIVET Issue Brief, 제125권, 2017.
  2. 강선희, 이예원, 허은정, "2016학년도 학생생활상담소 상담 호소문제 분석,"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학생생활상담, 제35권, pp.107-125, 2017.
  3.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Other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pp.197-261), San Francisco: Jossey-Bass, 1990.
  4. 김봉환 등, 진로상담이론: 한국내담자에 대한 적용, 학지사, 2010.
  5. 임은미, 박승민, 엄영숙,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과 전공 만족도, 전공 및 직장선택 기준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0호, pp.33-50, 2009.
  6. 라영란, 김경은, "대학생 진로타협과 진로스트레스와의 관계: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7권, 제4호, pp.185-203, 2016.
  7. 정애경, 김계현, 김동민, "진로미결정 및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551-564, 2008.
  8. 김민정, 이희경,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5호, pp.1811-1830, 2014.
  9. 이지원, 이기학,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205-228, 2017.
  10.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27, 2016.
  11. B. A. Allan and R. D. Duffy, "Examining moderators of signature strengths use and well-being: Calling and signature strengths level,"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5, pp.323-337, 2014. https://doi.org/10.1007/s10902-013-9424-0
  12. S. J. Lopez, 인간의 강점 발견하기{Discovering Human Strengths}, (권석만, 정지현 역), 서울:학지사(원전은 2008년에 출판), 2011.
  13. 이희경, 이동귀,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인간연구, 제13권, pp.16-42, 2008.
  14. M. E. P. Seligman, 완전한 행복{Authentic happiness}, (곽명단 역), 경기도: 도서출판 물푸레(원전은 2002년에 출판), 2004.
  15. S. J. Lopez and C. R. Snyder, 긍정심리평가: 모델과 측정{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 (이희경, 이영호, 조성호, 남종호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3년에 출판), 2008.
  16. 임인선, 초등학생의 성격강점 지각이 주관적 행복감과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R. Govindji and P. A. Linley, "Strengths use, self con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Vol.2, pp.143-153, 2007.
  18. 조지연, 탁진국, "긍정심리기반 강점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호, pp.279-304, 2016.
  19.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5, pp.79-122, 1994.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20. C. S. Dweck, and E. L. Leggett,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Vol.95, pp.256-273, 1988. https://doi.org/10.1037/0033-295X.95.2.256
  21. 김경욱,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501-519, 2009.
  22. B. M. Dykman, "Integrating cognitive and motivational factors in depression: Initial tests of a goal-orientation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No.1, pp.139-158, 1998. https://doi.org/10.1037/0022-3514.74.1.139
  23. S. Joseph and P. A. Linley, 긍정심리치료 {Positive Therapy: A Meta-Theory for Positive Psychological Practice}, (이훈진, 김환, 박세란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6년에 출판), 2009.
  24. P. A. Linley, Average to A+: Realising strengths in yourself and others, Coventry: CAPP Press, 2008.
  25. H. Gardner, 비범성의 발견{Extraordinary Minds}. (문용린 역), 서울: 해냄(원전은 1997년 에 출판), 1999.
  26. 김지영, 성격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7. 임영진,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8. M. E. P. Seligman, T. A. Steen, N. S. Park, and C. Peterson,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60, No.5, pp.410-421, 2005. https://doi.org/10.1037/0003-066X.60.5.410
  29. C. Fluckiger and M. Grosse Holtforth, "Focusing the therapist's attention on the patient's strengths: A preliminary study to foster a mechanism of change in outpatient psychotherap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4, No.7, pp.876-890, 2008. https://doi.org/10.1002/jclp.20493
  30. C. R. Rogers, 칼 로저스 상담의 원리와 실제: 진 정한 사람되기{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Psychotherapy},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61년에 출판), 2009.
  31.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3rd ed.), New York: Harper & Row, 1987.
  32. J. Reeve, 동기와 정서의 이해 제5판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5th}, (정봉교, 윤병수, 김아영, 도승이, 장형심 역), 서울: 박학사(원전은 2009년에 출판), 2011.
  33. A. P. Hill, H. K. Hall, P. R. Appleton, and J. J. Murray, "Perfectionism and burnout in canoe polo and kayak slalom athlet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validation and growth-seeking," The Sport Psychologist, Vol.24, pp.16-34, 2010. https://doi.org/10.1123/tsp.24.1.16
  34. 김지경, "자기구실 만들기: 지능에 대한 신념 및 목표성향, 노력/결과중심의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1호, pp.99-114, 2008.
  35. 이형화, 장형심,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목표추구지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2호, pp.25-49, 2015.
  36. J. E. Lindsay and W. D. Scott, "Dysphoria and self-esteem following an achievement event: Predictive validity of goal orientation and personality style theories of vulnerabil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9, No.6, pp.769-785, 2006. https://doi.org/10.1007/s10608-005-9637-6
  37. 박부금, 이희경, "강점 활용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3, pp.599-616, 2012.
  38. S. H. Osipow, G. C. Carney, and A. Barack,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9, pp.233-243, 1976.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81-6
  39.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40. 변자영, 확인추구지향성, 성장추구지향성 및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1.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012.
  42.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a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ion, pp.56-75, Newbury Park, CA: Sage, 1995.
  43.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44.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45. J. Crocker and L. E. Park, "The costly pursuit of self-esteem," Psychological Bulletin, Vol.130, pp.392-414, 2004. https://doi.org/10.1037/0033-2909.130.3.392
  46. R. Biswas-Diener, T. B. Kashdan, and G. Minhas, "A dynamic approach to psychological strength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6, pp.106-118, 2011. https://doi.org/10.1080/17439760.2010.545429
  47. 권혜경, 이희경,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가 지각하는 내담자 강점과 활용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3, pp.397-424, 2013.
  48. R. Biswas-Diener and B. Dean,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Putting the science of happiness to work for your clients,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007.
  49. S. Harter, D. B. Marold, N. R. Whitesell, and G. Cobbs, "A model of the effects of parent and peer support on adolescent false self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67, pp.360-374, 1996. https://doi.org/10.2307/1131819
  50. A. Assor, G. Roth, and E. L. Deci, "The emotional costs of parents' conditional regard: A self-determination theory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Vol.72, pp.47-88, 200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56.x
  51. 이예진, 이기학,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267-28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