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applying Round Robin Strategy on Scientific Communicative Competenc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라운드 로빈 기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0.16
  • Accepted : 2017.11.29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applying round robin strategy on scientific communicative competenc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126, 4 classes of 6th grade in C elementary school in B city. The experimental group, 2 classes including 63 participants, had science classes applying round robin strategy. While the comparative group, 2 classes including 63 participants, took ordinary teacher-driven lessons using teacher's guidebook.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o assess the changing in each group's scientific communicative competenc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cience class applying round robin strategy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cientific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이강진, 이선경 (2004). 중학교 과학수업이 소집단 토론의 특징 및 상호작용 유형. 과학교육연구, 25(1), 239-257.
  2. 강석진, 노태희 (2000). 토론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50-261.
  3. 강석진, 한수진, 노태희 (2002). 과학 개념학습에서 협동학습 소집단 토론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93-101.
  4. 강순민, 임재항, 공영태, 남정희, 최병순 (2004). 과학 맥락에서 학생 간 논의과정의 발달. 대한화학회지, 48(1), 85-93. https://doi.org/10.5012/jkcs.2004.48.1.085
  5. 교육부 (2015). 2015 개정교육과정.
  6. 권미진 (2009). 중학교 지구과학 분야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의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권재술, 서상오, 차영 (2001).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학습에서 토론을 통한 인지갈등과 개념변화. 한국교육학회지, 21(2), 411-421.
  8. 김미경 (2004). 과학 학습 부진아와 일반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정의적 특성, 과학 학습 동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10. 박보라 (2010). 구조화된 토론 촉진 전략이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12. 손효정(2010). 과학교과에서 토론의 효과 연구 및 과학토론을 위한 수업 제안 : 기존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양승원 (2014). Name card 기법을 적용한 초등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3(1), 129-139.
  14. 이정수, 강경희, 이선경 (2005). 과학 소집단 토론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과정과 이유 유발 조건. 과학교육연구, 26(1), 91-112.
  15. 이창규 (2017). 토의.토론 중심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하룡, 남경희, 문성배, 김용권, 이석희 (2005). 논의과정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과학태도와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183-191.
  17.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18. 장인숙 (2003). 중등학교 과학 과목에서 토의.토론 학습 수업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문성 (2008). 토의.토론 수업방법 36. 교육문화사.
  20. 정영란, 손대희 (2000). 협동학습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11-623.
  21. 정지숙 (2005). 과학실험수업에서 소집단 토론의 시기가 과학 탐구 수행능력과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전성수 (2013).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한수진 (2002). 과학 개념 학습에서 협동적 소집단 토론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한재영, 노태희 (2002). 과학수업에서의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인성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49-507.
  25. Almond, J. (1997). Dictionary of word origin: A history of words, expressions and cliches we use(pp. 210). NJ: Citadel press.
  26. Anderman, E. M. & Young, A. J. (1994).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5
  27.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airs and fou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28. Basili, P. A. & Sanford, J. P. (1991). Conceptual change strategies and cooperative group work in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4), 293-304. https://doi.org/10.1002/tea.3660280403
  29. Meyer, K. & Woodruff, E. (1997). Consensually driven explanation in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81(2), 173-19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4)81:2<173::AID-SCE4>3.0.CO;2-C
  30.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0)33:8<839::AID-TEA2>3.0.CO;2-X
  31. Winebrenner, S. & Brulles, D. (2008). The cluster grouping handbook; How to challenge gifted students and improve achievement for all. Free spirit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