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수면의 질, 정신건강간의 관계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정경순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 박의정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 Jeong, Gyeongsun (Dept. of Nursing,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 Park, Euijeung (Dept. of Nursing,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투고 : 2017.10.24
  • 심사 : 2017.11.16
  • 발행 : 2017.12.30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15 nursing college students in B City between April 1stand30th,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2.0 and were analyzed us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s, an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Nursing college students showed means of $2.36{\pm}0.54$ points in life stress, $1.03{\pm}0.41$ points in sleep quality, and $2.95{\pm}0.57$ points in mental health.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college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leep quality (r = .432, p < .001).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life stress and mental health (r = -.589, p < .001) as well as between mental health and sleep quality (r = -.301, p < .001). Discussion : Replication studies with larger numbers of subjects are required. Based on the present study, systematic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are also necessary. Moreover,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life stress as well as improve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숙, 황은희(2014).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810-81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810
  2. 김경희, 윤희상(2013).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2(4), 320-329.
  3. 김동임(201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마음챙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김영선(2017).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영향요인.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6), 473-483.
  5. 김영선, 김영희(2009). 뇌호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3(2), 251-261.
  6. 김현진(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박광옥, 김영선(201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2149-2163.
  8. 박현주, 장인순(2010).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 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14
  9. 박현태(2014).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576-1583.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576
  10. 성미혜(2009).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생활스트레스.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9(3), 222-229.
  11. 손혜경, 권수혜, 박현주(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636-646. https://doi.org/10.5762/KAIS.2017.18.5.636
  12. 송영숙(2013).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965-974.
  13. 신미경, 이혜련, 원종순(2013).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4), 419-428. https://doi.org/10.7739/jkafn.2013.20.4.419
  14. 안혜경(200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249-2263.
  15. 어용숙(2010).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e Analysis Society, 12(2), 893-908.
  16. 이용희(2015). 대학생의 생활습관과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지영(2007). 대학생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전겸구, 김교현(1991).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제어 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10, 137-158.
  19. 정경순, 박의정(2016). 간호대 재학생의 수면의 질, 우울, 학과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3), 93-100. https://doi.org/10.15268/ksim.2016.4.3.093
  20. 정선희, 박종(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지, 12(2), 170-177.
  21. 정하윤, 이경수(2017).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3(3), 390-398. https://doi.org/10.15205/kschs.2015.3.3.390
  22. 정효주, 정향인(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3), 188-196.
  23. 조영아(2013). 예비유아교사의 건강행동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조의영, 김정애, 김지영 등(2016).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1), 35-43.
  25. 황은희, 김건희, 신수진(2016).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수면의 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 국웰니스학회지, 11(3), 239-248.
  26.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et al(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28(2), 193-213. https://doi.org/10.1016/0165-1781(89)90047-4
  27. Foreman MD, Wykle M(1995). Nursing standard of 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Geriatr Nurs, 16(5), 238-243.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173-9
  28. Tammins F, Kaliszer M(2002).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me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 fact-finding sample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22(3), 203-211. https://doi.org/10.1054/nedt.2001.0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