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abata Exercise and Kettle Bell Exercise on Vital Capacity, Skeletal Muscle Mass, and Endurance in Women

타바타 운동과 케틀벨 운동이 성인 여성의 폐활량과 골격근량 및 지구력에 미치는 효과

  • 양회송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 정찬주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 유영대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 전현주 (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허재원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7.07.10
  • Accepted : 2017.10.17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abata exercise and Kettle bell exercise on vital capacity, skeletal muscle mass, and endurance in women. Methods : Twen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 Tabata exercise group (n=10) and a kettle bell exercise group (n=10). Both groups performed their assigned exercise 3 times a weeks for 6 weeks. Result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VC, FEV1, FEV1/FVC, PEF, and VC (p<.05) between the Tabata exercise group and the kettle bell exercise group.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keletal muscle mass and endurance function (p<.05) between the two groups. The Tabata exercise group demonstrated greater improvements in fitness parameters compared to those demonstrated by the kettle bell exercise group. Conclusion : The Tabata exercise group was more effective at increasing vital capacity, skeletal muscle mass, and endurance compared to the kettle bell exercise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강병만(2012).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인터벌 유산소 트레이닝의 복합유형 운동이 비만 여성의 신체조성과 건강 체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희원(2015). 타바타운동이 중년여성들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문진(2002). 웨이트 트레이닝과 써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이 신체구성, 근력, 심박수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진우, 박장근(2015). 저항성 운동과 간헐적 단식 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9, 721-731.
  5. 남영열, 김규태(2014). 8주간 셔틀 런 테스트가 대학축구 선수의 신체조성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343-1350.
  6. 남형천, 조윤진, 강병주 등(2015). 체간 안정화운동이 정상성인의 균형, 폐활량,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3(4), 43-51. https://doi.org/10.15268/KSIM.2015.3.4.043
  7. 대한비만학회(2000). 비만의 진단과 치료, 아시아-태평양 지역지침. 서울, 도서출판 한의학, pp.7-11.
  8. 박상회(2008). 12주 유산소 운동 강도차이가 비만 중년여성의 심폐지구력과 혈중지질,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신은정(2015). 간헐적 및 지속적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 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여상준(2015). 하지운동 유형별 20대 남성의 하지 근 활성도 분석 : 케틀벨 스윙, 스쿼트, 런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윤보래, 공세진(2015). 케틀벨 스윙 운동을 포함한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7(3), 1-6.
  12. 이덕완(2003).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체력, 신체조성, 심박수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상민(2016). 비만자를 위한 운동 강도에 대한 새로운 접근. J Metab Bariatr Surg, 5(1), 11-17. https://doi.org/10.17476/jmbs.2016.5.1.11
  14. 임병걸(2014). 타바타 운동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장선화(2016).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Apelin 농도 및 대사증후군 관련지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정진원(2010).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근력과 자유형 수영 기록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허진영, 이성노, 이태현 등(2016). 데드리프트, 스쿼트, 케틀벨 스윙 운동 수행 시 고관절 신전근 근활성도와 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한국발육발달학회, 24(1), 15-21.
  18. Emberts T, Porcari J, Dobers-tein S, et al(2013). Exercise intensity and energy expenditure of a Tabata workout. J Sports Sci Med, 12(3), 612.
  19. Lake JP, Lauder MA(2012). Kettlebell swing training improves maximal and explosive strength.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6(8), 2228-2233.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25c2c9b
  20. Heliopoulos I, Patlakas G, Vadikolias K, et al(2003).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in myasthenia gravis. Muscle Nerve, 27(6), 715-719. https://doi.org/10.1002/mus.10378
  21. Neder JA, Andreoni S, Lerario MC, et al(1999). Reference values for lung function test. Ii. Maximal respiratory pressures and voluntary ventilation. Braz J Med Biol Res. 32(6), 719-727. https://doi.org/10.1590/S0100-879X1999000600007
  22. Tabata I, Nishimura K, Kouzaki M, et al(1996). Effects of moderate-intensity endurance and high-intensity intermittent training on anaerobic capacity and VO2max. Med Sci Sports Exerc, 28, 1327-1330. https://doi.org/10.1097/00005768-199610000-00018
  23. Tsatsouline P(2006). Enter the kettlebell. Minneapolis, Dragon Door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