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ood Government, I want to Live in there : Using the Q-methodology

좋은 국가, 그곳에서 살고 싶다! : Q방법론을 활용하여

  • Received : 2017.08.17
  • Accepted : 2017.09.27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In this study, as Korea's new government began, the voice of the so-called "real country" has increased, and what has been said about the "good country" and "good government". Therefore, based on the statements and researches on 'good country' and 'good government' that we talk about in our daily life, we collected associative statements about 'good country'. As a result of analysis, we classified the 'good countries' into 5 types as follows. is named "Trusted State Type" and is named "Workable State Type". is called "national type for children," is named "happy national type," and is named "living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good countries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Republic of Korea is forced to rethink its understanding of our "state" and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as a new government is introduced in a period of turbulence called regime change. This study intends to give meaning to the meaning of existence of 'Government' and opportunity to recall the desire and expectation of 'Good Government'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가 새로운 통치자의 시대가 개막되면서 소위 '나라다운 나라'를 지향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과연 그 '나라다운 나라', '좋은 나라', '좋은 국가'는 어떠한 것일까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우리 일상에서 회자하고 있는 '좋은 나라', '좋은 국가'에 대한 진술과 연구를 바탕으로 '좋은 국가'에 대한 연상 진술문을 수집하여 '좋은 국가'에 대한 인식을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좋은 국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5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유형 I>은 "신뢰하는 국가형"으로 명명하였고, <유형 II>는 "일할 수 있는 국가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II>은 "자녀를 위한 국가형"으로, <유형 IV>는 "행복한 국가형"으로 명명하였고, <유형 V>는 "살맛나는 국가형"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도출된 5개의 유형별로는 좋은 국가에 대한 인식은 연령 및 직업에 따른 큰 차이가 없고, 국민들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좋은 국가에 대한 인식임을 알 수 있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정권교체라는 격동의 시기에서 새로운 정부를 맞게 되면서 우리의 '국가'에 대한 이해와 그 존재의 이유를 다시금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의 존재의 의미와 '좋은 국가'에 대한 갈망과 기대를 되새김하는 기회를 갖고자 하는 데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천병희 옮김,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숲, 2013.
  2. 권문규, 천영선, 국가의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대한민국 행복 프로젝트, 북랩, 2015.
  3. David Easton, The Political System. An Inquiry into the State of Political Science, New York: Knopf, 1953.
  4. 박대재, 의식과 전쟁: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책세상, 2003.
  5. 김계동, 김욱, 민병오 옮김, 정치학개론: 권력과 선택, 필립스 쉬블리 지음, 명인문화사, 2013
  6. 조우현, 국가, 플라톤 지음, 올재클래식스, 2013.
  7. 유시민, 국가란 무엇인가(개정신판), 돌베개, 2017.
  8.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Sage. 1994.
  9.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제46권, 제3호, pp.133-161, 2008.
  10. 김석웅, "회계학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근거이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회계정보연구, 제25권, 제3호, pp.77-102, 2007.
  11. 이도희, 이동규,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비영리회계 인식의 가설 발견적 접근," 회계연구, 제12권, 제1호, pp.281-308, 2007.
  12. 강다영, 심형화, "노인의 영명치료에 대한 태도-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2, pp.355-369, 2015.
  13. 유일, 김소라, 이석인, 이찬영, "Q방법론을 활용 한 중소기업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6, No.10, pp.81-95, 2016.
  14. 이제영, 정미애,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pp.36-4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036
  15. 김성태, 진상기, "좋은 정부, 좋은 정책," 제3회의;정책사례 기획논문: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 (ODA) 정책방향 모색 -공여선진국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4, 2007,
  16. 정규현, "한국논단광장 : 우리나라 좋은나라, 우리나라 이런 나라," 한국논단, Vol.244, pp.186-187, 2010.
  17. 이덕로, 송기형, 홍영식, "좋은 정부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29권, 제1호, pp.27-52, 2017.
  18. 최창현, "좋은 정부에 대한 소고," 기획논단, 한국행정포럼, 제151호, pp.27-35, 2015.
  19. Keith P. Sanders, "William Stephenson : The Study of His Behavior," Mass Comm Review, Vol.2, pp.9-16, 1974.
  20.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논문집, 제6권, 제1호, pp.1-11, 1992.
  21.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션북스(주), 2008.
  22. W. Stephenson, "Concourse theory of communication," Communication, 제3권, 제1호, pp.21-40, 1978.
  23. 임채형, 광고디자인 표현유형에 따른 실버세대의 수용태도 분석연구 : Q 방법론을 적용한 인쇄 매체 주류광고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4. R.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Mass: Yale University Press. 1997.
  25. 김헌수, 원유미, Q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26. 김흥규, "Q방법론의 과학정신탐구," 공주대학교 미발간 특강자료(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언론학보 제13집, 1994, 5-44 인용), 2003.
  27. 백평구 옮김, Q방법론 연구의 실행:이론․방법․해석, Simaon Wattes & Paul Stenner,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8. M. Miles and M. Huberman,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