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경희, 이강진, 이선경 (2004). 중학교 과학수업이 소집단 토론의 특징 및 상호작용 유형. 과학교육연구, 25(1), 239-257.
- 강석진, 노태희 (2000). 토론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50-261.
- 강석진, 한수진, 노태희 (2002). 과학 개념학습에서 협동학습 소집단 토론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93-101.
- 강순민, 임재항, 공영태, 남정희, 최병순 (2004). 과학 맥락에서 학생 간 논의과정의 발달. 대한화학회지, 48(1), 85-93. https://doi.org/10.5012/jkcs.2004.48.1.085
- 교육부 (2015). 2015 개정교육과정.
- 권미진 (2009). 중학교 지구과학 분야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의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재술, 서상오, 차영 (2001).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학습에서 토론을 통한 인지갈등과 개념변화. 한국교육학회지, 21(2), 411-421.
- 김미경 (2004). 과학 학습 부진아와 일반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정의적 특성, 과학 학습 동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 박보라 (2010). 구조화된 토론 촉진 전략이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 손효정(2010). 과학교과에서 토론의 효과 연구 및 과학토론을 위한 수업 제안 : 기존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양승원 (2014). Name card 기법을 적용한 초등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3(1), 129-139.
- 이정수, 강경희, 이선경 (2005). 과학 소집단 토론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과정과 이유 유발 조건. 과학교육연구, 26(1), 91-112.
- 이창규 (2017). 토의.토론 중심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하룡, 남경희, 문성배, 김용권, 이석희 (2005). 논의과정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과학태도와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183-191.
-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 장인숙 (2003). 중등학교 과학 과목에서 토의.토론 학습 수업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문성 (2008). 토의.토론 수업방법 36. 교육문화사.
- 정영란, 손대희 (2000). 협동학습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11-623.
- 정지숙 (2005). 과학실험수업에서 소집단 토론의 시기가 과학 탐구 수행능력과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전성수 (2013).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수진 (2002). 과학 개념 학습에서 협동적 소집단 토론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재영, 노태희 (2002). 과학수업에서의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인성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49-507.
- Almond, J. (1997). Dictionary of word origin: A history of words, expressions and cliches we use(pp. 210). NJ: Citadel press.
- Anderman, E. M. & Young, A. J. (1994).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5
-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airs and fou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 Basili, P. A. & Sanford, J. P. (1991). Conceptual change strategies and cooperative group work in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4), 293-304. https://doi.org/10.1002/tea.3660280403
- Meyer, K. & Woodruff, E. (1997). Consensually driven explanation in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81(2), 173-19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4)81:2<173::AID-SCE4>3.0.CO;2-C
-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0)33:8<839::AID-TEA2>3.0.CO;2-X
- Winebrenner, S. & Brulles, D. (2008). The cluster grouping handbook; How to challenge gifted students and improve achievement for all. Free spirit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