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TV Drama Main Character Job on Story

TV 드라마 주인공 직업의 변화가 스토리에 미치는 영향

  • 노동렬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7.11.14
  • Accepted : 2017.12.13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Reflecting times, Korean TV dramas have gone through massive changes. So have their main characters. This study is about their jobs, which have become more professional as well as diverse. It is observed that the male characters" jobs and job-related episodes take the center stage in the stories of dramas, rather than love stories of those characters. While main characters' jobs used to be part of the overall backdrop in the past, it has been the latest trend for a drama to begin building conflicts around and in the meticulously described work settings. This is opening up the possibility for new categories of genre dramas, as opposed to the typical Koran melodramas. For further success of this newly burgeoning trend, the sense of reality matters the most. Then, it requires elaborately built narratives, based upon a high level of expertise of playwrights in the relevant fields, and realistic proper image processing techniques.

방송 드라마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남녀주인공의 직업은 다양해지고 있으며, 점차 전문직이나 전문경영인, 그리고 경찰 등의 특수 직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성 간의 사랑 중심 스토리에서 남자주인공의 직업 중심 스토리가 핵심이 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드라마에서 직업이 드라마 스토리의 단순 배경으로 기능한 반면, 최근에는 세세하게 묘사되는 직업의 세계에서 자연스럽게 갈등이 구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멜로 장르의 드라마가 주류를 이루던 방송드라마 환경이 점차로 전문직업을 소재로 한 장르적 특성이 부각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드라마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특정 직업 세계에 대한 작가의 전문성과 이를 토대로 한 논리적 내러티브 구성과 치밀한 영상처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현실감을 제공하는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익희, 하윤금, 텔레비전에 나타난 직업의 성 정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진흥원, 2001.
  2. 박신영,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직업묘사와 고정관념,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3. 정영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1호, pp.84-108, 2009.
  4. 박나경, 한국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남성상 연구: 현대 멜로드라마의 남성상 왜곡 현상 고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김순기,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주인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박은하,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이야기구조와 남녀주인공의 특성: 방송3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48-5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048
  7. 김훈순, 김미선, "여성담론 생산의 장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람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244-270, 2008.
  8. 이효성, 홍원식, "드라마 속 여성등장인물의 인구 사회학적 변인에 대한 고찰: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 비교,"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2권, 제3호, pp.75-96, 2014.
  9. 최현주,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성역할의 전도와 그 함의: 남성 전업주부 드라마 <불량주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4호, pp.401-438, 2008.
  10. 이화정, "멜로장르 TV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주인공의 전형성(1992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604-61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604
  11. 양문희, 강형철, "텔레비전 드라마의 직장 내 여성 관리자 및 경영자 묘사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5호, pp.95-123, 2006.
  12. 이원, "2000년대 전문직 드라마의 특징과 발전 양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68-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068
  13. 노동렬, "인기 TV 드라마에서 질병을 활용하는 방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351-36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351
  14. C. G. Heilbrun, Human sex-role behaviour, New York: Pergamon Press, 1981.
  15. D. D. Bielby and W. T. Bielby, "She works hard for the money: Household responsibilities and the allocation of work effor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3, No.5, pp.1031-1059, 1988. https://doi.org/10.1086/228863
  16. M. Anderson, Thinking about wome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ex and gender, 이동원, 김미숙 역, 성의사회학, 이화여대출판부, 1993.
  17. R. J. Harris, A cognitive psychology of mass communication,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9.
  18. 노동렬, 방송산업의 비극, 부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