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병만(2012).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인터벌 유산소 트레이닝의 복합유형 운동이 비만 여성의 신체조성과 건강 체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강희원(2015). 타바타운동이 중년여성들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문진(2002). 웨이트 트레이닝과 써키트 웨이트 트레이닝이 신체구성, 근력, 심박수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진우, 박장근(2015). 저항성 운동과 간헐적 단식 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9, 721-731.
- 남영열, 김규태(2014). 8주간 셔틀 런 테스트가 대학축구 선수의 신체조성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343-1350.
- 남형천, 조윤진, 강병주 등(2015). 체간 안정화운동이 정상성인의 균형, 폐활량,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3(4), 43-51. https://doi.org/10.15268/KSIM.2015.3.4.043
- 대한비만학회(2000). 비만의 진단과 치료, 아시아-태평양 지역지침. 서울, 도서출판 한의학, pp.7-11.
- 박상회(2008). 12주 유산소 운동 강도차이가 비만 중년여성의 심폐지구력과 혈중지질,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신은정(2015). 간헐적 및 지속적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 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여상준(2015). 하지운동 유형별 20대 남성의 하지 근 활성도 분석 : 케틀벨 스윙, 스쿼트, 런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보래, 공세진(2015). 케틀벨 스윙 운동을 포함한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7(3), 1-6.
- 이덕완(2003).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체력, 신체조성, 심박수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상민(2016). 비만자를 위한 운동 강도에 대한 새로운 접근. J Metab Bariatr Surg, 5(1), 11-17. https://doi.org/10.17476/jmbs.2016.5.1.11
- 임병걸(2014). 타바타 운동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선화(2016).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Apelin 농도 및 대사증후군 관련지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진원(2010). 서키트 웨이트 트레이닝과 웨이트 트레이닝이 근력과 자유형 수영 기록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허진영, 이성노, 이태현 등(2016). 데드리프트, 스쿼트, 케틀벨 스윙 운동 수행 시 고관절 신전근 근활성도와 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한국발육발달학회, 24(1), 15-21.
- Emberts T, Porcari J, Dobers-tein S, et al(2013). Exercise intensity and energy expenditure of a Tabata workout. J Sports Sci Med, 12(3), 612.
- Lake JP, Lauder MA(2012). Kettlebell swing training improves maximal and explosive strength.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6(8), 2228-2233.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25c2c9b
- Heliopoulos I, Patlakas G, Vadikolias K, et al(2003).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in myasthenia gravis. Muscle Nerve, 27(6), 715-719. https://doi.org/10.1002/mus.10378
- Neder JA, Andreoni S, Lerario MC, et al(1999). Reference values for lung function test. Ii. Maximal respiratory pressures and voluntary ventilation. Braz J Med Biol Res. 32(6), 719-727. https://doi.org/10.1590/S0100-879X1999000600007
- Tabata I, Nishimura K, Kouzaki M, et al(1996). Effects of moderate-intensity endurance and high-intensity intermittent training on anaerobic capacity and VO2max. Med Sci Sports Exerc, 28, 1327-1330. https://doi.org/10.1097/00005768-199610000-00018
- Tsatsouline P(2006). Enter the kettlebell. Minneapolis, Dragon Door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