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recovery of equipment using full containers loaded with freight instead of direct container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sales policy considering the cost of transporting the containers. The EMU operation case was analyzed. The policies implemented by Company A to provide EMU credits depended only on the relative accountability contribution margin per box (RA CMPB) for the profitability of backhaul full freight. Therefore, these policies resulted in limitations in sales based on profitable accountability (PA) CMPB, which is more profitable. Moreover, while some Asian regions have surplus equipment, many Asian destinations to which their freight is exported have equipment shortages. Thus, in some cases, service sales to the regions with surplus equipment generated greater company-wide profits when compared with the return of empty containers or sales to the regions with insufficient equipment. In other words, the conditions for providing EMU credits should be changed, and even the full freight between regions with surplus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with credit amounts in which potential factory and transport costs in a destination are pre-reflected.
본 연구는 공컨테이너 이송비용을 감안한 판매정책에 따라 공컨테이너 직접 이송 대신 화물을 적재한 Full 컨테이너로 장비를 회수할 때 변화를 A선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증분석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EMU Credit을 부여하기 위해 A사가 시행한 정책은 Back Haul Full 화물 수익성을 RA CMPB(Relative Accountability Contribution Margin Per Box)에만 의존하는 것으로 수익성이 더 좋은 PA CMPB(Profitable Accountability (Contribution Margin Per Box)에 근거한 판매에서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가 도출되었다. 또, 일부 아시아 지역의 경우 장비 상황은 잉여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에서 수출되는 화물의 목적지가 아시아 역내의 장비 부족인 경우가 많아 경우에 따라 잉여 지역으로의 서비스 판매가 공컨테이너 회송 시 또는 장비 부족지역 판매시보다 전사적 차원에서 더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EMU Credit을 부여하는 조건에 변화가 필요하며, 장비 잉여지역 간 Full 화물에도 목적지의 잠재적 공장 이송비를 선 반영한 Credit Amount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