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렌즈의 이용' 단원 학습에서 나타나는 모둠별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학업성취도에 따라 상, 중, 하 모둠으로 구성하고 6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모든 수업을 녹음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는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수준은 의견제시의 빈도가 높았으나, 과제완수를 위한 부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났다. 중 모둠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기 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데 더 적극적이었다. 하 모둠은 의견제시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동료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거나 동료를 설득시키는 능력이 부족하여 결론 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모둠구성 시 간단한 탐구나 수용의 범위가 넓은 활동에서는 동질적인 모둠 구성이 좋으며, 과학적 개념 및 지식 이해를 위주로 하는 활동에서는 이질적인 모둠 구성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of each homogeneous group in the learning of the 6th grade's 'Use of Lenses' Unit. For this research, six learning sessions were conducted in one 6th grade class composed of a high-academic-achievement group, an intermediate-academic-achievement group, and a low-academic-achievement group. All lessons were recorded, to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s of each group, an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verbal-interaction analytic framework. Results included: In the upper group, although opinions were presented more frequently, there were many negative verbal interactions in completing the tasks. The middle group was observed more specifically to accept peer opinions critically in their observational activities. The middle group's members were more active in presenting their opinions than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The lower group had difficulties in drawing conclusions because of a lack of ability to persuade peers or to respect the opinions of peers, even though the frequency of verbal interactions was higher than in other groups. Therefore, a homogeneous group structure is good for a simple activity involving a simple inquiry or an exchange of opinions, while a heterogeneous group structure is more effective in activities focused on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s and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