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계보경, 김영수 (2008).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4(4), 193-224.
- 고윤호 (2004). 증강현실 기술과 미래. 산업기술연구논문집, 19(1), 87-95.
- 교육부 (2011). 5-6학년군 과학 5-2 교과서. 서울.
- 구민재 (2009).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사회교과 내용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정아, 신동훈 (2015). 과학사를 활용한 '우리 몸' 단원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3), 325-337.
- 김경현 (2009). 증강현실 콘텐츠 활용수업의 효과성 분석 -초등학교 영어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3(3), 359-370.
- 김윤수, 이주홍 (2014).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개방형 U-러닝 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 2009년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9(10), 135-149.
- 김준우, 맹준희, 주지영, 임광혁 (2010). 멀티 터치스크린과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과학 실험 학습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461-471. https://doi.org/10.5392/JKCA.2010.10.8.461
- 김진숙 (2008).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 참여 촉진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 1853-1856.
-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2010).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1-13. https://doi.org/10.5392/JKCA.2010.10.2.001
- 류지헌, 조일현, 허희옥, 김정현 (2006).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 모델 해외 연구 동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박혜원, 신영준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 성유정 (2013). 증강현실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개념이해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여선민 (2009). 증강현실 기반 콘텐츠 활용 수업의 효과성 분석.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영주 (2008). 초등학생의 인체에 관한 선개념 유형별 5E 순환학습모형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명숙, 신영준 (2015). '우리 몸' 단원에서 스토리텔링 활용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3(1), 1-16.
- 이상윤, 김갑수 (2012). 증강현실기반 도형영역 학습 객체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6(4), 451-462.
- 이재민, 최종수 (2011). 증강현실 기반의 초등과학교육 콘텐츠 제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514-520.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14
- 이지수 (2009).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증강 현실 기반 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상현, 계보경 (2007).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5(2), 79-85. https://doi.org/10.20924/CCTHBL.2007.5.2.079
- 최유미, 문영순 (2015). '증강현실' 기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초등 STEAM교육에 관한 연구 -과학과 미술융합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1(2), 85-108.
- 하윤희 (2008). Science Writing Heuristic 실험 수업이 과학탐구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의 체험형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연구보고 KR 2005-32. p. 49.
- Azuma, R. T.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In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 6(4), 355-385.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 Billinghurst, M., Grasset, R. & Looser, J. (2005). Designing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Computer Graphics, 39(1), 17-22. https://doi.org/10.1145/1057792.1057803
- Jaakkola, R. O. & Slaughter, V. (2002). Children's body knowledge: Understanding 'life' as a biological goal.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3), 325-342. https://doi.org/10.1348/026151002320620352
- Romero, L., Santiago, J. & Correia, N. (2004). Contextual information access and storytelling in mixed reality using hypermedia. ACM Computers in Entertainment, 2(3), 1-16. https://doi.org/10.1145/973801.973802
- Shelton, B. E. (2003). How augmented reality helps students learn dynamic spatial relationship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Washington.
- Bang, S. H. (2012). A study on strategies of self-directed learning to promote smart learning. Lifelong Learning Society Association, 8(1), 93-112. https://doi.org/10.26857/JLLS.2012.04.8.1.93